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염원소

Search Result 45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삼중수소수 처리를 위한 전기분해-촉매교환 결합공정 모델링

  • 김광락;안도희;백승우;이민수;임성팔;정홍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4.06a
    • /
    • pp.236-236
    • /
    • 2004
  • 삼중수소수 오염처리의 선행공정으로 적합한 전기분해-촉매교환 결합공정(CECE process)은 수소동위원소 산화물의 수소화 전환을 위한 전해셀과 다단 액상촉매 교환탑으로 이루어진 탈삼중수소 공정이다(그림 1). 촉매탑은 수소 흐름에 수증기를 동반하도록 하는 친수층과 수증기-수소간의 수소동위원소 교환반응을 유도하는 촉매층으로 구분되며, 탑 상부에는 수소의 산화 반응기 그리고 하부에는 물의 수소화 전해셀로 구성되어 있다(그림 2).(중략)

  • PDF

Assessment of Indoor Radon Pollution from Underground Water (지하수로부터의 라돈 실내오염 평가)

  • 유동한;김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11a
    • /
    • pp.130-131
    • /
    • 2000
  • 라돈(Rn-222)은 우라늄(U-238) 방사능계열의 원소로서 라듐(Ra-226)의 붕괴시 자연생성되는 가스상 물질이다. 화학적으로는 불활성이며 무색, 무취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공기보다 8∼9배 무겁기 때문에 지표면 가깝게 존재하므로 인체노출이 쉬운 물질로 알려져 있다. 라돈은 최근까지도 온천 등지에서 건강에 매우 좋은 원소로 알려져 왔으나 사실은 기준치 이상의 라돈을 마시거나 호흡했을 경우, 치명적인 폐암을 유발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Doull et al, 1999) (중략)

  • PDF

Environmental Isotope - Aided studies on Sea Water contamination of Eastern Coastal Aquifer in Cheju Island (환경동위원소(環境同位元素)를 이용(利用)한 제주동부지역(濟州東部地域) 대수층(帶水層)의 해수오염(海水汚染)에 관(關)한 연구(硏究))

  • Ahn, Jong-Sung;Kim, Sun-Joon;U, Zang-Kual;Song, Sung-J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11 no.1
    • /
    • pp.26-40
    • /
    • 1992
  • Cheju Island formed by Quarternary volcanism provides highly permeable hydrogeological environment. To meet the increasing demand of water in the island, many groundwater wells have been developed. The environmental isotopes(oxygen-18, deuterium, tritium) and chemical analysis of water samples from the eastern part of the island were carried out to ascertain whether groundwater in the eastern part of the island was contaminated by sea water. The result of tritium analysis indicated fast infiltration of meteoric water into underground and rapid mixing process between rain water and groundwater. The results of oxygen-18 and deuterium analysis demonstrated that most of the wells in the eastern part of the island were influenced by sea water intrusion. Chemical analysis of water samples revealed that most groundwater in study area were classified into Na-Cl type and showed high chloride/bicarbonate ratios. Sea water intrusion in the northeastern part of the island has proceeded at least 3 km within the coastaline, and in the south eastern part about 700m.

  • PDF

Characteristics of Nitrate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 Case Study of Ogcheon Area - (지하수의 질산염 오염 특성 - 옥천지역 사례 연구 -)

  • Park, Ho-Rim;Kim, Myeong-Kyun;Hong, Sang-Pyo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4 no.1
    • /
    • pp.87-98
    • /
    • 2015
  • Geochemical characteristics, water quality, $NO_3{^-}$ contamination and the origin of $NO_3{^-}$ were analyzed for the groundwater located at Ogcheon, Korea. The water qualities were weakly acidic to weakly alkalic and redox potentials indicated reduction condition. Compared to granitic rocks, metamorphic sedimentary rocks with intercalations of limestones and dolomites tended to be more effectively dissolved, resulting in higher pH and higher concentrations of dissolved ingredients. Contamination of heavy metals was not revealed. Geochemical reactions of carbonate rocks and influxes of artificial contamination ingredients seemed to simultaneously determine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water qualities in the study area. From the results of ${\delta}^{15}N$ isotope analysis, the origin of $NO_3{^-}$ was estimated to be influenced dominantly by agricultural activities and human feces and urine.

서성광산 경작토의 중금속 존재형태

  • 신영식;이평구;최상훈;신성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403-405
    • /
    • 2004
  • 일반적으로 폐광산 지역에 방치되어 있는 광미와 오염토양에 함유된 중금속원소는 자연 상태에서 물리ㆍ화학적 환경의 변화에 따라 자연정화 되거나, 또는 재용출되어 점 또는 비점오염원으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광미와 오염된 토양에 존재하는 중금속의 존재형태를 규명 또는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른 중금속의 오염평가와 존재형태를 규명하기 위해 서성 연ㆍ아연 폐광산 주변 경작토를 대상으로 Tessier et at. (1979)가 제시한 연속추출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As와 Cr이 잔류형태가 우세하여 안정한 상태로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이에 반하여 Zn, Pb, Cu, Cd, Ni 및 Mn 등은 상대적으로 존재형태가 불안정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As는 모두가 잔류형태로만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어 As의 오염이 야기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생석회(CaO)를 이용한 중금속 오염토양 안정화 효율실험

  • 이예선;차종철;이민희;김명진;박인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342-345
    • /
    • 2004
  • 국내에 산재해 있는 휴ㆍ폐광산은 주변의 하천이나 농경지에 지속적인 중금속 오염원을 제공하면서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있다. 여러 종류의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 대하여 안정화 공법의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오염토양에 적절한 복토첨가제로 생석회와 석회석을 사용하여 첨가제를 넣지 않은 dh염토양과 중금속 용출율을 비교 ㆍ분석하였다. 이 결과 안정화 첨가제들이 Cd, Pb, Zn등의 중금속 용출을 억제하는데 높은 효율을 보여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첨가제를 넣지 않은 토양과 비교한 결과 약 40배 이상의 용출율 감소를 보였다. 또한 실험 시에 첨가제 각각의 함량을 1%, 2%, 5%로 설정하여 현장 적용시 복토에 첨가할 적절한 양을 산출해 낼 수 있도록 하였다. 첨가제 주입으로 인한 용출율 감소는 하나의 중금속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원소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안정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오염토양에 토양안정화공법을 적용 시에 중요한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nterpretation of heavy metal elements from the road dusts using GIS (GIS를 이용한 도로 분진의 중금속원소 함량 해석에 관한 연구)

  • 이효재;이근상;이언호;장영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0 no.2
    • /
    • pp.201-213
    • /
    • 2002
  • Chemical analyzes were carried out the samples from roadsides of the Gwangju ci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concentration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heavy metals 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n the Gwangju city This study area is not significantly contaminated based on the concentrations of Cd, Cu, Fe, Mn, Pb and Zn. However, the concentrations of the chemical elements analyzed are locally higher than those of serious contamination level indicated by Ministry of environment. The dust pH is in the rage of 5.60-7.09 and was generally neutral, and there are no difference in pollution area and nonpollution area. Chemical analyses utilized are dilution by 0.1N HCl. In result of analysis by the method using 0.1N HCl, concentrations of Cd and Cu are a little high in Gwangchondong of Seo-Gu. Concentrations of Mn and Pb are a little high in Buk-Gu and Nam-gu, and Concentrations of Zn are generally higher than average of soils. Zn, in the study area, keeps polluting greatly as Zn concentration of average is 150.9ppm. All of P.I values are lower than 1, it means heavy metal pollution is not serious.

  • PDF

Soil Washing and Effluent Treatment for Contaminated Soil with Toxic Metals (유해원소로 오염된 토양 세척 및 세척수의 처리)

  • Yang, Jung-Seok;Hwang, Jin-Min;Baek, Kitae;Kwon, Man Jae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1 no.6
    • /
    • pp.745-754
    • /
    • 2013
  • This study evaluated the optimal soil washing conditions for toxic metals consider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toxic metals from contaminated soils as well as from soil washing effluents. In the contaminated soils, As was the major contaminant and extracted by sodium hydroxide solution better than by sulfuric acid. However, in the case of the treatment of soil washing effluents, sodium hydroxide was less effective extractant because soil organic matter extracted by sodium hydroxide prevented the solid-liquid phase separation and toxic metal removal. In the treatment of soil washing effluents with sulfuric acid, toxic metals in the effluents were mostly precipitated at the pH above 6.5. In addition, granular ferric oxide (GFO) as an adsorbent enhanced the removal of As and Pb indicating that toxic metals in the washing effluents can be removed almost completely by the use of combined adsorption-neutralization process. This study suggests that soil washing techniques for toxic metals should be optimized based on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contaminated soils, the nature of chemical extractant, and the removal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of toxic metals from the soils as well as soil washing effluents.

The Study of Natural Background of Geologic Units for Stream Sediments in the Gurye Area (구례지역 하상퇴적물의 지질집단별 자연배경치에 대한 연구)

  • 박영석;장우석;김종균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6 no.4
    • /
    • pp.275-284
    • /
    • 2003
  • We collected the samples of stream sediments from primary channels in order to establish natural background of major and minor elements for geologic units in the Gurye area. Stream sediments samples having no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effect and representing drainage basins composed of uniform geology, were collected from April to May in 1999, the chemical analysis of which was carried out. The tolerable leve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nrichment degree of harmful elements. The contents of Ni and Cr exceeded the tolerance level in some sections. The tolerance level excess of those elements was regarded as the effect of the metamorphic rock which constituted the bed rock of the area. In order to identify the comprehensive enrichment pattern, the tolerable level was used in calculating the enrichment index. The enrichment index of harmful heavy metals showed that Granite gneiss area is 0.39, Porphyroblastic granite gneiss area 0.32, Biotite gneiss area 0.42, Migmatitic gneiss area 0.41, Tuff area 0.30, Andesite area 0.46, Conglomerate area 0.42, and Granite area 0.26. Those results showed that natural background of Gurye area had not been exposed to harmful heavy metal elements.

옥천변성대 북동부(충주-황강리 지역)내 앰피볼라이트의 암석 화학적 고찰

  • 유영복;김형식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1.06a
    • /
    • pp.132-132
    • /
    • 2001
  • 옥천변성대의 충주-황강리 지역내 앰피볼라이트의 기원암은 염기성 화성암으로 쏠레이아이트 계열의 변이질암에 속한다. Fe $O^{*}$/MgO값의 변화에 대하여 분별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 주성분 원소와 미량원소들의 변화를 보게되면 Ti $O_2$, Fe $O^{*}$와 불호정성 원소(incompatible element)인 Zr, Nb, Hf, Ta, Th 등은 분별작용동안 증가하는 반면 호정성 원소(compatible element)인 MgO, $Al_2$ $O_3$, Ni, Cr 등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Fe $O^{*}$/MgO, Ti $O_2$ 그리고 Fe $O^{*}$는 심해성 쏠레이아이트 영역으로부터 분화된 경향을 나타내 주고 있다. Ni, Cr은 Fe $O^{*}$/MgO값의 증가에 따라 급속히 감소하며 안정한 대륙과 해저화산의 영역에 도시되고 있으며 칼크-알칼리(CA)와는 관계가 없고 쏠레이아이트의 영역에서 변화 패턴을 보여주어 앰피볼라이트가 활동적인 대륙연변부의 지구조 환경보다는 안정한 대륙이나 해저화산과 관계가 더 있음을 시사한다. 경휘토류 원소(LREE)는 중휘토류 원소(HREE)에 비해 더욱 부화된 특성을 띠고 원자번호가 증가하면서 표준화된 휘토류 원소패턴의 경사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대부분의 시료들은 큰 Eu이상치를 갖고 있지 않아 마그마 정출 과정동안 사장석의 분별작용이 거의 수반되지 않았음을 지시하고 전체적인 휘토류 원소의 패턴은 거의 평행하게 나타나므로 기원 마그마가 유사함을 의미하고 있다. 비유동성 원소를 이용한 여러 판별도표들을 통해서 본암은 대륙성 현무암질암으로서 판내부 환경에서 유래되었으며 대륙내부 열곡의 알칼리 현무암과 대륙성 현무암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서 대륙지각내 열곡작용과 같은 장력운동에 수반되어 생성된 것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앰피볼라이트의 지각혼성화를 평가하기 위해 이에 필요한 몇 개의 지화학적 매개변수를 계산한 결과 La/Ta, La/Nb, Nb/Th들의 값이 오염 안된 마그마의 값을 지시해 주어 본암이 지각혼성화 작용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시료들은 P-타입 MORB의 영역에 속하며 소수의 시료가 T-타입 MORB의 영역에 도시되고 있어 본 앰피볼라이트의 생성에는 양적으로 다른 두 가지의 유사한 마그마가 수반된 것으로 추정된다. 것으로 추정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