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염배출부하

Search Result 26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POLICY & ISSUES 기획특집_1 - 대기오염물질 관리강화 및 정책추진 방향

  • Jo, Byeong-Uk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06
    • /
    • pp.9-12
    • /
    • 2013
  • 우리나라는 인구대비 좁은 국토면적과 수출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로 단위면적당 대기오염물질 배출부하가 높을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게다가 바람이 주로 물어오는 방향인 서쪽에 세계의 공장으로 불리는 중국이 위치하고 있어 대기질 관리를 더욱 어렵게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정부는 국민들이 편안히 숨 쉴 수 있는 깨끗한 공기를 만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the Total Pollutant Load Management of Masan Bay Using GIS Technique (GIS 기법을 이용한 마산만 오염총량관리에 관한 연구)

  • Cho, Bo-Hyun;Yang, Keum-Chul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4 no.1
    • /
    • pp.89-99
    • /
    • 2012
  •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Masan bay special management system of the point and nonpoint sources of pollution using GIS as part of th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the Masan Bay Special Management Area and utilize Total Pollution Loads Management System in Masan Bay more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The result of the pollution sources management at the Masan bay in conjunction with GIS was made possible the comparison of the source of pollution and the pollutant load among each administration area. It also developed Arc-GIS watershed management program which enables to estimate the population for discharge facilities, the water use of domestic population and commercial population, and pollutant load and discharge load of COD, TN and TP by the administration areas, years, and usages. In addition, this study anticipated minimizing temporal, economical efforts in utilizing large amounts of property and space utilization data and expediting the decision making process of policies in relation to the systematic and effective management system of pollutant loads at the Masan bay area.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plan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the point and nonpoint sources of pollution and complement the watershed management system using GIS program for pollutant load which enables to predict the current and future state of point and nonpoint sources.

A Study on the Actual Measurement of Air Pollutants from a Diesel Engine of Ship (선박 디젤 엔진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물질 실측에 관한 연구)

  • Park, Jinkyu;Lim, Seunghun;Oh, Jungm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8 no.6
    • /
    • pp.1063-1069
    • /
    • 2022
  • According to domestic air pollutant emission statistics, a considerable amount of air pollutants is generated by ships. Therefore, various policies are being implemented to limit air pollutant emissions from ships and improve the air quality in ports. In addition, international conventions are carried out for the prevention of marine pollution by ships. However, because few studies and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on the measurement of air pollutants emitted from actually operating ships, this study presented a method and possibility for evaluating air pollutant emissions from a 9,196GT ship actually operating using a portable emission measurement system (PEMS). A difference in emission occurred depending on the RPM and load, and the emission of NOX was 497-2,060ppm, CO2 was 1.55-6.9%, and CO was 0.002-0.14%. The emission specified in the shop test provided by the engine manufacturer differed from the actual emission measured. This study proved that the maximum emission of each air pollutant generated in the entire sailing section of the ship was included in the PEMS measurement range, and the possibility of using PEMS for ships within 10,000GT was verified.

Development of GIS based Agricultural Water Quality Simulation System using QUAL2E (QUAL2E 모델을 적용한 GIS기반 농촌수질모의 시스템 개발)

  • Lee, Chol-Young;Kim, Ky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57-62
    • /
    • 2008
  •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흔히 사용되고 있는 수질모델링 기법 중의 하나인 QUAL2E 모델을 GIS기반의 수질관리 시스템에 적용하여 농촌지역에서 활용 가능한 수질모의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질모의 시스템의 개발을 위해 기본적으로 지형도, 하천도, 행정구역도, 표준유역도 등으로 이루어진 도형 데이터베이스와 오염원 자료, 환경실측자료 등으로 이루어진 속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수질모의는 GIS 기반의 농촌수질모의 시스템 상에서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였으며 간단히 소유역별 배출 오염부하량을 조정함으로써 여러 조건에 대한 수질모의가 가능하다. 대상유역은 삽교천 상류부터 31km 구간이고 총 5개의 소유역을 포함한다. 수리계수 산정은 HEC-RAS를 사용하였으며 수리계수 산정결과는 시스템 상에 미리 저장하여 수질모의 시 자동으로 입력되어 사용된다. 소유역별 배출 오염부하량을 조정함으로써 수질변화 경향 차이를 시스템 상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었고, 다양한 삭감시나리오의 작성에 시스템이 활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농촌지역 수질관리 지원을 위하여 수질모의 시스템을 이용한 실질적인 관리방안 마련 연구 및 시스템 보완 개발 연구가 뒤따라야할 것이다.

  • PDF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in Cherry Tree cultivation zone (벚나무재배지의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 Park, Woon Ji;Lee, Hae Seung;Hwang, Soon Hong;Lee, Young Joon;Choi, Joo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01-40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기타재배지(벚나무재배지)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 유출 및 수질특성을 살펴보고자 2014년 5월부터 9월까지의 총 12회의 강우사상에 대해 유출특성을 분석하고 오염물질별 유량가중평균농도(Event Mean Concentration, EMC) 및 오염부하를 산정하였다. 모니터링 기간동안 2.6~95.8 mm의 강우가 발생하였으며, 조사된 총 12회의 event 중 단 2회 유출이 발생하였다. 강우강도는 0.33~5.28 mm/hr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선행무강우일수는 0.6~21.2일, 총 유출량은 $0.92{\sim}20.75m^3$, 유출율은 0.03~0.18의 범위로 나타났다. 강우모니터링 결과, EMC는 TOC 3.4~10.3 mg/L(평균 6.9 mg/L), BOD 6.3~6.9 mg/L(평균 6.6 mg/L), COD 22.0~28.8 mg/L(평균 25.4 mg/L), SS 101.8~962.8 mg/L(평균 532.3 mg/L), T-N 4.295~11.864 mg/L(평균 8.080 mg/L) 그리고 T-P 1.109~1.582 mg/L(평균 1.346 mg/L)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각 강우사상에 대한 단위면적당 오염부하는 TOC 0.08~0.58 kg/ha, BOD5 0.05~1.07kg/ha, CODMn 0.22~3.76 kg/ha, SS 0.77~164.4 kg/ha, T-N 0.090~0.734 kg/ha, T-P 0.008~0.270 kg/ha의 범위로 산정되었다. 벚나무재배지의 수질 항목간 Pearson 상관계수를 분석한 결과, 항목 중 $COD_{Mn}$가 다른 수질항목과 유의성을 갖고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나 초기유출효과 분석을 위한 대표 수질항목으로 선정하였다. 벚나무재배지의 경우 초기유출 발생에 의한 오염부하의 급격한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누적오염부하량비의 그래프에서는 대부분의 강우사상에서 기울기가 직선에 가깝게 나타났다. 기타재배지의 경우 대부분 투수지역으로 초기세척효과가 비교적 작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속적으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Water Quality Management of Kwangyang Bay by Point Pollution Source Control (점원 오염부하 제어에 의한 광양만의 수질관리)

  • Lee Dae-In;Park Chung-Kil;Cho Hyeon-Se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4 no.3
    • /
    • pp.28-39
    • /
    • 2001
  • The eco-hydrodynamic model was used to simulation water quality of Kwangyang Ba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variation for appropriate water quality management. The mean concentration of COD was 3.3㎎/L, this exceeded the third class of water quality criteria. Waste water discharging loads showed approximately 90% of total pollutant loads. For satisfaction to below 10㎍/L of Chl. a and 2㎎/L of COD, above 35% reduction of present pollutant loads of point sources are needed.

  • PDF

Analysis of water pollutant load characteristics and its contributions during dry season: Focusing on major streams inflow into South-Han river of Chungju-dam downstream (갈수기 수질오염부하 특성 및 기여율 분석: 충주댐 하류 남한강 주요 유입하천을 대상으로)

  • Lee, Seoro;Yang, DongSeok;Choi, Yujin;Lim, Kyoung Jae;Kim, Jongg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18-318
    • /
    • 2018
  • 충주댐 하류 남한강 본류에서는 매년 봄철 지속되는 가뭄으로 인한 유량감소와 과다한 영양염류 유입으로 인해 부영양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한강 본류로 유입되는 주요 하천(섬강, 청미천, 양화천, 복하천)을 대상으로 중점관리가 필요한 우심하천 및 주요 오염원을 선별하고자 갈수기 오염부하 특성 및 남한강 본류에 대한 기여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갈수기 조건에서의 오염부하 및 기여율은 섬강에서 BOD5 852.0 kg/day(41.3%), T-P 59.0 kg/day(56.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 기간 내 발생한 점 기저비점 오염부하가 남한강 본류에 미치는 기여율 BOD5 52.8%, COD 52.1%, TOC 53.0%, SS 41.3%, T-N 47.7%, T-P 30.0%, Chl-a 47.8%로 섬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전국오염원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산정된 수질항목에 대한 오염원별 전체 배출부하 또한 섬강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토지계, 생활계, 축산계 오염원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충주댐 하류 남한강 본류 갈수기 수질을 효율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섬강을 중점적으로 점오염원 관리뿐만 아니라, 기저비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는 극한 가뭄이 지속되는 상황을 고려한다면, 충주댐 하류 남한강 본류 갈수기 수질오염 개선에 활용될 실효성 있는 대책 및 유역관리 정책 수립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Evaluation for Actual Discharge Data for TMDL in Nakdong River Basin (수질오염총량관리를 위한 낙동강수계 실측유량 자료에 대한 평가)

  • Kim, Gyeong-Hoon;Shin, Chan-Ki;Kim, Yong-Seok;Park, Bae-Kyeong;Yoon, J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204-208
    • /
    • 2008
  • 오염총량관리제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서는 단위유역별로 정확한 배출부하량 산정, 오염부하량 할당 및 이행평가가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정확하고 정기적인 유량자료의 확보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낙동강 수계총량센터에서는 2004년 8월부터 현재까지 평균 8일 간격(30회 이상/년)으로 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 41개 지점과 시도요구 6개 지점 등 총 47개의 지점에 대해 직 간접적으로 유량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이렇게 획득된 실측유량은 낙동강에서 시간에 따른 지점별 유량 변동추세 파악의 근거자료가 되며, 10년 평균 저수량과 같은 기준유량 산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주요 수질정책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총 4년간 수행된 낙동강수계 단위유역별 유량측정성과에 대한 평가 및 수행결과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water quality monitoring results during the rainfall period of Yeongju dam (영주댐 강우기 수질 모니터링 결과 분석)

  • Lee, Seungyoon;Shin, Cholong;Yi, Hye-suk;Chong, Sun-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63-463
    • /
    • 2018
  • 우리나라의 공공용수역에서는 오염배출규제 및 하수도 정비에 의한 점오염원 부하량의 삭감에 의해 수질개선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비점오염원부하는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실증하기 위한 강우시의 오염부하유출의 관측은 충분히 실시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주댐 유입하천을 대상으로 강우시 유입 오염부하량 파악 및 수질변동모의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 획득을 위한 강우시 유입부하량 특성 및 수질영향이 분석되었다. 영주댐의 조사지점은 석표교, 멀내교의 총 2개 지점으로 본류인 내성천, 지류인 토일천에 각각 1곳씩 선정하였다. 유입수 샘플링은 자동모니터링 장치를 설치하여 채수하였고, 유랑조사는 교각에 설치된 자동수위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조사기간은 누적 강우량 133mm가 내린 2017년 7월 2일부터 5일간 실시하였다. 수질 시료 분석결과, 비강우시대비 COD 및 영양염류 부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일천에서 채수된 시료의 경우 T-P는 비강우시 유입농도보다 최대 60배 높고, T-N은 비강우시에 비해 약 2.3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우유출 발생 시의 수질은 비강우시의 수질보다 COD 및 영양염류 부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비 강우시 유입되는 영양염류농도에 비해 강우시에는 강우강도에 비례하여 높은 농도의 인과 질소성분이 유입되고 있었고, 댐 저수량의 많은 부분이 강우시의 유입수량으로 채워지는 점을 고려할 때, 강우시 유입 수질이 댐 저수지 수질변화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주댐 유역의 강우유출 특성은 강우유출이 시작 된 후, 수 시간 이내에 오염물질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유량의 증감속도와 유출량은 비례하였다. COD, 질소 계열 및 인 계열 물질의 유량과 비례한 증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강우시 질소와 인의 유출이 강우량과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계절적인 유출 특성의 유무를 무시 할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조사 및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ecovery of Gasoline VOC by PSA (PSA를 이용한 가솔린 VOC 회수 공정)

  • 박영권;주국택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65-66
    • /
    • 2003
  • 일반적으로 가솔린 VOC의 회수 기술로는 흡착법, 흡수법, 막분리법, 심냉분리법 및 이들의 조합 공정 등이 적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실용화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저유소 가솔린 출하설비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데, 엄격한 배출 기준을 충족하면서 운전비용과 장치비용면에서 흡착법이 가장 경제적인 공정으로 선정되었다. 저유소에서 배출되는 오염공기량은 시간대별 가솔린출하량, 출하설비 수(loading bay), 일일 최대 가솔린 부하량에 따라서 달라진다. 가솔린 배출 시간은 출하 일정에 따라 불규칙하게 변동되며 산발적인 특징이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