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예방행위수행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4초

간호대학생의 잠복결핵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도와 수행도, 예방행위 (Awareness, Performance, and Preventive Behavior of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management among Nursing students)

  • 모문희;장희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471-478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잠복결핵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인식도와 수행도, 예방행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D광역시에 소재하는 2개 대학에 재학 중인 191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20년 8월 3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잠복결핵 감염관리 예방행위와 수행도(r=.21, p=.003), 인식도와 수행도(r=.88, p<.001)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복결핵 감염관리에 대한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β=.29, p<.001), 최종 교육시기(β=.19, p=.004)였으며, 예방행위에 설명력은 11.9%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간호대학생의 잠복결핵 감염관리에 대한 예방행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년과 최종 교육시기에 따른 잠복결핵 감염관리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간호대학생의 메르스에 대한 지식, 태도, 감염예방행위 수행도의 융합적 연구 (The Convergence Study of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and Preventive Behaviors against MERS in South Korea)

  • 김미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49-157
    • /
    • 2017
  • 한국의 메르스 유행발생은 역학적으로 의료기관과 관련된 감염을 보였다. 이 당시 메르스로 인한 의료인 감염자 수는 39명이었고 그 중 간호사는 15명 이었다. 미래의 간호사로서 이러한 감염환자를 돌보게 될 간호대학생들에게 메르스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감염예방행위 수행도에 대하여 조사하여 감염예방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연구 시기는 2016년 4월부터 5월까지이며 연구대상자는 간호대학생 350명이다. 연구결과 메르스를 예방하려는 태도(p<.001)와 감염예방행위 수행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메르스 감염예방행위 수행도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영향은 회귀모형의 설명력이 15.2%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F=31.081, p<.001). 즉, 메르스를 예방하려는 태도(${\beta}=.383$, p<.001)가 높을수록 감염예방행위를 더욱 준수하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간호대학생에게 메르스와 같은 감염질환에 대한 융합적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여, 감염질환의 전파를 막으려는 태도를 강화하고 감염예방행위를 실천하게 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상급종합병원 임상실습 학생의 메르스 예방행위 수행 예측요인 (Predictors of MERS-related Preventive Behaviors Performance among Clinical Practice Students in a Tertiary Hospital)

  • 김희선;박진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74-185
    • /
    • 2018
  • 본 연구는 2015년 국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유행시 상급종합병원에 임상실습을 경험하는 학생의 메르스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예방행위 수행 정도를 파악하고 메르스 예방행위 수행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해서 시도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3, 4학년 간호학과와 의과대학 학생 480명이었으며, 자료수집은 2015년 6월 9일부터 6월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4.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메르스 예방행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들은 위계적 회귀분석(hierachial regression)을 이용하였다. 임상실습 학생의 메르스에 대한 지식 수준은 9.56점(13점 기준)으로 보통 이상으로 높았으며, 메르스의 심각성 인지와 예방가능성에 대한 신념인 메르스에 대한 태도는 4.15점(5점 기준)으로 긍정적이었다. 메르스 예방행위 수행정도는 3.02점(5점 기준)으로 보통 수준이었다. 메르스 예방행위는 여학생인 경우, 메르스에 관한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 지난 해 인플루엔자 접종을 한 경우, 올해 인플루엔자 접종 의도가 있는 경우, 메르스 감염에 대한 두려움이 높은 경우, 메르스에 대한 지식 수준이 높고,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수행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에 감염환자들을 치료하고 돌보게 될 간호학과와 의과대학 임상실습 학생의 메르스 예방행위 수행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메르스 예방행위 수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임상실습 학생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더 나아가 임상실습 학생들이 메르스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습득해야 하는 내용이 포함된 효과적인 감염예방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미래 보건의료인들의 메르스 관련 지식 수준을 높이고, 질환 전파를 막으려는 태도를 강화함으로써 전염성 감염질환 예방에 기여해야 한다.

병원간호사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감염예방행위 수행도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Hospital Nurses' Performance of COVID-19 Infection Prevention Activities)

  • 최지유;정희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131-138
    • /
    • 2022
  • 본 연구는 병원간호사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감염예방행위 수행도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전광역시에 소재한 상급종합병원 간호사 190명이며, 자료수집은 2021년 3월에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감염예방행위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연령(β=.25, p=.008), 근무부서(β=.15, p=.046) 및 병원안전문화(β=.17, p=.025)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전체 설명력은 8.2%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염예방행위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병원안전문화 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과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COVID-19의 지식, 불안이 예방행위 수행정도에 미치는 영향 (Perceived Knowledge, Anxiety and Compliance with Preventive Behavior Performance on COVID-19 by Nursing College Students)

  • 황순정;이명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459-468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COVID-19 예방행위 수행정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2020년 4월 24일부터 5월 6일까지 1~4학년 195명 간호대학생이 온라인을 통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3.0으로 기술통계, Independen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COVID-19에 대한 예방행위 수행은 지식과 불안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예방행위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식(β=.418, p<.001), 불안(β=.280, p<.001), 자가격리 경험(β=-.107, p<.05)으로 설명력은 40.4%였다. 결론적으로 간호학생들의 COVID-19에 대한 정확하고 긍정적인 지식 형성이 필요하며 일상생활에서 예방행위 수행을 실천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일부 산업장 생산직 근로자의 예방적 건강행위에 관한 연구

  • 김영란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권호
    • /
    • pp.52-59
    • /
    • 1992
  • 본 연구는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필요성 인식 정도와 실천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요인분석하여 산업장의 예방적 건강행위를 이끌기 위한 프로그램의 기틀을 세우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도구는 참고문헌과 선행연구 등을 참조하여 본 연구자가 만든 설문지를 사전 조사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의 2개 기계제조업체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이였으며 1989년 5월 5일부터 1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탈락 및 기재가 불충분한 질문지를 제외한 284명의 응답자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예방적 건강행위의 필요성 인식정도의 평균은 122.1점으로 매우 높은 점수분포를 나타냈으며, 실천정도의 평균은 87.6점으로 필요성 인식정도 보다는 낮은 실천정도를 나타냈었다. 2)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필요성 인식정도와 실천 정도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29개 예방적 건강행위 중 20개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것을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필요성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실천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식정도가 행위에 영향을 미침을 반영하고 있다. 3) 요인분석결과 29개의 예방적 건강행위 항목들은 7가지의 요인으로 범주화되었으며 각 범주들은 요인부하량이 높은 것들을 참고로 하여 보건의료자원활동을 통한 예방적 건강행위, 개인위생에 대한 예방적 건강행위, 작업과 관련된 건강행위, 식습관을 통한 예방적 건강행위, 휴식을 통한 예방적 건강행위, 기호습관(금연, 금주)을 통한 예방적 건강행위, 활동을 통한 예방적 건강행위등으로 명명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생산직에 종사하고 있는 근로자들은 예방적 건강행위에 대한 필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있으나, 실천정도는 그에 미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예방적 건강행위의 필요성 인식정도와 실천정도간의 상관관계에서 29개 항목중 20개 항목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인식정도가 높을 수록 실천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근로자의 건강에 대한 인식 및 태도가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산업간호사의 역할 중 보건교육에 대한 업무가 보다 중요한 비중으로 수행되어져야 함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볼수 있다.

  • PDF

50세 이상 성인의 대상포진 예방행위 관련변인들 간의 구조분석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mong Variables of Preventive Behavior to Herpes Zoster for Adults over 50 Years Old)

  • 오향옥
    • 대한보건연구
    • /
    • 제44권4호
    • /
    • pp.67-82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는 50세 이상 성인의 대상포진 예방행위 관련 변인들을 분석하고자 시도된 구조분석 연구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표적 모집단은 B시의 노인 건강대학 프로그램 참가자, C시의 종합복지관의 취미교실 프로그램 참가자. C시의 지역사회 거주자 중 50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하여 응답자의 연령이 50세 이하인 7명과 불성실한 응답내용 8부를 제외한 225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 기간은 2016년 6월 15일부터 동년 7월 15일까지 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사의 SPSS statistics 18.0과 AMOS versio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모형검증 결과, ${\chi}^2=365.785$(df=193, p<.001), $CMIN/DF({\chi}^/df)=1.90$, GFI=0.88, AGFI=0.84, NFI=0.88, TLI=0.93, CFI=0.94, RMR=0.07, RMSEA=0.06 이었으며, 50세 이상 성인의 대상포진 예방행위에 대한 태도와 지각된 행위 통제는 대상포진 예방행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 중 가장 큰 총효과를 나타낸 것은 대상포진 예방행위에 대한 태도이었다. 결론: 50세 이상 성인의 대상포진 예방행위 수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태도의 변화를 유도하고, 지각된 행위통제를 강화하여 예방행위 수행을 높이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전략이 필요하다.

보건소 공무원의 건강 지식, 건강 신념과 예방적 건강 행위와의 관계 연구 - 코로나19 발생 기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ealth knowledge and health beliefs of public health center officials Study of relationship with preventive health behavior (Focusing on the period of COVID-19 outbreak))

  • 노지영;김은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37-144
    • /
    • 2023
  • 본 연구는 보건소 공무원의 건강 지식, 건강 신념, 예방적 건강 행위의 정도와 관계를 알아보고 보건소 공무원의 예방적 건강 행위를 증진 시키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시도되었으며, 연구대상자의 예방적 건강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건강 신념의 하위요인인 유익성(β=. 298), 심각성(β=. 193), 행동의 계기(β=. 183)로 확인되었다. 이들 변수 간의 예방적 건강 행위에 대한 설명력은 33.9%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보건소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지식, 건강 신념, 예방적 건강 행위에 관한 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시도되었으며, 자가 보고식 설문지의 한계를 보충할 수 있는 객관적인 관찰이나 질적연구를 수행하여 코로나19 예방적 건강 행위의 의미를 탐색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계획적 행위이론에 근거한 간호사의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및 욕창예방 행위에 관한 연구 (Nurses'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Behavior Regarding Pressure Ulcer Prevention Behavior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 박준호;장연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212-223
    • /
    • 2019
  • 본 연구는 계획된 행위이론에 근거하여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가 종합병원 간호사의 욕창예방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과 경기도의 4개 종합병원에서 총 111명의 간호사가 연구에 참여하여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및 욕창예방 행위와 관련된 설문조사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체 대상자뿐만 아니라 대상자를 각각 학력수준, 근무병동 및 병원규모로 나누어 집단별 다중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대상자에 대한 연구결과에서는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고 주관적 규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간호사의 욕창예방 행위의 수준이 높았다. 반면에 집단별 분석 결과에서는 '학사이상'이거나 '3차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임상경험이 많을수록 행위 수준이 높았고, '외과병동 및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는 태도 점수가 높을수록 욕창예방 행위의 수준이 높았다. 또한 '학사이상'인 간호사는 주관적 규범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욕창예방 행위의 수준이 높았다. 따라서 간호사의 욕창예방에 대한 태도, 주관적 규범의 수준을 개선함으로써 욕창예방 행위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교육수준, 근무부서, 병원규모를 고려한 개별화된 맞춤형 중재가 제공되어야 한다.

미혼 여성의 자궁경부암 예방활동 유형에 따른 자궁경부암 지식과 자궁경부암 예방행위 의도의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Cervical Cancer Knowledge and Cervical Cancer Preventing Behavioral Intention according to Cervical Cancer Preventing Behavior Type among Unmarried Women)

  • 임영숙;조해련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95-10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미혼여성의 자궁경부암 예방활동에 따른 자궁경부암 지식과 자궁경부암 예방행위 의도를 융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함이다. 216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자가보고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미혼여성의 33.9%가 HPV 예방접종을 시행하였고 7.9%가 Pap test를 시행하였다. Pap test와 HPV 예방접종을 모두 시행한 그룹은 6.7%, Pap test 또는 HPV 예방접종을 시행한 그룹은 28.5%이었다. 자궁경부암 예방활동에 따라 자궁경부암 가족력, 자궁경부암 예방행위에 대한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위통제, 행위의도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미혼 여성의 자궁경부암 예방활동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미혼 여성의 자궁경부암 예방을 위해 건강 전문가가 가장 의미 있는 지원시스템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미혼 여성이 자궁경부암 예방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지원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