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오염지반

검색결과 410건 처리시간 0.026초

환경이중파일 기법에 의한 저투수성 오염토양의 정화 (Remediation of a Low Permeable Soil by Environmental Double Pile)

  • 박상규;이기호;박준범;임만빈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5호
    • /
    • pp.243-252
    • /
    • 2003
  • 저투수성 오염토양을 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환경이중파일 공법을 제안하였다. 환경이중파일은 저투수성 오염지반에 적용되어 배수촉진, 오염정화, 말뚝에 의한 지반지지력 증가의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하여 부지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One Step Process 개념의 신기술이다. 기술의 현장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환경이중파일의 배수, 강도, 정화특성을 일련의 실험 등을 통해 평가하였으며, 정화 및 연약지반개량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폐 Magnesia-Carbon Powder를 이용한 연약지반 고형화 및 강도 증진에 대한연구 (Study on Solidification and Strength of Soft Soils by Using Waste Magnesia-Carbon Powder)

  • 최훈;송명신;강현주;정의담;김주성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35-40
    • /
    • 2011
  • 제철소에서 용강을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전로(Converter)나 레이들(Ladle) 등의 노체용 내장 내화물로 마그네시아-카본벽돌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사용되고 있는 마그네시아-카본 벽돌의 경우 교체 이후 전량폐기되고 있다. 이렇게 폐기되는 폐 마그네시아-카본 벽돌을 분쇄하여 활성화재를 이용한 연약지반 및 오염지반의 고화재로 사용함으로써 연약지반 및 오염지반의 고형화를 통하여 연약지반의 강성증가와 함께 오염지반에서 발생하는 중금속 및 기타 유해물질의 용출에 대한 안정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폐 마그네시아-카본을 이용한 연약지반의 강도 증가에 대한 내용에 대하여 나타내었다.

전기저항 측정기법을 이용한 오염물질 누출감지시스템의 개발: I. 오염물질에 의한 지반의 전기적 특성 변화 (Development of Contaminant Leakage Detection System Using Electrical Resistance Measurement: I. Variations of Electrical Properties of Subsurface due to Contaminants)

  • 오명학;박준범;김영진;홍성완;이용훈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215-22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오염물질에 의해서 지반의 전기적 특성이 변한다는 원리에 의한 매립지의 침출수나 지하저장탱크의 유류 누출을 조기에 감지하는 시스템의 개발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오염물질이 누출되는 상황을 모사한 실내실험을 통하여 전기저항 측정에 의한 오염물질 누출감지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불포화사질토 지반의 전기 저항 측정값은 함수비가 증가함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오염물질이 지반에 주입될 경우에 디젤은 비전도성 물질로 지반의 전기저항을 크게 증가시켰으며, NaCl 용액과 침출수는 전기전도성이 좋기 때문에 지반의 전기저항을 감소시켰다. 오염물질의 누출에 의한 전기저항은 측정전극간격에 따라 감지민감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디젤의 경우에는 전극간격이 좁을수록, NaCl 용액과 침출수의 경우에는 전극간격이 높을수록 감지민감도가 크게 나타났다.

  • PDF

원유(Crude-Oil)로 오염된 사질토외 공학적 특성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Crude Oil-Contaminated Sands)

  • Eun Chul Shin;Seung Seo Hong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1-97
    • /
    • 1997
  • 원유로 오염된 지반의 지반공학적 연구는 환경적인 문제만큼 중요한 사안이나 국내에서는 이와같은 연구가 거의 연구되어지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심각도 또한 인지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반환경학적인 측면에서 원유로 오염된 사질토의 압축강도 특성, 전단강도 및 일축압축강도의 특성을 통하여 원유로 오염된 모래의 물리적 거동을 파악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원유로 오염된 모래지반이 오염되지 않은 지반의 내부마찰각이 간극속에 있는 원유로 인하여 감소하고 있으며 오염도에 따라서 강도정수들 또한 현저한 영향을 보이고 있다. 모래의 압축특성은 오염도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각 시험에 관한 자세한 결과치는 본 본문에 소개하였다.

  • PDF

폐기물매립지 침출수 누출방지를 위한 벤토나이트 복합라이너

  • 진성기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20권6호
    • /
    • pp.14-21
    • /
    • 2004
  • 우리나라에서는 발생 폐기물의 대부분을 매립방법으로 처리하고 있으나 차수층 및 침출수 처리장 등이 설치되지 않은 불량 매립지 형태가 대부분으로서 지하수 오염 및 지반환경오염 등의 심각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중략)

  • PDF

시멘트를 이용한 지반개량 및 시멘트계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에 의한 환경오염

  • 민수홍;문세흠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267-267
    • /
    • 2008
  • 시멘트를 이용한 지반개량 및 시멘트계 건설폐기물을 (예, 폐콘크리트, 및 시멘트 개량토 등) 성토재로 재활용하는 경우 지반 환경에 미칠 수 있는 영향으로는 (1) 시멘트에 함유된 6가 크롬($Cr^{6+}$) 및 (2) 강알칼리 물질의 용출이 있을 수 있다. 특히 $Cr^{6+}$의 경우 인체에 치명적인 발암성물질로 알려져 있어 이에 따른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 일본에서는 시멘트의 $Cr^{6+}$에 의한 지반오염이 우려됨에 따라 2000년 시멘트계 고화재를 지반에 사용하는 경우와 개량된 토양을 재이용하는 경우에는 토양환경기준을 만족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Cr^{6+}$외의 시멘트계 물질에 의한 환경오염으로는 강알칼리 물질의 유출이 있을 수 있다. 시멘트 개량토나 폐콘크리트 등의 건설폐기물을 성토재로 재활용하는 경우, 강우의 유입에 따라 구성물질인 수산화칼슘이 용해되어 높은 pH의 유출수가 발생한다. 강알칼리 유출수가 주변 하천 등으로 유입되는 경우 심각한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기술적 검토가 필요하다. 본 발표에서는 시멘트계 물질에 의한 일본의 지반환경오염 사례 및 대책을 소개하였다.

  • PDF

산업용 기름으로 오염된 지반의 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Contaminated with the Industrial Oil)

  • 조태룡;이영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25-134
    • /
    • 2000
  • 지반이 산업용 기름으로 오염될 때 지반의 강도변화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모래와 실트질 모래 및 카오리나이트를 대상으로 함수비아 함유비를 변화시키며 다짐실험, 투수실험, 비배수상태에서 삼축압축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밀도가 같은 모래의 경우는 기름을 혼합하였을 경우가 물을 혼합하였을 경우에 비해 약 7%정도 전단 강도가 떨어지고 실트질 모래와 카오리나이트 경우는 기름을 혼합하였을 경우가 물을 혼합하였을 경우에 비해 점토입자와 기름의 화학적, 물리학적인 상호 작용으로 5~15%정도 강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산업용 기름 유출에 따라 토양오염 및 수질오염으로 동.식물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나 토질역학적 거동은 초기 상태 및 모래에서는 전단 강도가 감소하였으나 점성토의 경우는 기름 유출 또는 유입에 따라 응집성, 부착성이 생겨 강도증가 현상을 가져와 큰 문제점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