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예측유입량

Search Result 59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Seasonal Variations of Primary Productivity Analyzed by Phyto-PAM Chlorophyll Fluorometry in the Beopsu Marsh, Haman-gun, Gyeongsangnam-do (경상남도 함안군, 법수늪에서 엽록소 형광광도계(Phyto-PAM)에 의한 일차생산의 계절변동)

  • Kim, Mi-Kyu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6 no.2
    • /
    • pp.76-86
    • /
    • 2008
  • The seasonal variations of primary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by phyto-PAM chlorophyll fluorometry as well as classical methods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s and chlorophyll ${\alpha}$) in the Beopsu Marsh, Haman-gun, Gyeongsangnam-do. The amounts of turbidity, SS, T-N, T-P, BOD, COD, Ca$^{2+}$ and Cl$^-$ were the highest at the station 3, where located in flowout site of wastewater treated by the filtration plants. The water quality was the third level by the standard of BOD and COD. The amount of chlorophyll a (268.8 mg L$^{-1}$) was the highest at the station 2 in April because the cell density (2,677 cells mL$^{-1}$) of Micractinium pusillum increased suddenly from February (180 cells mL$^{-1}$). The patterns of primary production of phytoplankton by phyto-PAM chlorophyll fluorometry were fallen in with those of standing crops and chlorophyll a of phyto-planktons. The primary production was varied according to stations and seasons. The water environments of the Beopsu Marsh as a natural mounument should be under the control of a regular examination in order to preserve the ecosystem.

Numerical Modeling the Effects of Curtain Weir in the Daecheong Reservoir (수류차단막 설치효과 수치모의 (2009년))

  • Lee, Heung-Soo;Chung, Se-Woong;Min, Byeo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793-797
    • /
    • 2010
  • 물리적 녹조저감 기술인 커튼형 수류차단막은 유입 하천과 저수지 천이부에서 높은 영양염류와 조류를 포함한 표층 수류의 차단 또는 우회를 통해 본류 수역의 녹조발생을 저감하는 대책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 5월 회남대교 약 2 km 상류에 시범 설치된 대청호의 수류차단막 효과를 분석하고자 선행연구에서 보정한 2차원 횡방향 평균 수리 및 수질 모델을 최근의 수문사상인 2009년 6~8월까지 적용하여 검보정하고 수치모의를 실시하였다. 저수지 수위와 실측수위를 비교한 결과, 7월 중순 유입량 증가에 따른 수위 상승을 잘 반영하였고, 결정계수값($R^2$)이 0.997로 나타나 모델은 저수지 물수지 계산에 있어서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댐앞과 회남수역에서 수심별 수온예측 오차는 AME 0.258~$1.584^{\circ}C$, RMSE 0.393~$2.548^{\circ}C$의 범위로 실측값을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남, 댐, 추동, 문의 수역의 표층에서 $PO_4$-P 및 Chl-a 농도에 대한 모의값과 실측값의 시계열 비교 결과, 모델은 저수지내 각 측정지점에서 실측값의 시계열 변화를 잘 모의하였고, 회남수역에서 7월 중순 홍수 유입에 따라 증가하였다. 특히, $PO_4$-P 농도가 0.06 mg/L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홍수기에 높은 영양염류를 포함한 탁수가 수류차단막 하단을 통과하여 수리학적 도수현상(Hydraulic jump)을 일으킨 것이 원인이라 판단된다. 수류차단막 설치에 따라 회남수역의 표층에서 Chl-a 농도의 저감 효과가 두드러졌으나, 댐, 추동 및 문의수역에서의 제어 효과는 미미하였다. 이와 같이 회남수역에서 효과가 큰 이유는 2009년 수문사상의 영향과 저수지 지형특성상 유입수의 영향을 직접받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회남수역에서 수류차단막 설치에 따른 T-N 및 T-P 평균 저감 효율(수류차단막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 대한 설치 후 농도 저감 비)은 각각 10.8% 및 19.1%이었으며, 평균 저감농도는 모의값을 기준으로 각각 1.637 mg/L에서 1.461 mg/L 및 0.047 mg/L에서 0.038 mg/L로 나타났다. DIN 및 $PO_4$-P 평균 저감 효율은 각각 6.4% 및 24.6%이었고, Chl-a 평균 저감 효율은 25.5%이었으며, 평균 저감농도는 모의값을 기준으로 0.025 mg/L에서 0.018 mg/L로 나타났다. 모의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청호에 시범 설치된 조류제어용 수류차단막은 2009년의 수문사상에서 회남수역의 녹조발생 저감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대청호에서 유사한 수문사상을 보인 2006년(62일간)에 비해 2009년(28일간)에 조류주의보 발령 일수가 대폭 줄었다는 사실도 차단막의 효과를 간접적으로 확인해 준다.

  • PDF

A Study on Exploring Accumulation Zone and Composition Investigation of Floating Debris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 유역 부유쓰레기의 집적 구간 탐색 및 성상 조사 연구)

  • JANG, Seon-Woong;KIM, Dae-Hyun;CHUNG, Yong-Hyun;YOON, Hong-J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8 no.2
    • /
    • pp.45-58
    • /
    • 2015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major accumulation zones through field survey and moving route tracking trials on floating debris of Nakdong River. It also identified composition and accumulated amount of the floating debris by sample survey for accumulation zones. As a result, total 5 accumulation zones were selected from the midstream and downstream of the Nakdong River. There was a large amount of floating debris, including vegetation debris, in the accumulation zones. And two accumulation zones located in the downstream region, it is much more likely to flow into the ocean along river. From the sample survey on the major accumulation zones, more than $40{\ell}$ of floating debris were collected including vegetation and artificial debris. As a result of composition analysis for artificial debris, plastic(49%) and styrofoam(36%) were the majority in number. The present study is expected to help to plan an efficient pre-collecting activity and to reduce floating debris flowing into the ocean from the Nakdong River.

Estimation of Rock Erodibility due to Energy Dissipation of Inflow Passing through the Sluice Gate of Seadike (배수갑문 유입수류의 에너지 감쇠에 따른 암석 침식 가능성 추정)

  • Jo, Jin-Hun;Park, Yeong-Jin;Park, Sang-Hye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2
    • /
    • pp.237-245
    • /
    • 2000
  • Sihwa seadike is originally designed to control the water level In lake Sihwa. However the sluice gate is being operated everyday to preserve the water quality of lake. Due to the frequent operation of gates the bottom of drainage canal which is composed of weathered rock and soft rock is being scoured. Recently the bottom in the front area of apron was protected by putting underwater concrete. This study i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hydraulic situation for protection, and to estimate the trend of scouring by comparing between energy dissipation and registance of bottom rock. Annandale(1995) introduced the erodibility index theory, and suggested a criteria to judge the erodibility of rock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the erodibility index and energy dissipation. Determenation of erodibility index of rock is based on the results of sample core analysis, and the energy dissipation of flow is calculated from the estimation of total head on the scale model. These two values are plotted on the criteria, and the erodibility of rock is determined.

  • PDF

The Study of Salinity Distribution at Nakdong River Estuary (낙동강 하구 염분 농도 분포에 관한 연구)

  • Han, Chong-Soo;Park, Sang-Kil;Jung, Sang-Woo;Roh, Tae-Yo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3 no.1
    • /
    • pp.101-108
    • /
    • 2011
  • The purpose of salinity intrusion due to numerical simulation is analaysis for saline intrusion to the upstream channel in Nakdong River Estuary Barrage(NREB) to get enough fresh water. Conditions that occur salinity intrusion affect by tidal distribution at seas, so salinity concentration changes according to tidal phenomenon. Making this connection cleary can help preventing salinity intrusion. In this study, estimating salinity intrusion to the upstream channel in NREB using EOMSED model, we reexamine NREB's existence. Comparison is also made with observing data. In result, when inflow discharges at $75m^3/s$ is more similar with respect to observing data than $130m^3/s$ at ECOMSED model. Thus, estimations are more precise at little discharges than lots of discharges.

Analysis of On-orbit Thermal Environment of Earth Orbit Satellite during Mission Lifetime (지구궤도 인공위성의 임무기간 중 궤도 열 환경 분석)

  • Kang, Soojin;Yun, Jihyeon;Jung, Changhoon;Park, Sungwoo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4 no.1
    • /
    • pp.36-43
    • /
    • 2020
  • The start of satellite thermal design was to predict the worst operating environment through analysis of the thermal environment of the operation orbit. Because the satellites have different types of operating trajectories for their mission, the exposed thermal environment also varies. Thus, it is necessary to analyze in consideration of the orbital conditions, and a design was performed to guarantee thermal stability for the worst case defined through the analysis. The orbital thermal environmental analysis required an understanding of the basic orbit mechanics and the heat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environment and satellite.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orbital thermal environment analysis by providing basic data on the space thermal environment in the earth-orbit and describing thermal relations that calculate the amount of space heat inflow into satellites. Additionally, an example of a virtual satellite shows the overall process of analyzing the orbital thermal environment during a mission lifetime.

Ocean Outfall과 폐수처리 공정의 비용분석을 이용한 수영만의 수질관리

  • Park, Hae-Sik;Park, Cheong-Gil;Lee, Seok-Mo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52-53
    • /
    • 1997
  • 수역의 유기오염 개선을 위하여 생활하수, 산업폐수 등의 저하시키는데 주안점을 두어왔으나 공공수역에서의 제거되지 않은 질소와 인의 유입으로 부영양화가 진행되어 하천에는 남조류가 대량발생하고 해역에는 적조가 광역에서 발생하여 큰 사회문제가 되고 있고, 질소와 인의 유입으로 인한 자생 COD가 전체COD의 약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앞으로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조류증식의 제한인자인 질소와 인의 규제가 필요할 뿐만아니라 하수처리장에 고차처리를 적용하거나, 해양의 회석자용을 이용한 Ocean을 적용하여 연안해역 수질을 관리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영만을 대상으로 Ocean Outfall과 폐수처리시절을 적절하게 조합하기 위해서 3차원 생태계모델을 적용하여 유기물질 뿐만 아니라 영양염류인 질소와 인의 농도를 예측하여 환경기준을 만족시키고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폐수처리공법과 해중방류관의 위치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수영만의 1994년 COD는 II등급, DIN과 DIP는 III등급이었다. 현재의 활성슬러지공법으로 질소와 인을 제거하지 않고 방류할 경우 2001년에 는 하수처리량의 증가로 인해 COD의 경우 1994년 보다 조금 감소하지만 DIN 과 DIP는 1994년과 같은 III등급을 유지하였다. 고도처리공법을 도입할 경우 COD의 농도는 광안리와 해운대해수욕장에서 I등급을 보이고, DIP의 농도도 수영만 전체에서 강등급을 보이지만, DM의 농도는 광안리해수욕장에서 II등급, 해운대해수욕장에서 IH등급을 보였다 하수처리장 유출수를 Ocean Outfall을 이용하여 하수처리장으로부터 4km에 서 방류할 경우의 COD농도는 I등급을 보이고, DE 농도도 광안리와 해운대해 수욕장에서는 I등급을 보이고, DU의 농도는 ll등급을 보여 수질이 개선된 것 을 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광안리와 해운대해수욕장의 해역환경기준 ll등급을 만족 하는 하수처리방법은 Ocean Outfall이었다. 수영하수처리장에 인을 처리하기 위한 화학적 침전법의 경우 956억원이 소요되고,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질소제거공정을 추가 건설 할 경우는 2181억원이 전요된다. 그리고 두공정을 같이 건설할 경우에는 3137억원의 비용이 소요된다 수영하수처리장에서 4km 거리와 관경을 2m의 Ocean Outfall 건설비용은 325 억원 정도가 소요되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고차처리시 증가되는 비용으로 건설할 수 있는 Ocean Outfall의 길이는 인 제거공정을 첨가하는 경우에는 18km을 건설할 수 있고, 질소제거공정을 첨가 하는 경우에는 46km를 건설할 수 있는 것으로 산출되었다.

  • PDF

A hybrid RANS/LES Investigation of Backward-facing Step Flow (후방계단흐름의 하이브리드 RANS/LES 연구)

  • Yoo, Donggeun;Paik, Jo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05-105
    • /
    • 2019
  • 보나 여수로와 같은 수공구조물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흐름 거동은 구조물 모서리에서 발생하는 흐름분리(flow separation)와 이에 따른 전단층(shear layer)과 재순환(recirculation) 흐름 영역의 발달 그리고 분리된 흐름의 재부착(reattachment)이 특징이다. 공학적으로 난류의 해석에 있어서 이러한 흐름 거동들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수공구조물 설계에 있어서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흐름 분리와 재순환 영역의 발달 그리고 흐름 재부착을 포함하는 후방계단(backward-facing step) 흐름을 155,000의 레이놀즈수 조건에서 하이브리드 RANS/LES 모델을 적용하여 해석결과를 평가한다. 하이브리드 모델로는 벽에 인접한 격자의 해상도에 상대적으로 민감하지 않은 SST(shear-stress transport) 난류 모델을 이용하는 DES(detached-eddy simulation) 기법을 적용하였다. 계단 높이가 h인 계산영역은 흐름방향 길이가 34h, 높이는 계단 상류와 하류에서 각각 1h와 2h 그리고 폭은 $2{\pi}$이다. 계단은 상류단으로부터 10h 하류부 지점에 위치한다. 경계조건으로 상부와 하부 벽면에 대해서는 비활조건을 적용한다. 상류부 수로에서 완전 발달한 흐름을 재현하기 위해서 유입경계조건은 유입부 하류 $2{\pi}h$ 지점에서 계산된 유속과 난류량을 매핑(mapping)기법을 이용하여 반복적으로 적용한다. 총 3.1백만개와 7.3백만개의 셀로 계산영역을 구현한 두 개의 계산격자 그리고 약 3.1백만개의 셀을 이용했지만 벽면 근처에서의 격자 구성을 다른 방식으로 설정한 두 가지 격자를 이용하여 격자 해상도가 DES 수치해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치해석결과는 본 연구에서 상류단 조건으로 적용한 매핑기법이 대상 수로에서 완전 발달한 흐름을 잘 재현함을 보여주며, 합리적인 DES 해석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벽에 수직한 방향으로 적절한 격자의 해상도와 분포가 필요함을 보여준다.

  • PDF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SWAT Model for Long Term Simulation of Runoff and Sediment Transport at the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유역의 장기 유역 유출 및 유사 모의를 위한 SWAT 모형의 검보정)

  • Lee, Eun-Jung;Jang, Eun-Kyung;Kim, Tae-Keun;Hwang, Man-Ha;Kwon, Yong-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81-881
    • /
    • 2012
  • 낙동강유역에는 4대강 사업으로 8개의 보가 낙동강 본류에 새롭게 설치되었으며, 따라서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유사가 보상류에 퇴적되어 하천제방이나 하천구조물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또한 홍수시에는 농경지의 매몰과 저수지의 퇴적현상이 발생하는 등 유역유사에 의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강우로부터 유출되는 유사는 강우사상에 따라 빠르게 변할 수 있으나 수체에 즉각적인 영향을 유발하지 않을 경우 만성적인 특성으로 인해 침전물을 계속 이동시키며 축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고 낙동강유역에 대한 유역유사관리 대책마련을 마련하기 위해 유역유출과 유사의 이송 및 퇴적양상을 분석하여 유역관리를 위한 자료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초자료 분석을 위해 활용되는 유역모형 중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은 장기간 유역 유출로 인한 유사 모의를 수행하는데 가장 많이 활용되는 모형이며, 미국 농무성 농업연구소(USD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RS)의 Jeff Amold 등에 의해 개발된 모형이다. SWAT 모형은 장기유출 및 유사 발생에 대한 시 공간적 변화를 모의하는 모형으로 넓은 범위의 유역에 대해 일단위 모의 간격으로 최대 100년까지 모의가 가능한 장기유역 모의에 최적화된 모형이다. 본 논문에서는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유역의 장기 유역 유출 및 유사 모의를 수행하기위해 2004년에서 2009년까지의 유출량 자료와 유량-유사량관계곡선 등을 이용하여 본류 및 지류 유출구 주요지점에 대해 검보정을 수행하고자 한다. 모의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안동댐, 임하댐, 영천댐, 합천댐, 남강댐, 밀양댐 및 낙동강 본류 등 총 7개 유역으로 구분하여 SWAT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각 유역별로 유출량과 유사량에 대하여 각각 보정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낙동강 본류유역 총 7개의 댐 방류량자료와 20개의 대형하수종말처리장 방류량자료를 이용한 낙동강유역의 유출량 보정 및 검증 결과, 모의치가 실측치를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 11개 지점의 수위관측소에 대해 유사량 측정 성과를 이용한 유사량 보정 및 검증 결과, 강우시 유사량 모의값은 유출량-유사량관계곡선 식을 잘 반영하였으나, 비강우시에는 모의값이 관계곡선 식의 결과값보다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Phytoplankton Variability in Response to Glacier Retreat in Marian Cove,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in 2021-2022 Summer (하계 마리안 소만 빙하후퇴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변동성 분석)

  • Chorom Shim;Jun-Oh Min;Boyeon Lee;Seo-Yeon Hong;Sun-Yong H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9 no.5
    • /
    • pp.417-426
    • /
    • 2023
  • Rapid climate change has resulted in glacial retreat and increased meltwater inputs in the Antarctic Peninsula, including King George Island where Marian Cove is located. Consequently, these phenomena are expected to induce changes in the water column light properties, which in turn will affect phytoplankton communities. To comprehend the effects of glacial retreat on the marine ecosystem in Marian Cove, we investigated on phytoplankton biomass (chlorophyll-a, chl-a) and various environment parameters in this area in December 2021 and January 2022. The average temperature at the euphotic depth in January 2022 (1.41 ± 0.13 ℃) was higher than that in December 2021 (0.87 ± 0.17 ℃). Contrastingly, the average salinity was lower in January 2022 (33.9 ± 0.10 psu) than in December 2021 (34.1 ± 0.12 psu). Major nutrients, including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phosphate, and silicate, were sufficiently high, and thus, did not act as limiting factors for phytoplankton biomass. In December 2021 and January 2022, the mean chl-a concentrations were 1.03 ± 0.64 and 0.66 ± 0.15㎍ L-1, respectively. The mean concentration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SPM) was 24.9 ± 3.54 mgL-1 during the study period, with elevated values observed in the vicinity of the inner glacier. However, relative lower chl-a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near the inner glacier, possibly due to high SPM load from the glacier, resulting in reduced light attenuation by SPM shading. Furthermore, the proportion of nanophytoplankton exceeded 70% in the inner cove, contributing to elevated mean fractions of nanophytoplankton in the glacier retreat marine ecosystem. Overall, our study indicated that freshwater and SPM inputs from glacial meltwater may possibly act as main factors controlling the dynamic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glacier retreat areas. The findings may also serve as fundamental data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carbon cycle in Marian C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