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옥수수 뿌리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109초

벼과식물로부터 질소고정균의 분리와 Nitrogenase 활성 측정 (Isolation of Nitrogen-Fixing Bacteria from Gramineous Crops and Measurement of Nitrogenase Activity)

  • 최은화;이상은;윤기순;권덕기;손재근;박승환;한명숙;김사열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24
    • /
    • 2003
  • 벼과식물과 관련된 질소고정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한반도 남부지방의 19지역에서 쌀, 밀, 귀리, 보리, 호밀, 옥수수 등을 채집하여 이들의 뿌리로부터 free living bacteria와 endophyte를 분류하였다. Colony의 형태, 크기, 색깔 등과 16S rDNA 염기서열을 근거로 63종으로 분류하였다. nifH 유전자 염기서열 결정과 nitrogenase 활성 측정을 통하여 분리균주 모두 질소고정 능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식물에서 분리한 내생균의 특징 중 하나인 cellulase활성이 대부분의 분리 균주에서 확인되었다.

고려인삼의 직파재배에 관한 조사 연구 (Farm Study of Direct Seeding Cultivation of the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 A. Meyer))

  • 원준연;조재성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08-313
    • /
    • 1999
  • 단기.다수확을 목표로 하는 인삼의 직파재배는 육묘와 이식을 결합한 재배방법으로서 생산비의 절감과 생산성의 향상을 위한 재배양식이다. 직파 재배의 문제점을 구명하고 직파재배 기술체계의 수립을 위한 기초를 확립하고자 본 조사 연구를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직파재배 인삼포 예정지의 전작물로는 벼, 옥수수 및 호밀이 주로 재배되었고 예정지 관리시에 사용하는 유기물로로는 볏짚, 계분 및 호밀 짚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예정지관리 후 직판시에는 토직묘포의 직판과 같은 방법으로 돌과 흙덩이만 골라 내고 이랑을 만들었으며 두둑의 흙을 체로 친 경우는 전혀 없었다. 2. 직파재배 인삼포의 파종밀도는 간당 196-210립으로 밀식된 상태였으며 발아율은 67%였다. 4년생의 생존율은 51%로서 이식재배 76%에 비해 현저히 낮았으나 간당 생존본수는 100본 이상으로 이식재배보다 많았다. 3. 이식재배에서와는 달리 직파재배 인삼포에서 많이 발생되었던 병은 회색곰팡이병, 모잘록병 및 줄기반점병을 위시한 줄기를 침해하는 병들이었다. 4, 3년생에서는 이식재배에 비해 직파재배한 인삼 엽장이 길었으나 4년생에서는 직파재배한 인삼의 엽장이 오히려 짧았으며, 경의 생육도 3년생에서는 직파재배 인삼이 좋았으나 4년생에서는 직파재배 인삼이 이식재배에 비해 저조하였다. 5. 전체적인 생육상은 이식재배 인삼과 대등하였으나 포장간의 생육차이가 큰 경향이었다. 직파재배 인삼은 비교적 뿌리가 짧았고 뿌리의 크기도 이식재배 인삼에 비해 약간 작은 경향이었으나 간당 뿌리 수확량은 이식재배에 비해 많았다.

  • PDF

밭 작물에서 분리한 균근균의 접종 효과 비교 (Comparative Study of Infection Effects with AMF (Arbuscular-Mycorrhizal Fungi) Isolated from Upland Plants)

  • 김석진;김지현;김진경;장광진;최장남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4-201
    • /
    • 2014
  • AMF의 특징 및 접종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경기 지역에서 토양 시료를 채집하고 AMF 포자를 분리하여 포자 및 감염 구조의 특징을 관찰하였으며 고추에 접종 후 생육 비교 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토양 시료에서 분리된 AMF 포자들은 대체적으로 원형, 타원형의 형태였으며 다양한 포자 색깔 중에서는 연노란색의 포자가 많은 분포를 나타냈다. 포자의 크기는 평균 $48.4{\mu}m$였으며 낭상체의 크기는 평균 $99.7{\mu}m$였다. 옥수수에 접종 배양한 AMF의 뿌리 감염률은 13.3~83.3%의 범위를 나타냈으며 옥수수를 기주로 하는 토양 시료를 접종 후 배양했을 때 평균 75% 이상의 높은 감염률을 나타냈다. AMF를 고추에 처리했을 때 무처리구에 비해 생체중과 건물중, 초장은 다소 증가했지만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하지만 3회에 걸친 수량 조사에서는 각각의 수확시기와 전체 평균 누적 수확량에서 모두 2배 이상 차이를 보여 AMF를 고추에 처리했을 때 수량성면에서는 뚜렷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밭작물을 중심으로 분리된 AMF 포자를 다른 작물에 적용했을 때 효과의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AMF가 식물 생육을 촉진할 수 있는 친환경 균근균 비료 자원으로서 다양한 작물과 재배지에서 적용할 수 있는 AMF의 접종원 대량 생산 시스템 및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수수의 타감작용(他感作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Allelopathic Effect of Sorghum Extract and Residues on Selected Crops and Weeds)

  • 김상열;에스 케이 디다타;알 피이 로블레스;김길웅;이상철;신동현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4-41
    • /
    • 1994
  • 생물검정 결과 수수에 함유된 타감물질의 억제 효과는 공시 식물, 사용부위 및 사용 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공시 작물 및 잡초 모두가 줄기에서 추출한 물질에 의해 발아 및 생장이 억제되었는데 작물은 무우, 밀, 벼 순으로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옥수수에서 억제효과가 가장 적었다. 잡초는 Ipomoea, triloba에서 가장 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Echinochloa colona, Rottboellia cochinchinensis 순으로 나타났다. 수수의 부위별로 타감물질의 억제정도를 조사한 결과 E. colona에서는 줄기 부위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7.5%(w/v) 에서 E. colona의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으나 잎, 뿌리는 억제효과가 크지 않았다. 무우에서는 줄기, 잎, 뿌리 모두가 비슷하게 억제 작용을 나타냈으며 5%에서 무우의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온실에서 수수 줄기를 이용해서 mulching 실험을 한 결과 줄기의 타감물질이 E. colona와 무우에 상당한 억제효과가 있다는 것이 확인이 되었다.

  • PDF

토양(土壤)개량(改良)이 Fusarium solani 에 의한 인삼근부병과(人蔘根腐病)과 미생물(微生物) 변동(變動)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s of Amendments on Ginseng Root Rot Caused by Fusarium solani Population Changes of the Microorganisms in Soil)

  • 손서규;신현성;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1-47
    • /
    • 1985
  • 18종(種)의 식물질(植物質)을 토양(土壤)에 첨가(添加)하여 개량(改良)한 토양(土壤)에 인삼근부병원(人蔘根腐病原)에 하나인 Fusarium solani의 후막포수(厚膜胞數)$5{\times}10^3\;Cells/g\;soil)$를 접종(接種)하고 여기에 지표(指標)가 되는 식물(植物) 로 완두(Pisium sativa L.)를 심어 이병성(罹病性) 정도(程度)에 의하여 개량효과를(改良效果) 조사하고 또한 개량물질(改良物質)의 처리(處理) 전(前)과 후(後)의 토양내(土壤內)의 미생물분포(微生物分布)의 변동(變動)을 비교(比較)하였다. 식물질(植物質)로 개량(改良)한 토양처리구(土壤處理區)에서 분쇄밀처리구에서는 대조구(對照區) 이상으로 이병성( 罹病性)이 높았고, 다음이 고구마 줄기, 배추, 인삼잎 및 콩깍지의 순이였다. 반면 마늘 뿌리를 처리한 토양에서는 이병률(罹病率)이 가장 낮아 효과적(效果的) 인 개량물질(改良物質)이었고, 다음에 파, 양배추, 들깨대, 밀짚, 보리짚등에서도 이병률(罹病率)이 감소(減少)하였다. 총균수(總菌數)는 파, 콩, 분쇄밀, 옥수수대, 배추등에서 다수(多數)하였고, 반면 밀짚, 마늘뿌리, 양배추, 보리짚 등의 처리구에서는 감소하였다. 세균수(細菌數)는 콩, 양배추, 무우줄기, 파, 분쇄밀처리구에서는 증가(增加)되었으나 보리, 담배뿌리, 인삼대, 밀짚등에서는 감소(減少)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방선균(放線菌)의 분포(分布)는 콩처리구에서만 증가(增加)하였으나 기타는 대조구(對照區) 보다 감소(減少)하고 담배뿌리와 마늘대에서는 그 수(數)가 감소(減少)되었다. Fusarium spp의 분포수(分布數)는 배추, 파, 무우줄기, 분쇄밀, 고구마줄기 등의 처리구에서는 증가(增加)하고 반대로 밀짚, 인삼잎, 양배추등의 처리구는 대조구(對照區) 보다 감소(減少)하였다.

  • PDF

소리쟁이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뿌리의 중금속 흡착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Rumex crispus and Metal Adsorptivity of it's Root)

  • 정갑섭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934-940
    • /
    • 2012
  • 소리쟁이 에탄올 추출물의 환원력, 전자공여능, 산화안정도 등 항산화활성과 소리쟁이 분말에 의한 수중의 Pb(II)와 Cd(II)의 흡착성능을 측정하였다. 추출액의 고형분 함량에 의한 추출율은 추출조건에 따라 1.9~3.0%로서 추출용매비가 낮을수록,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환원력과 전자공여능은 용매비에 반비례하고 추출온도에 비례하였으며, 20배의 용매비와 $75^{\circ}C$의 온도에서 추출물의 환원력과 전자공여능은 ascorbic acid의 86.4%와 91%에 각각 대응되었다. 옥수수 배아 식용유에 대한 추출물의 산화안정성은 실험 조건에 따라 합성 항산화제인 BHT의 86~91.3%의 성능을 보였다. 그리고 소리쟁이에 의한 중금속 흡착능은 Cd(II)보다 Pb(II)가 훨씬 높았으며, 흡착시간 60분에서 초기 농도 20ppm의 경우 Pb(II)의 흡착률은 88%이었으며, Cd(II)는 Pb(II)의 92%정도로 나타났다.

Strigol 유사체의 합성 (Synthesis of Strigol Analogues)

  • 김인규;홍영택;김성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64-769
    • /
    • 1992
  • Strigol은 목화의 뿌리에서 추출된 천연물로서 벼, 옥수수, 사탕수수 등에 기생하는 피류(striga species) 등의 씨앗을 발아시키는데 월등한 효능을 보인다 $(10^{-12} ∼ 10^{-11}M, 80% 발아)$. 그런데 이러한 잡초는 오랜기간(15∼20년) 동안 흙속에서 휴면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방제가 매우 어렵다. 이들을 방제할 수 있는 제초제 개발을 위해서 여러가지 strigol 유사체들인 3-methyl-4-(2-oxo-3,3a,6,6a-tetrahydro-2H-cyclopenta[b]furan-3-ylidenemethoxy)-but-2-en-4-olide(21), 4-(2-oxo-3,3a,6,6a-tetrahydro-2H-cyclopenta[b]furan-3-ylidenemethoxy)but-2-en-4-oilde(22), 3-methyl-4-(2-oxotetrahydrofuran-3-ylidenemethoxy)-but-2-en-4-olide(23), 4-(2-oxotetrahydrofuran-3-ylidenemethoxy)-but-2-en-4-olide(24)등을 합성하였다.

  • PDF

근권토양의 환경이 고추역병 억제 미생물 Serratia plymuthica A21-4의 고추뿌리와 근권 토양 정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Colonization of Serratia plymuthica A21-4 in Rhizosphere Soil and Root of Pepper in Different Soil Environment)

  • 조박;신순선;문재예;송상;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5권2호
    • /
    • pp.101-105
    • /
    • 2009
  • Serratia plymuthica A21-4는 양파(Allitum fistulosum L.) 근권에서 분리된 고추 역병 생물적 방제 미생물이다. 토양 환경이 S. plymuthica A2l-4 근권정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사질이 많이 포함되어 공극이 많은토양에 3% 중량(w/w)의 부숙된 옥수수 줄기를 첨가하고 토양 수분함양이 40% 정도, 토양온도가 $20^{\circ}C$, 토양 pH가 중성이거나 약산성 토양이 S. plymuthica A2l-4의 근권정착에 유리하였다. 그리고 토착미생물이 있는 것이 살균한 토양에서 보다 S. plymuthica A21-4의 근권정착에 유리하였다.

담수 처리에 따른 옥수수 자식 계통의 지상부와 뿌리의 생육 및 형태적 특성 (Effect of Waterlogging on Growth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oots of Maize Inbred Lines)

  • 이지현;신명나;정건호;김정태;차정은;심강보;이재은;손범영;김상곤;구본일;이석기;전원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27-235
    • /
    • 2020
  • 본 연구는 옥수수 습해 저항성 계통과 감수성 계통의 지상부와 지하부 제형질과 뿌리의 형태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6개의 국내 자식 계통을 유묘기(V3)에 10일간 담수처리 한 후 엽노화 정도로 내습성을 평가 한 결과 KS85은 황화엽수 3.33개, 노화정도 5.54로 가장 피해가 커 습해 감수성을 보였으며, KS141은 황화엽수 1.33개, 노화정도 3으로 가장 피해가 적어 습해 저항성을 보였다. KS85와 KS141을 담수 처리 후 20일에 조사한 결과 KS85와 K141의 지상부 건물중은 무처리구 대비 각각 86.1%, 77.0%가 감소되었고, 지하부 건물중은 KS85와 K141이 무처리구 대비 각각 77.6%, 65.0% 감소하여 습해 저항성인 KS141이 감수성인 KS85에 비해 건물중 감소량이 적었다. 두 계통의 지하부 nodal root의 SEM 촬영 결과 피층의 두께가 KS141이 KS85보다 더 현저히 두꺼웠으며 담수 처리 후 KS85는 KS141에 비해 피층의 뒤틀림이 심하여 피층의 두께가 내습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진다.

토양중(土壤中) 신생(新生) 및 숙성(熟成) Bentazon 잔유물(殘油物)의 벼에 의(依)한 흡수(吸收) (Bioavailability Soil-aged Residues of the Herbicide Bentazon to Rice Plants)

  • 이재구;경기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2권4호
    • /
    • pp.393-400
    • /
    • 1989
  • 토양 중에서 3개월과 6개월간 $^{14}C-bentazon$을 숙성시키는 동안 방출된 $^{14}CO_2$의 량은 처리 방사능의 각각 6.1과 14.8%이었다. 토양중의 지렁이는 벼의 뿌리에 의한 $^{14}C-bentazon$의 흡수를 증가시켰다. 토양중의 $^{14}C-bentazon$으로부터 방출되는 $^{14}CO_2$량은 벼를 재배하거나 지렁이가 존재할 때 증가하였다. 벼에 의한 $^{14}C-bentazon$ 잔류물의 흡수는 토양중 지렁이의 유무에 관계없이 숙성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하였다. 벼의 경우에는 옥수수를 이용한 연구와 비교해 볼 때 $^{14}C-$표지화합물의 훨씬 많은 량이 지상부로 이행되었다. 추출 불가능한 흡착잔류물의 량은 3개월까지는 숙성기간이 증가할수록 현저히 증가하였다. 토양으로부터 추출된 화합물의 극성은 숙성기간과 벼의 생육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이는 극성 대사 산물의 형성을 시사해 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