• 제목/요약/키워드: 온 요법

검색결과 60건 처리시간 0.025초

국소적 냉 요법이 정상 성인의 조직과 말초의 산소포화도, 말초 혈류, 피부 온도, 체온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ocal cold application on tissue & peripheral oxygen saturation, peripheral blood flow, skin temperature, and body temperature of healthy adult)

  • 김승옥;신용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27-136
    • /
    • 2020
  • 목적: 본 연구는 국소적 냉 요법 중 가장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냉 젤 팩과 얼음 팩을 적용 한 후와 수동적 재가온 후의 생리적 변화를 확인하여 냉 요법의 적용시간과 간격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합니다. 방법: 무작위 비교군 반복측정 실험연구로 건강한 성인 22명을 냉 젤 팩과 얼음 팩 그룹에 무작위 배정하여 30분 동안 냉요법을 적용한 후 40분 동안 수동 재가온을 실시했습니다. 오른쪽 액와에 냉요법이 적용되는 동안 5분 간격으로 총 15회, 조직과 말초의 산소포화도, 말초혈류, 피부온도, 체온을 측정하였습니다. 결과: 냉 젤 팩 군에서 StO2는 냉 요법 전 69.43%였고, 냉 젤 팩 적용 30분 후 61.06% 였으며 얼음 팩 군에서 StO2는 냉 요법 전 67.66%였고, 얼음 팩 적용 30분 후 64.80%로 크게 줄었습니다.(p <.001) 냉 젤 팩 군에서 피부온도는 냉 요법 전 33.57℃였고, 냉 젤 팩 적용 30분 후 29.15℃ 였으며 얼음 팩 군에서 피부온도는 냉 요법 전 32.64℃였고, 얼음 팩 적용 30분 후 28.90℃로 크게 줄었습니다.(p <.001) 40분 재가온 후에는 피부 온도만이 완전히 회복되었습다. 냉 젤 팩과 얼음 팩 그룹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습니다. 결론: 액와에 국소적 냉 요법을 적용할 때는 30분 적용 후 적어도 40분 이상의 수동적 재가온을 위한 시간을 갖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복강경담낭절제술 후 가온요법 간호중재 프로그램 적용 효과 (Study on Effect of Warmth Therapy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after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 이중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350-356
    • /
    • 2020
  • 목적: 본 연구는 수술 후 회복실에 입실한 환자에게 가온요법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간호중재방안 개발 및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된 비 동등성 대조군 유사 실험연구이다. 연구방법: 연구의 대상자는 가온요법 프로그램을 적용한 실험군 31명, 대조군 31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가온요법은 가온기를 통해 회복실에서 38~43℃ 범위 내 가온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로 파악하였고,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은 𝑥2-test와 In-dependent t-test로 파악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시간에 따른 체온, 통증, 전율의 차이는 repeated measure ANOVA로 파악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온도 편안감의 차이는 t-test로 파악하였다. 결과: 첫째, 수술 직후 반복 측정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체온, 통증, 전율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온도 편안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이와 같이 수술 후 가온요법 중재 시 환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해시대의 건강과 죽염의 활용법

  • 김윤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57-260
    • /
    • 1999
  • 죽염은 우리 민족이 오래 전부터 각종 염증 및 소화기 계통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만들어 온 '민속 약'이다. 죽염의 기원은 우리나라의 오랜 민간요법의 전통에서 비롯된다. 본래 한국에는 소금을 볶아서 쓰거나, 대통 속에 넣고 한두 번 구워서 체했을 때나 소화가 잘 안될 때, 상처가 났을 때 지혈제나 소독제, 이를 닦는 재료 등으로 써 왔다. 이 민간요법은 지금도 한국의 경상남도 일부 지방에 남아 있는데, 이를 '구염' 또는 '약소금'이라 불렀다.

  • PDF

온열요법이 전이부의 표층부 혈류량과 피부 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t Therapy on Cutaneous Blood Flow and Skin Temperature at Pre-auricular Region)

  • 김수범;김영준;김철;박문수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4호
    • /
    • pp.401-410
    • /
    • 2005
  • 본 연구는 온열요법이 표층부 혈류량과 피부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건강한 성인 20명(남성: 10명,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습열요법과 초음파요법 적용전후의 전이부 표층부 혈류량과 피부 온도를 각각 laser doppler flowmetry와 접촉식온도계를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습열요법과 초음파요법 모두에서, 표층부 혈류량과 피부 온도는 적용전보다 적용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습열요법을 시행한 경우, 초음파요법에 비해 적용직후 표층부 혈류량과 피부 온도의 증가량이 유의하게 더 컸으며, 증가된 상태도 더 오래 유지되었다. 3. 온열요법 적용전 표층부 혈류량과 피부 온도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더 높았다. 4. 온열요법 적용전후 표층부 혈류량과 피부 온도의 변화량은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건열요법과 습열요법 적용후 전이부 표층부 혈류량과 피부온도의 변화 (Changes of Pre-Auricular Cutaneous Blood Flow and Skin Temperature after Dry Heat Therapy and Moist Heat Therapy)

  • 홍용재;김철;박문수;김영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1호
    • /
    • pp.47-57
    • /
    • 2006
  • 본 연구는, 표면열요법 중에서 널리 쓰이는 습열 요법(온습포)과 건열 요법(적외선 램프)이 전이부 표층부 혈류량과 피부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건강한 성인 20명(남 10명, 여 10명)을 대상으로 laser doppler flowmetry를 사용하여 표면열요법 적용전후의 피부 온도와 표층부 혈류량을 측정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온습포와 적외선 램프 모두에서 표층부 혈류량과 피부 온도는 적용전보다 적용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표면열 요법 적용 후 표면 온도는 표면열 요법 적용 직후에, 표층부 혈류량은 표면열 요법 적용 4분 후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 꾸준히 감소하였다. 3. 표면열 요법 적용 후 증가된 표층부 혈류량은 적외선 램프에 비해 온습포에서 더 오랫동안 유지되었다. 4. 표면열 요법 적용 후 증가된 피부 온도는 두 요법 모두 60분간 유의성있게 증가된 상태로 유지되었으나, 적외선 램프 적용 후 증가된 피부 온도는 온습포에 비해 급격히 감소하였다. 5. 적외선 램프 적용 직후 여성이 남성보다 표층부 혈류량의 증가가 컸으나, 그 이후 차이가 점차 감소하여 20분 이후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2006년에는 ' 건강한 당뇨인' 이 됩시다!

  • 유혜숙
    • 월간당뇨
    • /
    • 통권193호
    • /
    • pp.24-26
    • /
    • 2005
  • '당뇨식사' 하면 먹고 싶은 것을 먹지 못하고 맛도 덜한 음식만 먹어야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당뇨인들이 많다. 그러나 당뇨식사는 영양적으로 균형잡힌 건강식으로 온가족이 함께 할 수 있는 식사이다. 이번 달에는 유혜숙 대한당뇨병교육영양사회 부회장을 만나 당뇨병 식사요법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았다.

  • PDF

임상간호사의 근거기반실무 신념과 연구 관련 행동의도에 따른 온 요법 간호 (Heat Application According to Nurse's Belief on Evidence-Based Practice and Behavioral Intention Related to Research)

  • 윤수경;신용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64-274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compare heat applications by nurses in accordance to belief in evidence-based practice and behavior intention related to research. Methods: A cross-section survey design was used. Participants were 228 nurses from 5 institutions who completed the research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during July and August 2015. Results: The nurses reported that duration of heat applications was 2.5 minutes to 90 minutes. Frequently used heat application devices, in order of frequency, were rubber bag, gel pack and red clay pack. Most of the nurses (78%) responded that advice from colleague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basic evidence for heat applica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necessity of heat application practice guidelines between the high evidence-based practice belief cluster and the low cluster ($x^2$=15.39, p<.001). Conclusion: There were difficulties in providing consistent nursing interventions because of practical differences and absence of evidence-based guidelines for heat application. The researchers recommend that basic studies with various instruments be conducted and proper practice guidelines developed for heat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