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예비 수학교사

검색결과 383건 처리시간 0.023초

교육실습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의 변화 (Changes in Teacher Efficacy Beliefs in Mathematics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during Student Teaching)

  • 이영혜;권종겸;이봉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4호
    • /
    • pp.407-422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사 93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전과 후에 나타난 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의 변화를 조사하고, 변화를 야기한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교육실습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이전과 비교하여 교육실습 후에 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은 유의미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의 하위요인을 분석한 결과, 수학교실 관리 영역보다 수학 교수 영역에 대한 효능 신념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면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수학 교수 영역에서 부정적 경험을 더 많이 한 반면에 부정적 경험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기회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협력적 탐구와 반성적 실천 맥락에서 예비교사 발문 사례 분석 (An Analysis of a Preservice Teacher's Questioning: The Effect of Practicum Program Based on Collaborative Inquiry Community)

  • 주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0권4호
    • /
    • pp.515-535
    • /
    • 2008
  • 본 연구는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연구의 일환으로서 개발 프로그램에 참여한 예비교사의 발문을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실습과정을 통해 실습생의 교실담화에서 발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였다. 둘 째, 수업상황에서 제기하는 발문의 유형이 다양화면서 학생들에게 설명, 정당화 등과 같이 보다 고등수준의 수학적 사고에 몰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세 째, 재성을 동반하는 발문이 증가하였으며, 학생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발문과 학급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발문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발문 유형에서의 변화 양상을 수업 수행 능력 개발 양상과 연결지어 설명하여 개발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수업 능력 개발에 기여하는 바와 사범대학 교육실습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예비교사 교육에서 레슨 플레이의 활용가능성 탐색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Using Lesson Play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 권오남;박정숙;박재희;박지현;오혜미;조형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5권4호
    • /
    • pp.819-832
    • /
    • 2013
  • 본 연구는 가상 수업 상황극인 레슨 플레이(Lesson Play)를 활용하여 예비교사 교육에서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 이를 활용하여 예비교사의 교수학적 지식을 탐색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레슨 플레이는 상상할 수 있는 수학 수업의 모든 상황을 연극 대본처럼 글로 써보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한 사범대학 수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91을 소수라고 답한 학생, 462가 4의 배수라고 답한 학생에 대한 교사의 발문으로 시작하여 그 이후에 이루어질 교사와 학생의 대화를 구성하도록 하였다. 예비교사의 가상 대본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이끌어낼 수 있었다. 첫째, 예비교사의 교수 전략은 다양하지 않았다. 둘째, 수학적 개념 또는 원리를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생이 무엇을 어려워하는지 알지 못한 채 교사와 학생의 발문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레슨 플레이는 예비교사의 교수학적 지식의 분석과 함께 실천적 지식을 향상시키는 교수방법으로 활용 가능함을 알 수 있다.

  • PDF

수학 수업 준비과정에서 실습 지도교사의 지도 활동 고찰 (An Investigation on the Teaching Activities of Guidance Teachers in Planning a Mathematics Lesson in Teaching Practicum by Student Teachers)

  • 권성룡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33-359
    • /
    • 2011
  •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뤄진 수업실습에서 실습지도 교사가 예비교사에게 어떤 지도활동을 하는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교육실습에서 예비교사가 한 차시의 수학수업을 준비해서 수업하기까지 실습지도 교사와 예비교사 사이에 이뤄지는 지도활동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교육실습에서 실제로 지도교사는 어떤 역할을 하며 예비교사는 수업준비과정에서 지도교사로부터 어떤 도움과 지도를 받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후의 교육실습의 개선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G시에 소재한 교육대학교 3학년 두 학급 54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4주간 이뤄진 수업실습에서 수학수업을 하도록 한 후 수업준비과정에서 실습지도 교사의 지도활동을 일기형태로 기록하도록 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실습지도 교사는 지도활동 중, '수업 단계, 학생수준을 고려한 수업 설계하기'와 관련된 지도활동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이와 함께 단순히 지도안작성을 위해 형식을 통일시키는 것과 같은 지도활동의 비중이 두 번째로 높은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좀 더 실질적인 교육실습 지도활동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실습지도 교사의 지도활동을 바탕으로 실습지도 교사의 역할을 방임형, 관리형, 지도형, 협력형의 네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이 중 지도형의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지도활동이 거의 이뤄지지 않는 관리형과 방임형도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통해서 보다 성공적인 교육실습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계획과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이차곡선 수업에서 공학도구 사용과 수작업 교구 활동에 대한 예비 수학교사들의 인식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f the Use of Hands-On Manipulatives and Technological Tools in Teaching Quadratic Curves)

  • 김소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51-17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이차곡선 지도 방안으로써 수작업 교구인 Wax-paper를 이용한 활동과 공학도구인 GeoGebra를 이용한 활동에 대한 예비 수학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수도권 소재의 한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학부생 20명을 대상으로 이차곡선에 대한 교구와 공학도구 활용 수업을 진행한 후, 두 가지 수업 방법에 대한 인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예비 수학교사들은 이차곡선 학습 및 지도에서 전반적으로 공학도구의 활용을 선호했으며, 공학도구의 활용이 시각화를 통해 직관적 사고에 도움이 되며, 다양한 수학적 성질 탐구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개념 이해와 흥미 유발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학생 또는 교사의 미숙한 공학도구 사용에 대한 우려를 지속적으로 나타냈으며, 예비 수학교사들이 인식한 교구와 공학도구 활용의 장단점은 상호보완적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학수업에서 각 교구와 공학도구가 가진 특성에 맞게 상호보완적으로 활용하길 제안하며, 학생 또는 교사의 공학도구 사용 능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수업자료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수학적 문제해결에서 Productive Struggle(생산적인 애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ductive Struggle in Mathematics Problem Solving)

  • 김소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329-350
    • /
    • 2019
  • Productive struggle(생산적인 애씀)이란 쉽게 풀리지는 않지만 호기심과 과제 집착을 가져올 수 있는 도전적인 문제에 대하여 해결 전략을 궁리하며 문제의 기저를 이루는 수학적 개념의 이해와 문제 해결을 향해가는 학생의 노력 과정이다. 즉, 수학적 개념을 깊게 이해하거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끈질기게 궁리하고 스스로 해결책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ductive struggle이 학생들의 개념이해를 바탕으로 한 수학 학습의 핵심요소로 떠오르면서, 효과적인 수학 교수를 위한 NCTM(2014)의 행동 원리 중 하나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선행연구의 대부분이 학생의 productive struggle에 집중되어 있어, 본 연구에서는 예비 수학 교사들이 비정형적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겪는 productive struggle에 초점을 맞추었다. Polya의 문제해결 4단계를 분석틀로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각 단계별로 예비 수학 교사가 어떤 productive struggle을 보이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새로운 유형의 문제를 접했을 때, 예비 수학 교사들의 제한된 선행지식이 문제의 이해부터 계획수립 및 실행 단계까지 productive struggle을 야기하며 문제해결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예비 수학 교사들이 productive struggle을 겪으며 문제를 해결해봄으로써 고군분투 끝에 얻게 되는 학습의 즐거움을 느끼게 되고, 이러한 경험은 미래의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수학 학습을 위해 productive struggle을 지원할 수 있도록 격려하는 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productive struggle를 통해 수학 학습에 몰두해보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예비 수학 교사들이 미래의 수학교육전문가로서의 직업적 전문성을 키우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수학 예비교사가 개발한 평가 문항의 교육과정 충실도와 문항 완성도 (Curriculum Coherence and Item Completeness in the Items which Preservice Teachers Developed)

  • 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4호
    • /
    • pp.517-529
    • /
    • 2012
  • 학교에서의 수학 평가는 국가 교육과정과 일관되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과정에 충실하게 평가 문항을 개발한 과정을 분석하였다. 예비교사들은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을 이미 갖추었지만 평가 문항에 교육과정을 충실하게 반영하지 못했다. 그러나 동료들과 여러 차례의 검토와 수정 과정을 거친 토론 속에서 평가 문항의 교육과정 충실도는 점점 더 높아졌다. 그리고 예비교사들은 토론을 통한 문항 수정을 하면서 교육과정 외에 출제자의 의도에 부합하게 문항을 구성하고, 학생들이 문항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문항들 간의 일관성을 갖기 위한 의견을 제시하면서 문항의 완성도를 높여 갔다.

  • PDF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대한 예비 수학교사의 태도 변화 (Changing in Perception of Pre-Mathematics Teachers about Project-Based Learning.)

  • 김용석;김소형;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231-254
    • /
    • 2019
  • 교육이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되면서 학습자의 능동적 지식 구성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와 함께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초 중 고등학생들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연구의 내용 및 결과를 예비 교사들에게 그대로 적용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 수학교사들의 중 고등학교시절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경험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1년 동안 진행하여 그들의 태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예비 수학교사들은 중 고등학교시절 그룹 토론과 모둠 활동보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대한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그들의 태도에 대해 요인분석을 진행한 결과 '수업효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활용 및 참여', '성취감',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보급', '학생의 동기 부여'의 다섯 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예비 수학교사들은 학생들의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는 태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의 변화를 보였으나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보급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교사의 성취감에 대한 태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보였으나 교사가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활용하는 것은 즐거운 일이라는 태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교사와 학생이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활용하거나 수행하는 것은 쉬운 일이라는 태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의 변화가 나타났다.

수학적 발문에 대한 초등학교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PCK 비교 (Comparison of Pr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CK about Questioning in Mathematics Class)

  • 조누리;백석윤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9-6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발문과 관련하여 초등학교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PCK에 대한 비교 논의를 통해 수학수업 전문성 신장에 시사하는 바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에게 실시한 수학적 발문 관련 PCK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수업 현장의 관점에서 여전히 중요시되는 것은 교수 방법 관련 이론적 지식이 아니라 교수 경험과 교직 경력에 의하여 진화된 교수 방법 관련 실제적 지식이다. 둘째, 발문 관련 PCK면에서 볼 때 수학의 개념적 지식에 비해 절차적 지식의 지도에 있어서 발문 관련한 교사의 전문성 증진이 상대적으로 더 요구된다. 셋째, 수학 학습 지도시 바람직한 발문은 학습자의 오답에 대해서는 오답 배후의 오류체계를 고려한 발문이어야 하고, 학습 내용의 충실한 이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학습한 내용 주변 관련 내용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발문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설문조사에 의존하였기에 본 연구의 의도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수학 수업 현장에 밀착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수학 예비교사의 가상 수업 시연의 특징 및 동료 예비교사의 평가 (Analysis on the peer assessment results and the attributes of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virtual instruction)

  • 김선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4호
    • /
    • pp.465-481
    • /
    • 2013
  • In this study, 27 pre-service teachers presented virtual mathematics instruction to develop his/her own teaching practice ability. I found several attributes in their virtual mathematics instruction such as connecting contents, asking justification, encouraging students' communication, representing variously, and using ICT etc. These will 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ture mathematics class. When peer pre-service teachers assess presenter's instruction quantitatively,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results between expert and pre-service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didn't find the elements of student self assessment or group assessment and communication activities at the virtual instruction. When they assess peers' virtual instruction qualitatively, the results are specific or new ones compared with the quantitative assessment elements. Thus I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the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virtual instruction in the view of teacher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