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염원 관리

Search Result 70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and storage capacity in permeable pavement parking lot (투수성 주차장에서의 강우 유출저감 및 저류용량 분석)

  • Jung, Yongjun;Min, Kyungso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9 no.3
    • /
    • pp.296-302
    • /
    • 2017
  • Generally, a parking lot is constructed using asphalt or concrete. Such materials are impermeable, which means that a parking lot will directly release pollutants to any nearby water system during a rainfall event. An increased quantity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harms the ecohydrological system and causes further environmental damage leading to dysfunctional water circulation systems.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sign and application of Low Impact Development (LID) systems that allow more effective prevention of water circulation problems and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This study aims to support such efforts by analyzing a permeable paver parking lot constructed using one of the LID techniques and comparing it to a conventional one in terms of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 and runoff rainfall lag effects during a rainfall event; it could serve as a reference for the construction of permeable paver parking lots in the future.

Analysis of the Effect of Water Pollution Source in Cheongmi Stream Basi (청미천 유역에 대한 오염원 영향 분석)

  • Kim, Yeon Su;Jung, Tae Ho;Hwang, Shin Bum;Kim, Sang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19-519
    • /
    • 2017
  • 우리나라는 국토의 65%가 산악지형으로서 유역경사가 급한 특성으로 인해, 강우발생 시 유하시간의 감소로 인한 홍수피해와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한 수질오염에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수질관리의 일환으로 환경부에서는 '4대강 물관리종합대책'과 '물환경관리 기본계획' 등을 발표하며, 유역단위의 통합적 물관리를 실시하고 있다. 물환경관리 기본계획의 단위유역 단위의 목표수질 달성을 위한 중요 정책적 실행수단으로서 수질오염총량제가 있으며, 관리대상 오염물질로서는 BOD, T-P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환경부에서는 기존 BOD 중심의 유기물질 관리의 한계 극복과 환경기준 선진화의 일환으로서 수질 목표기준에 TOC를 설정하고 생활환경 기준에 질소의 도입을 추진하는 등의 경향을 볼 때, BOD와 T-P 중심의 목표수질 관리에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되며, 이에 따라 현행 관리 대상물질 외 수질항목에 대한 다양한 분석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청미천 본류의 환경부 물환경측정망 운영지점과 8개의 지류에 대해 2013년 6월부터 2015년 7월까지 8일 간격 수질 유량 자료에 대한 현장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BOD, COD, SS 등 총 6개 수질항목에 대하여 FDC(Flow Duration Curve)와 초과율(Exceedance Rate)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각 지류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의 농도가 청미천 본류의 분류된 구간과 청미A 단위유역 말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f Vulnerability Index for the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in SoOak River Watershed (소옥천 유역 비점오염 관리를 위한 취약성 지수분석 및 평가에 관한 연구)

  • KAL, Byung-Seok;MUN, Hyun-Saing;HONG, Seon-Hwa;PARK, Chun-Dong;GIL, Han-nui;PARK, Jae-Beo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2
    • /
    • pp.107-120
    • /
    • 2019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watershed and pollution source were investigated in SoOakcheon located in the upper stream of Daecheong Lake. The Dimension Index method was applied to index various watershed and pollution source data. The influence factors of each pollutant source were deriv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elected index and water quality monitoring data. BOD and COD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opulation density and land area ratio, T-N by CN and rice area ratio, and T-P by population density and land area ratio, respectively. The discharge load is often used to establish non-point source countermeasures, bu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load and the water load in the lake or river. Therefore, in order to manage non-point pollution efficiently, it is necessary to analyze influential factors with high correlation with water quality and to manage the relevant factors with priority.

Evaluation of significant pollutant sources affecting water quality of the Geum River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주성분분석(PCA) 방법을 이용한 금강 수질의 주요 오염원 영향 평가)

  • Legesse, Natnael Shiferaw;Kim, Jaeyoung;Seo, Dongi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8
    • /
    • pp.577-588
    • /
    • 2022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limiting nutrient for algal growth in the Geum River and the significant pollutant sources from the tributaries affecting the water quality and to provide a management alternative for an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n eight-year of daily data (2013~2020) were collected from the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water.nier.go.kr)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amis.go.kr). 14 water quality variables were analyzed at five water quality monitoring stations in the Geum River (WQ1-WQ5). In the Geum River, the water quality variables, especially Chl-a vary greatly in downstream of the river. In the open weir gate operation, TP (total phosphorus) and water temperature greatly influence the growth of algae in downstream of the river. A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investigate the factor affecting algal growth in the Geum River. At the downstream station (WQ5), TP and Temp have shown a strong correlation with Chl-a, indicating they significantly influence the algal bloom.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was applied to identify and prioritize the major pollutant sources of the two major tributaries of the river, Gab-cheon and Miho-cheon. PCA identifies three major pollutant sources for Gab-cheon and Miho-cheon, respectively. For Gab-cheon, wastewater treatment plant, urban, and agricultural pollutions pollution a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ollutant sources. For Miho-cheon, agricultural, urban, and forest land are identified as major pollutant sources. PCA seems to be effective in identifying water pollutant sources for the Geum River and its tributaries in detail and thus can be used to develop water quality management strategies.

Dissemination Effectiveness Analysis of outlet drain discharge for Paddy field (필지단위 배수물꼬 보급에 따른 효과 분석)

  • Ju, So Hee;Lee, Su In;Shin, Jae Young;Jang, Jeong-Ryeol;Choi, Joo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62-262
    • /
    • 2017
  • 새만금 유역의 농업비점오염원은 총수질오염원의 68%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는 새만금 유역의 농업비점오염원을 제어하지 못하면 새만금 담수호의 수질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다. 또한, 국내 논 용수 이용량은 국가수자원 총 이용량의 40.5%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논 배출수의 수량 및 수질관리가 농촌 비점오염 물질 관리에 매우 중요하다. 현재 많은 연구자들이 농촌 비점오염 물질을 저감하기 위하여 다양한 최적관리기법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대부분 시험포를 조성하고 제한된 실험조건에서 효과를 검증한 연구 결과로 실제 농민에게 최적관리기법을 보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유역 내 논에서 실제 영농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농민들에게 최적관리기법 중 하나인 물꼬장치를 보급하고 물꼬 높이를 조절하게 함으로써 농민 스스로 비점오염물질을 저감 할 수 있도록 장려하였다. 연구 대상지점은 전라북도 부안군 백산면 용계리 일대 논이며, 연구 기간은 5월부터 9월까지로 영농 활동기를 대상으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물꼬 높이 조절은 중간낙수기 이전은 7 cm, 중간낙수 이후와 비영농기에는 물꼬 높이를 12 cm로 높여서 유지하도록 하였다. 농민 스스로 물꼬 높이를 조절하여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할 수 있도록 물꼬 보급 이후 정기적으로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후 영농 활동기별 유출량을 비교한 결과 관행 대비 평시 14%, 써레질 및 이앙기 3%, 강우시 15%, 중간낙수 기간에는 11%, 완전 물떼기 기간에는 10%의 저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필지별 농도 및 오염부하 비교 결과 배수물꼬 적용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배수물꼬 장치를 설치할 경우 유출량을 저감에는 큰 효과가 있었으나 농도를 줄이는데 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본 연구 결과는 2016년 1년간의 짧은 연구기간동안의 자료이므로 추가적인 장기모니터링 연구를 통해 더 많은 자료구축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