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라인 공간

Search Result 61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Improved Tweet Bot Detection Using Geo-Location and Device Information (지리적 공간과 장치 정보를 사용한 개선된 트윗 봇 검출)

  • Lee, Al-Chan;Seo, Go-Eun;Shin, Won-Yong;Kim, Donggeon;Cho, Jaeh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9 no.12
    • /
    • pp.2878-2884
    • /
    • 2015
  • Twitter, one of online social network services, is one of the most popular micro-blogs, which generates a large number of automated programs, known as tweet bots because of the open structure of Twitter. While these tweet bots are categorized to legitimate bots and malicious bots, it is important to detect tweet bots since malicious bots spread spam and malicious contents to human users. In the conventional work, temporal information was utilized for the classficiation of human and bot. In this paper, by utilizing geo-tagged tweets that provide high-precision location information of users, we first identify both Twitter users' exact location. Then, we propose a new tweet bot detection algorithm by using both an entropy based on geographic variable of each user and device information of each user. As a main result,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superior bot detection and false alarm probabilities over the conventional result which only uses temporal information.

Factors Affecting Individual Effectiveness in Metaverse Workplaces and Moderating Effect of Metaverse Platforms: A Modified ESP Theory Perspective (메타버스 작업공간의 개인적 효과에 영향 및 메타버스 플랫폼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수정된 ESP 이론 관점으로)

  • Jooyeon Jeong;Ohbyung Kwon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9 no.4
    • /
    • pp.207-228
    • /
    • 2023
  • After COVID-19, organizations have widely adopted platforms such as zoom or developed their proprietary online real-time systems for remote work, with recent forays into incorporating the metaverse for meetings and publicity. While ongoing studies investigate the impact of avatar customization, expansive virtual environments, and past virtual experiences on participant satisfaction within virtual reality or metaverse settings, the utilization of the metaverse as a dedicated workspace is still an evolving area. There exists a notable gap in research concerning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erformance of the metaverse as a workspace, particularly in non-immersive work-type metaverses. Unlike studies focusing on immersive virtual reality or metaverses emphasizing immersion and presence, the majority of contemporary work-oriented metaverses tend to be non-immersive. As such, understanding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these existing non-immersive metaverses becomes crucial. Hence, this paper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factors impacting personal outcomes in the non-immersive metaverse workspace and derive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To achieve this, the study adopts the Embodied Social Presence (ESP) model as a theoretical foundation, modifying and proposing a research model tailored to the non-immersive metaverse workspace. The findings validate that the impact of presence on task engagement and task involvement exhibits a moderating effect based on the metaverse platform used. Following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engaged in non-immersive metaverse workplaces (specifically Gather Town and Ifland), a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comprehensive insights.

A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Online Public Benefit Projects and Users: Alipay's ANT FOREST Focuses on Analysis (온라인 공익 프로젝트와 사용자의 상호작용관계에 관한 연구: 알리페이의 앤트 프레스트를 분석중심으로)

  • Zhao, Xiaolong;Lian, Zex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8
    • /
    • pp.513-521
    • /
    • 2020
  • Launched in August, 2016, the online public benefit project ANT FOREST has planted more than one hundred million trees in desertification areas and is currently continuing on with its activities. It is a fruit of online communications network development, and the public benefit project based on this puts more emphasis on the spirits of public interest rather than the investments of public services, unlike traditional public benefit activities.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sers supporting the online public benefit and the public benefit progress online. The study was divided into 4 stages in order to find out the interaction, key factors for users to continue to support online public interest. First, preceeding studies on online public benefit will be review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public benefit. Second, determine the public benefit nature of ANT FOREST and investigate the project progress. Third, review the usage rate of ANT FOREST and categorize the properties of users. Four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direc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online public benefit project and the user. In conclusion, the online public benefit project completes the public benefit process through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supporter, the important factor connecting the energy connecting the process in cyber space and the public benefit activity in reality is the sense of participation, and the user continues the public benefit project through this sense of participatio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icient Operation of Parcel Delivery Network with the Growth of Online Shopping Industries (온라인 쇼핑의 성장에 따른 택배물류 네트워크의 효율적 운영에 관한 탐색적 연구)

  • Lim, Hyunwoo;Lim, Jong Won;Yi, Hansuk
    • Asia Marketing Journal
    • /
    • v.9 no.2
    • /
    • pp.97-129
    • /
    • 2007
  • The critical link between consumer-based internet ordering and the delivery of the product to the consumer is a key success factor in online shopping. Market areas of online shopping company implies the range of space where products ordered from online shopping can be physically delivered to customers distributed over space with reasonable shipping cost and lead time through the physical distribution network. The average rate of growth in online shopping is 36% per year in Korea for the last 5 years. But there are no maps available that describe sales/delivery density of online shopping, few researches are focused on the short-term/long-term adaptation to demand increase by online shopping. In this paper (1) Maps of trade area are described indicating the sales/delivery density around the nation. (2) Empirical researches suggested that short-term adaptation to demand increase resulted in price reduction and service in enhancement of service quality in local transportation. But the long-term adaptation on the parts of parcel delivery industry are to be investigated in future researches.

  • PDF

A Study on the Cyber Violence of Juvenile (청소년의 사이버 폭력에 관한 연구)

  • Lee, Ga 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1a
    • /
    • pp.129-13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정보화의 발전에 따라 사이버 공간에서의 청소년들의 사이버 폭력이 증가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사이버 폭력의 개념과 유형을 알아보고 청소년들의 사이버 폭력의 발생 원인에 대해 청소년의 유일한 놀이문화로의 인터넷, 스트레스 해소, 청소년의 인정받고 싶은 욕구만족, 사이버 폭력에 대한 죄의식 결여로 나누어 간략히 살펴보고, 청소년의 사이버 폭력의 예방을 위한 대응방안에 대해 건전한 사이버 공간의 형성, 온라인서비스제공자(OSP)의 책임 강화, 사이버윤리교육 강화 등을 들어 보았다.

  • PDF

온라인 창업교육 플랫폼 구축을 통한 창업교육 고도화 방안

  • Kim, Yong-Ta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57-57
    • /
    • 2017
  • 최근 들어 대학 내 창업교육은 정부 및 공공, 지방자치단체 등의 관심과 지원으로 급격히 확산되고 있다. 교양 및 전공분야의 다양한 창업교육 강좌 및 창업 친화적 학사제도 등 인프라 및 환경적 요인도 충분해졌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양질의 창업교육 콘텐츠 및 교수법, 교수 역량 활성화, 지역 및 대학 간 편차 해소 등 질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새로운 변화와 보완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 내 교수자, 교직원, 학생들이 손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창업교육 플랫폼 구축을 통해 대학 창업교육의 질적 고도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해 수도권과 지역 대학 간 발생하고 있는 창업교육의 편차를 해소하고 질 좋은 창업교육 운영 및 콘텐츠 지원을 위한 체계적인 온라인 창업교육 시스템 구성 체계 및 기능, 활용방안, 기대효과 등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창업 교육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 시스템 개발의 기본 방향을 설정하고, 그에 따른 정보화교육 관리시스템에 대한 준수하여야 할 기본 설계 방향을 설정할 것이다. 구조적 개발 방법론을 적용하여 시스템의 기능적 요구사항을 도출하고, 시스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도록 설정한 시스템의 주요 기능에 대하여 기술할 것이며, 개발해야 할 된 시스템의 구성도 및 시스템 운영 시 필요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제반 운영환경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온라인 창업교육플랫폼을 개발함에 있어 가장 우선 검토해야 할 요건은 창업교육과정을 원하는 학생들과 교강사가 플랫폼에 간단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교 강사들이 언제든 플랫폼을 통하여 시스템에 접근하여 학생의 교육과정 내용과 진도사항, 창업 관련 자료에 대하여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며, 학생들이 교강사에게 멘토링 받고 싶은 내용이 있다면 플랫폼을 통해 멘토링이 가능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하는 온라인 창업 교육 플랫폼은 관리자, 학생, 교강사 등 구성원들의 요구사항을 청취하고, 이들의 요구를 정확히 분석하여 구성원들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개발하고자 한다. 플랫폼의 구성요소는 첫째, 온라인 창업 교육 플랫폼은 온라인 기반으로 구성하여 교강사와 학생들이 교육의 효율성을 위하여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는 사이트 공간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온라인 창업 교육 플랫폼의 주된 이용자는 창업 교육을 받는 학생과 창업교육을 하는 교 강사도 이를 관리하기 위한 전체 및 지역별 운영관리자도 존재해야 할 것이다. 셋째, 창업교육에 참여하 학생 및 교강사들의 컴퓨터 활용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플랫폼은 비주얼하게 개발하여 학생 및 교강사가 쉽고, 부담 없이 접근할 수 있는 이용자 인터페이스를 채택해야 하며, 아울러 이해하기 쉬운 메뉴와 간결하게 구현해서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이것은 온라인 창업교육 플랫폼 사용의 효율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학생들에게는 플랫폼 통하여 자신들의 창업 능력을 배양하여 학습에 도움이 되어야 하며, 교강사에게는 언제든 실시간으로 최신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플랫폼에 대한 신뢰성이 확보 될 수 있도록 설계 되어야만 창업교육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으며, 대학 등에서는 보다 안정적인 학생 관리에 최선을 다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for Standardizing and Efficient Maintaining Multi-dimensional Geospatial River Data (다차원 하천공간정보 표준화 및 효율적 유지관리 기술 연구)

  • Kim, Dongsu;Kim, Kyungdong;You, Hojun;Yeo, Hong-k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56-56
    • /
    • 2021
  • 하천단면이나 하상변동 추적 등 하천공간정보는 유량이나 강우 등 수문시계열 정보와 더불어 계획홍수위 산정이나 하천구조물 신설로 인한 하천의 변화를 추적하는 데 있어 근간을 이루는 주요 정보로 국가차원의 유지 및 관리가 필요하다. 국내의 하천공간정보는 RIMGIS, WAMIS, 하천 일람, WINS와 같은 웹기반 시스템에서 정보화 되어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RIMGIS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노정하고 있어 개선을 적극적으로 검토해볼 시점이라고 볼 있다. 우선, RIMGIS는 구축이 10년 이상된 기술로 구성되어 온라인 시스템 실행속도가 느리고, 물관리 일원화 와중에 관리주체가 불분명해진 상태이며, 제공되는 정보도 하천망이나 유역 정도로 차원 및 정확도도 낮고 활용도 및 현행화도 부족한 상태이다. 또한 공간정보 관리 DB표준으로 효율적인 관계형 구조 대신 하천대장 등을 수치화한 개념의 레이어 단위의 주제도로 관리하다보니 자료중복이 불가피하여 시스템이 무겁고, 자료간 연관검색이 거의 불가하고, 신속한 하천지형 변화 업데이트가 어려운 상태이다. 최근 진행되고 있는 RIMGIS 개선 사업은 여전히 종래의 레이어 단위의 주제도들을 추가하거나 개정하는 데 머물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다 보니 현재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하천정보시스템인 RIMGIS의 실무 활용도는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장 실무활용도를 저하시키고 현행화 상의 문제로 지적되는 부분은 하천정비기본계획 수립 시 발생한 공간자료 관리 부실이다. 현재 RIMGIS에서는 하천기본계획보고서만 PDF 형태로 제공할 뿐, 실제 지형자료는 과업을 수행한 설계사에 개별 보관되어 활용도뿐만아니라 망실의 우려가 높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기본계획수립 시 측량되는 단면을 포함한 다양한 공간자료를 관계형으로 표준화 DB에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Geoweb Service Based on Mobile Web (모바일웹 환경에서의 지오웹 서비스 구현에 관한 연구)

  • Ahn, Jae-Seong;Kim, Hyu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145-146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모바일웹 방식으로 지오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지원용 서비스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구현한 서비스는 LH의 택지개발업무 중 기본조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현장업무를 지원하는 것이다. HTML5를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스마트폰 디바이스에 접근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며, 온라인 지도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OpenAPI와 OWS(OpenGIS Web Service)를 융합하는 모바일 메시업 기법을 적용하였다.

  • PDF

모바일 혁명시대의 공인인증서 이용 현황 및 정책 방향

  • Kang, Pil-Yong
    • Review of KIISC
    • /
    • v.21 no.1
    • /
    • pp.51-56
    • /
    • 2011
  • '손안의 PC'로 비유되는 스마트폰의 등장 및 폭발적인 보급과 함께 온라인 정보서비스 패러다임이 모바일 환경으로 급속히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환경은 시간 및 공간의 제약없이 정보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취약한 보안 환경으로 인한 정보보호에 대한 우려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사이버 인감증명서로 비유되는 공인인증서는 여전히 보편적인 신뢰수단으로 그 위상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본 고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공인인증서비스 현황 몇 안전성 신뢰성 제고를 위한 정책 방향을 소개한다.

A Study on Display Format of Thesaurus (시소러스의 표시형식에 관한 연구)

  • 최석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4.12a
    • /
    • pp.105-108
    • /
    • 1994
  • 시소러스는 다양한 형식과 순서로 표시되며. 인쇄매체인 경우와 화면인 경우에 따라 형식이 달라지게 된다. 온라인시소러스에서는 여러 가지 표시방법을 제공할 수 있으며 즉시 관련색인과 연관시켜 참조할 수 있으나 인쇄시소러스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있으므로 표시방법을 달리 고려하여야 한다. 특히 인쇄시소러스는 어떤 개념을 찾았을 때 그 개념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한꺼번에 볼 수 있어야 한다. 관련부분을 다시 참조하는 것은 온라인시소러스에 비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인쇄시소러스의 각 표시방법에 대한 장단점을 고찰하고 보다 바람직한 표시형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