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예비 보육교사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3초

예비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 타당화 (The Validation of Pre-service Teacher Efficacy Scale for Preschool Teachers)

  • 이채호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7-12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Ohio State Teacher Efficacy Scale(OSTES)을 활용하여 예비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를 타당화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본 연구는 G지역에 소재한 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3학년 재학생 42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Cronbach's ${\alpha}$)계수, 상관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의 하위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개의 하위요인(교수전략 효능감, 학생참여 효능감, 교실관리 효능감)으로 나타났으며 총 문항은 12문항으로 이루어졌다. 예비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의 하위요인 신뢰도는 '교수전략 효능감' .82, '학생참여 효능감' .72, '교실관리 효능감' .76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신뢰도는 .87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의 타당도를 살펴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FA)을 실시한 결과 모델 적합도는 CMIN/DF = 1.59, RMSEA = .05, SRMR = .05, NNFI = .96, CFI = .97로 나타나 예비 유아교사 교사효능감 척도(PS-TES)가 적합한 측정 도구임이 확인되었다.

예비보육교사의 OK-gram 긍정성과 학대인식 연구 (A study on OK-gram positiveness and abuse awareness of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 이남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236-24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과정을 이수 하고 있는 예비 보육교사의 긍정성과 학대인식 관계와 전공분야 특성과 학대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긍정성의 하위요인은 자기긍정성과 타인긍정성으로 나누고 학대는 4가지 하위요인인 신체, 성, 정서, 방임으로 구분하여 각 하위요인에 따라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는 경기도, 강원도, 서울소재의 보육학과 및 사회복지과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17년 5월 8일부터 5월 12일 5일간이었다. 통계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얻은 결론은 첫째, 긍정성은 학대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 되었고, 자기긍정성과 타인긍정성 중 타인긍정성이 높으면 학대 인식을 더 잘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예비보육교사의 타인긍정성을 높이는 인성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둘째, 학대정도의 심각성은 평균값 4.594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성(4.789), 신체(4.587), 방임(4.510), 정서(4.498) 순으로, 정서학대에 대하여 지표를 인식하는 정도가 제일 낮아 정서 학대인식에 대한 사회적 기준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셋째, 전공분야 특성에서는 예비보육교사의 실무경험이 학대인식에 도움을 주는가에 대하여서는 도움을 주고 있으며, 특히 보육실습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보육교사 훈련과정 중 실무 경험의 기회를 늘리고 특히 보육실습의 기회를 많이 제공하는 실무교육과정의 편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예비 보육교사의 전문성 계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예비 연구 (A Preliminary Study of Educational Program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 최혜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13-12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key components in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designed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professionalism. Key program characteristics identified and implement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ograms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for trainees to reflect on goal identification and setting goals as professional teachers. Second, programs should emphas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rvice teachers' personal qualiti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ird, programs should include and integrated and holistic approach to integrating content and teaching methodology. Fourth, the program's educational content should unfold in a gradual and sequential manner. Fifth, the program should support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senior teachers and juniors pre-service teachers. Sixth, the program should take advantage of the physical and human resources in the pre-service teacher's community. Seventh, the program should employ circular and formative evaluation of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as a way of facilitating development and improvement. This study develops and demonstrates an extensive model program that fits these criteria. Also included is discussion related to further studies.

커리어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예비유아교사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Implementation and Effect of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rough Career Portfolio)

  • 유수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23-252
    • /
    • 2011
  • 커리어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예비유아교사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은 예비유아교사들에게 이상적인 유아교사의 삶을 찾기 위한 다양한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교사로서의 교육신념을 확립하고 자신의 능력에 대한 객관적인 통찰을 하게 할 뿐 아니라 지속적인 자기반성 그리고 자기 계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커리어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교사교육현장에 적용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 이후 바람직한 현장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아교육과 재학생 26명을 대상으로 8주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적용과정에서 수집된 양적 질적 자료 모두에서 예비유아교사의 전문성 강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용된 프로그램이 예비유아교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원동력을 갖추어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통해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많은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바람직한 해결방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과 미국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다문화 이해 및 다문화교육 관련 특성에 대한 연구 (The Research on Multicultural Experiences Influence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and Characteristics toward Multicultural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서현아;천희영;위수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69-94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라 다문화교육의 이해, 다문화교육 인식과 태도 및 다문화교육 효능감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미국 대학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 유아교사 51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여 다문화 관련 경험, 다문화 이해,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및 다문화교육 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예비 유아교사들이 한국의 예비유아교사들보다 다문화 관련 교과목 이수 경험, 다문화 가정 유아 경험, 해외 문화 경험, 다문화 가정학생 동분 수업 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과 미국 양국 모두 다문화 경험의 유무에 따라 예비 유아교사들의 다문화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다문화교육 관련특성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미국 예비교사의 경우 다문화 경험의 유무에 따라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한국예비교사의 경우, 다문화가정 학생과 동반 수업의 경험이 있을수록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교육 효능감에 있어서는 미국 예비 교사들은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라 다문화 효능감에 있어서 차이가 없었으며 한국 예비 교사들은 다문화 관련 교과목을 이수한 예비 교사일수록 다문화교육에 대한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의 커리어 포트폴리오 제작 경험의 의미 (Meaning of the Experiences of Career Portfolio Production among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유수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129-156
    • /
    • 2012
  • 본 연구는 유아교사 양성과정에 커리어 포트폴리오 제작 프로그램을 적용해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들이 겪게 되는 다양한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커리어포트폴리오 제작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은 K대학 3학년 1학기에 재학 중이면서 교직실무 교과목을 수강하는 예비유아교사 23명에게 적용되었으며 연구자는 자료수집을 위해 프로그램이 적용되는 9주 동안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 Coaching Professor 프로그램 지도 보고서, 소그룹 면담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주제별 약호화의 방법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 8개 하위영역 즉, '시간의 흐름 지각하기', '흩어진 경험 모으기', '혼돈 속에서 나 찾아가기', '함께임을 인식하기', '심리적 안녕감 형성하기', '유아교사로서 나의 모습 그리기', '발전하는 나 설계하기', '세상으로 나아가기' 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커리어 포트폴리오 제작 프로그램의 참여가 예비유아교사들이유아교사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가치 있는 경험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예비보육교사의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보육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reservice Teachers on the General Self-Efficacy and the Efficacy of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 이세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81-190
    • /
    • 2008
  • The study aims to find out and examine the variables that make a difference between pre-service teachers' child care efficacy (CCE) and general self-efficacy (GSE). The subjects were 232 pre-service child care teachers going to an educational institution and a colle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of "age", "teacher training facilities", "field experience in child care centers", and "experience of child care" and "paraprofessional teachers" are important variables in pre-service teachers' CCE. Second, the variables of "age", "level of education", "teacher training facilities", "field experience in child care center", and "experience of child care or paraprofessional teachers" significantly affect the pre-service teachers' GSE. Third, the "age" variable is essential in explaining pre-service teachers' GSE. The Pre-service teachers' GSE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e-service teachers' CCE.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아에 대한 은유연구: 장애학의 관점에서 (A Metaphor Study for the with Children with Disabled Child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from Disability Study Perspective)

  • 강유진;연희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27-146
    • /
    • 2015
  • 본 연구는 장애아에 대한 예비유아교사들의 은유를 장애학의 관점을 통해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지역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13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2014년 9월 15일부터 9월 29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체계적 은유분석을 바탕으로 범주화 후 수치화하였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장애아에 대한 은유는 의료-한계 유형, 의료-다양성 유형, 사회-한계 유형, 사회-다양성 유형의 총 4가지로 범주화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양성과정에서 통합교육의 방향에 대한 고찰과 통합교육의 실시하는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높이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에 관한 연구 (Relations of Self-esteem to Teaching Aptitude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정원;전선옥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7-18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의 전반적인 양상을 파악하고 예비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이 교직적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강원도와 경기도에 소재한 3년제 영유아교사 양성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344명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에 관하여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은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들 중 타인과의 관계와 관련된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존중과 관련된 자아존중감은 자아존중감의 다른 하위요인들과 비교해볼 때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교직적성의 하위요인들 중 특히 수용성 및 민감성과 관련된 교직적성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정서와 관련된 교직적성이 비교적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의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높을수록 높은 수준의 교직적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예비유아교사의 지도력과 인기, 자기주장,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와 관련된 자아존중감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직적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영유아교사 교육과정에서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자아존중감과 교직적성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캡스톤 디자인 기반 장애교재교구 제작을 통한 예비보육교사의 장애 인식,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및 교사효능감의 변화 (Changes 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Disabilities, Attitudes toward Inclusive Education, and Teacher Efficacy through Capstone Design-based Disability Teaching Materials Production Classes)

  • 박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793-805
    • /
    • 2021
  • 본 연구는 캡스톤 디자인 기반의 장애아와 비장애가 함께 놀이하는 장애교재교구 제작 수업을 통하여 예비보육교사들에게 장애 인식, 통합교육 태도 및 교사효능감의 변화와 차이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수도권 3년제 K대학에서 2020년 한 학기 동안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참여한 보육 전공학생 3학년 50명(실험집단 25명, 비교집단 25명)이며, 양적 및 질적 연구를 혼합하여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장애교재교구를 제작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 보다 장애 인식과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및 교사효능감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다. 장애인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지식이 증가하여 장애 인식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장애 인식의 긍정적 변화는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교사효능감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준 것으로 판단된다. 예비보육교사의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는 통합교육현장에서 장애유아와의 상호작용 시, 교사의 다양한 역할과 교수행동의 질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