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오징어 먹즙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8초

오징어 먹즙 첨가가 저 식염 오징어 젓갈의 단백질분해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Squid Ink Added to Low-Salted Squid Jeot-gal on Its Proteolytic Characteristics)

  • 오성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48-355
    • /
    • 2013
  • 오징어 젓갈에 오징어 먹즙을 2% 및 4% 농도로 첨가하고 $10^{\circ}C$에서 8주일간, $20^{\circ}C$에서 32일간 숙성시키면서 아미노태 질소와 근육단백질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징어 먹즙이 첨가되지 않은 오징어 젓갈의 아미노태 질소는 식염 농도가 낮고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후반까지 계속 유의성 높게 증가하여 숙성이 촉진되었으며 오징어 근육의 단백질 변화는 myosin heavy chain이 숙성 초반에 현저히 분해되지만 actin의 변화는 거의 없어서 protease에 강하였다. 오징어 먹즙을 첨가한 오징어 젓갈의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숙성후반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나 증가폭은 무 첨가군에 비하여 적었으며 오징어 근육 단백질 중 myosin heavy chain은 숙성 중반에 현저히 분해되었으며 식염농도가 높고, 온도가 낮은 먹즙 첨가군은 분해 속도가 느렸다.

오징어 먹즙 첨가에 따른 오징어 젓갈의 휘발성 염기질소 및 갈변도의 변화 (The Changes of Volatile Basic Nitrogen and Browing in Salt Fermented Squid Affected by Adding to Squid Ink)

  • 오성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31-637
    • /
    • 2012
  • 오징어 먹즙을 오징어 젓갈에 2% 및 4% 농도로 첨가하고 $10^{\circ}C$에서 8주일간, $20^{\circ}C$에서 32일간 숙성시키면서 휘발성염기질소와 갈변도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오징어 먹즙을 첨가하지 않은 오징어 젓갈의 숙성 중 휘발성염기질소는 염 농도가 낮고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숙성 후반까지 계속 유의성 높게 증가하여 숙성이 촉진되었다. 갈변도는 숙성초반 증가하였다가 중반이후 다시 감소하였다. 오징어 먹즙 첨가한 오징어 젓갈의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은 숙성후반까지 계속 증가하였으나 증가폭은 무 첨가군에 비하여 작았다.

저염 오징어 젓갈의 숙성 중 오징어 먹즙 첨가가 젖산균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Squid Ink Added to Low Salt Fermented Squid on Its Changes in Lactic Acid Bacteria)

  • 오성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78-684
    • /
    • 2013
  • 오징어 먹즙을 첨가하지 않은 저염 오징어 젓갈은 숙성 발효에 따라 숙성 초기에 젖산균 총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Leuconostoc이 증가하여 숙성 적기에 최대량을 나타내고 이후 서서히 감소하였다. Lactobacillus는 숙성 적기 이후의 총 균수의 대부분을 차지할 만큼 균수가 많아지므로 숙성 적기 이후 품질에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Streptococcus와 Pediococcus는 숙성 적기까지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Yeast는 숙성 중기 이후에 검출되고, 숙성 말기에 급격히 증가하므로 부패에 주로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오징어 먹즙을 첨가한 저염 오징어 젓갈의 숙성발효에 따른 젖산균의 변화를 보면 총 균수는 숙성 중반까지 증가하다가 중반 이후 약간 감소하였으나, 최대치에 도달하는 기간은 무 첨가군에 비하여 길었고, 젖산균 중 Leuconostoc, Streptococcus 및 Pediococcus는 숙성 후반까지 증가하였다가 후반에 감소하는 반면에, Lactobacillus는 숙성 후반까지 계속 증가하였다. Yeast는 숙성 초기에는 거의 증가하지 않다가 숙성 중반 이후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경향은 무 첨가군과 유사하였으나 젖산균의 수가 무 첨가군에 비하여 적었다. 오징어 먹즙을 첨가한 저염 오징어 젓갈에서 모든 균들의 수가 감소되어 오징어 먹즙이 균들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산 미이용자원 중에 존재하는 효소적 산화 억제제의 검색 -2. 감자 Lipoxygenase-II에 의한 효소적 산화에 대한 억제- (Screening for Potato Lipoxygenase-II Inhibitor in Unused Marine Resources by the Polarographic Method-)

  • 조순영;유병진;장미화;이수정;성낙주;이응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451-455
    • /
    • 1994
  • 수산 미이용자원을 의약품화 등 고부가가치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기초자료 수집을 위해 본 감자 lipoxygenase-II 활성을 조절해 줄 수 있는 천연 저해제의 존재유무를 8종의 수산 미이용자원을 대상으로 각각 순차용매 추출한 후 그들 용매 추출물들에 대해 검색 시도해 보았다. 시험 대상 시료는 별불가사리(Asterina pectinifera), 우렁쉥이(Holocynthia rotetzi)껍질, 오징어(Nototodarus sloani) 먹즙, 성게(Anthocidaris crassispina)껍질,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rneri), 구멍쇠미역(Agarum cribrosum), 참빗풀(Odonthalia corymbifera) 및 산말(Desmarestia ligulata) 등이었다. 모자반은 물 추출구, 에테르 추출구, 아세톤 추출구 및 메탄올 추출구 모두에서 $IC_{50}$이 각각 320, 18, 9.5 및 $100\;{\mu}g/ml$로 나타나 낮은 농도의 첨가로도 높은 감자 lipoxygenase-II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불가사리 에테르 추출구와 오징어 먹즙 아세톤 추출구에서도 $IC_{50}$이 각각 29.5, $14.3\;{\mu}g/ml$로 비교적 높은 저해능을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모자반, 구멍쇠미역, 참빗풀, 산말 등 4종의 시험 대상 해조류에 불가사리, 성게, 우렁쉥이껍질, 오징어 먹즙 등 4종의 대상 수산 미이용동물자원에서 보다 저해제가 많이 내재해 있었다. 더욱이, 전반적으로 각 대상 시료의 에테르나 아세톤 등의 비극성용매 추출구쪽에서 물이나 메탄올과 같은 극성용매쪽보다 많은 유용물질의 용출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저염 오징어 젓갈의 숙성 중 오징어 먹즙이 물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quid Ink on the Textural Properties of Squid during Low Salt Fermentation)

  • 오성천;송수익;장기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88-493
    • /
    • 2013
  • This study shows the effect of 4% squid ink on the textural properties of squid during fermentation for 8 weeks at $10^{\circ}C$ or 32 days at $20^{\circ}C$ in 5% salt solution. Although the hardness and chewiness of the squid fermented with squid ink continuously decreased during fermentation, the degree of decrease was smaller than that of squid fermented without squid ink. We can conclude that squid ink inhibited the ripening of the low salt fermented squid.

오징어 먹즙 첨가에 따른 저염 오징어 젓갈의 적정산도 및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The Changes of Titrable Acidity and Free Amino Acids in Low Salt Fermented Squid Affected by Adding to Squid Ink)

  • 오성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17-525
    • /
    • 2011
  • Squid ink was added to the low salt fermented squid by 4% of concentration and ripened at $10^{\circ}C$ for 6 weeks and at $20^{\circ}C$ for 28 days. The effect of the squid ink on the titrable acidity and free amino acids of low salt fermented squid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titrable acidity in the salt fermented squid without addition of the squid ink was continuously decreased except for the salt fermented squid with 9% salt content till the latter stage of the ripening, had larger decreasing range than treatment groups. Seeing the composition of free amino acid, the major amino acids are proline, arginine, glutamic acid. leucine and glycine.

오징어 먹즙 첨가에 따른 저염 오징어 젓갈의 비휘발성 유기산 변화 (The Changes of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Low Salt Fermented Squid Affected by Adding to Squid Ink)

  • 오성천;조정순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4-71
    • /
    • 2003
  • Squid ink was added to the low salt fermented squid by 4% of concentration and ripened at 10$^{\cric}C$ for 6 weeks and at 20$^{\cric}C$ for 28 days. The effect of the squid ink on the non-volatile organic acids of low salt fermented squid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on-volatile organic acid in the salt fermented squid without addition of the squid ink was examin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lactic and acetic acids were the major organic acids even if very small amount of citric and oxalic acids were detected. In the squid ink added to the low salt fermented squid, total quantity of non-volatile organic acid in the latter part of the ripening was lower than no treatment groups.

수산 미이용자원 중에 존재하는 항변이원성 물질의 검색 (Screening for Antimutagenic Compounds in Unused Marine Resources by the Modified Ames Test)

  • 조순영;유병진;장미화;이수정;성낙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94-297
    • /
    • 1995
  • 천연 생리활성물질의 개발과 수산미이용자원의 효율적 이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별불가사리, 오징어먹즙, 성게껍질, 우렁쉥이 껍질, 구멍쇠미역, 산말, 모자반, 참빗풀 등을 대상으로 물, 에테르, 아세톤, 메탄올로 순차 용매추출하여 각 시료의 각 용매 추출구간별로 항변이 원성 물질 검색을 시도하였다. 항변이원성 검색 결과, 8종의 수산 미이용자원의 여러 순차 용매 추출구들 중에서도 단지 우렁쉥이 껍질의 에테르 추출구에서만 변이원 활성 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그 추출액의 농도가 높을수록 항변이원성 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수산 미이용자원 중에 존재하는 항산화 물질의 검색 (Screening for the Antioxidants in Unused Marine Resources by the Polarographic Method)

  • 조순영;유병진;장미화;이수정;성낙주;이용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17-421
    • /
    • 1994
  • 수산 미이용자원의 순차 용매추출물에 대한 항산화물 존재 여부 검색결과, 모자반의 경우 $IC_{50}$이 물추출구에서 $500{\mu}g/ml$, 에테르 추출구 및 메탄올 추출구에서 각각 $133,700{\mu}g/ml$로 나타났으며, 참빗풀은 에테르, 아세톤, 메탄올 추출구에서 $IC_{50}$이 각각 30, 110 및 $200{\mu}g/ml$로 나타나 대상 시료중 가장 항산화 효과가 좋았다. 미이용 수산동물 중에서는 오징어먹즙만이 물 추출구와 메탄올 추출구에서 $IC_{50}$이 각각 $390,\;100{\mu}g/ml$로 나타날 뿐 큰 항산화효과를 보이는 시료나 추출구간은 없었다. 대상 수산 미이용 동 식물에 있어서 에테르와 같은 비극성 용매 추출구에 강한 항산화 물질이 많이 용출되어 존재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산 미이용자원 중에 존재하는 효소적 산화 억제제의 검색 1. 감자 Lipoxygenase-1에 의한 효소적 산화에 대한 억제 (Screening for Potato Lipoxygenase-1 Inhibitor in Unused MArine Resources by the Polarographic Method)

  • 조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59-963
    • /
    • 1994
  • 성인병 에방물질의 가능성을 지닌 5-lipoxygenase 활성 저해제가 8종의 수산 미이용자원의 순차 용매 추출구간들 중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수산 미이용자원의 고부가 가치적 이용 방안 모색을 위해 시도해 보았다. 그 결과, 대상자료에 대한 여러 용매 추출구들의 거의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5-lipoxygenase 효소저해능을 나타내었다. 그 중 수산동물의 경우, 불가사리의 에테르 추출구와 아세톤 추출구, 우렁쉥이 껍질의 아세톤 추출구, 오징어먹즙의 아세톤 추출구와 메탄올 추출구에서 $IC_{50}$이 각각 72.5, 65, 13.3, 13.3 및 $75\mu\textrm{g}/ml$로 높은 5-lipoxygenase 활성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시험대상 해조류 중 구멍쇠미역의 아세톤 추출구, 모자반의 물 추출구, 에테르 추출구 및 아세톤 추출구, 산말의 에테르와 아세톤 추출구에서 $IC_{50}$이 각각 15.5, 46.5, 5.03, 1.1, 30.5 및 $35\mu\textrm{g}/ml$로서 매우 높은 저해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활성물질에 대한 보다 더 순수한 분리 후 동정을 행하여 대량 생산만 된다면, 효소적 산화방지제로서 뿐 아니라 생체내 산화조절제로서도 이용가능할 것이므로 수산 미이용자원의 고부가 가치적 이용방안의 하나가 되리라 여겨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