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예방처치경험

Search Result 2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omparison of the gene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status between inexperienced and experienced groups of recent dental preventive treatment: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7 (최근 치과예방처치 무경험군과 경험군의 전신건강상태와 구강건강상태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2016-2017년) 자료를 활용하여)

  • Kim, Yu-R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
    • v.19 no.4
    • /
    • pp.545-554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gene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status based on periodical dental preventive experience, and to find methods for regular dental prophylaxis, using the data obtained from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 total of 9,015 participants were selected for the study.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1.0, with data obtained from a complex sampling design, and a significance level of 0.05 was se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oral health status, and recent preventive dental treatment were examined for a complex sampling frequency analysis, and the differences in distribution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Results: The group that recently under went dental prophylaxis, when compared to the group that had not under gone dental prophylaxis recently, reported several 'no obstacles' for all items of the EQ-5D (p<0.05). Moreover, the group that recently underwent dental prophylaxis used all the oral care products (p<0.05).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expand institutional supervision so that regular dental preventive measures can be undertaken to promote oral health that affects general health.

May-Thurner Syndrome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후 발생한 May-Thurner 증후군)

  • Shim, Chang Heon;Park, Jin Woo;Wang, Lih
    •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 /
    • v.56 no.3
    • /
    • pp.277-281
    • /
    • 2021
  • Iliac vein compression syndrome, which results in thrombosis of the left iliac veins, was first described by May and Thurner in 1957. May-Thurner syndrome should be considered when deep vein thrombosis-like symptoms appear, especially in the left lower extremities without an invasive procedure. The authors encountered an interesting case of a middle-aged female patient, who presented with sudden pain, swelling and skin color changes to the left lower extremity after right total knee arthroplasty and was diagnosed May-Thurner syndrome by computed tomography venography. This case is of clinical significance in that the early diagnosis of May-Thurner syndrome in the left lower extremity was made, which might have been overlooked after right total knee arthroplasty. This case is reported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review.

Study on the status of food allergy management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about precautions of food allergy in school foodservice according to the school types in Jeonbuk area (전북지역 학교급식소 조리종사자의 학교유형에 따른 식품알레르기 관리실태 및 식품알레르기 예방관리에 대한 중요도와 수행도 분석)

  • Kim, Ji Yeon;Rho, Jeong Ok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3 no.3
    • /
    • pp.329-345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food allergy management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and high school employees in school foodservi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employees in elementary (n = 171) and middle and high schools (n = 187) in the Jeonbuk area.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tatus of food allergy management, food allergy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status were assess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Results: Approximately 55.0% of employees in elementary and 32.6% in middle and high schools recognized that the foods in menu tables induced allergies. Approximately 93.0% of employees in elementary and 85.0% in middle and high school thought that food allergy management was an important part of school foodservice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health emergencies. Elimination and replacement meals were provided more in middle and high schools than in elementary schools. Food allergy education from nutrition teachers had been given to 62.6% of employees in elementary and 50.3% in middle and high schools. To prevent food allergy accidents, 72.4% of employees in elementary schools and 65.2% in middle and high schools wanted more accurate information on students with food allergies. As a result of IPA,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employees were aware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ed well: 'Strict control of allergy-inducing foods because of cross-contamination'. On the other hand, they were not aware of the importance and performed them insufficiently: 'Know how to use epinephrine to prepare for emergencies'. Conclus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onsciousness of nutrition teachers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food allergy education, especially the recognition of allergy-inducing foods and emergency responsive ability.

Clinical Competency of Dental Hygiene Students to Manage Disabled Patients in Some Areas (일부 지역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장애인 환자 관리에 대한 역량)

  • Hwang, Hyeon-Jeong;Kim, Ah-Hyeon;Kim, Jeong-Hee;Seo, Bo-Ryeon;Lee, Da-Hye;Hwang, Soo-Jeong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8 no.6
    • /
    • pp.349-356
    • /
    • 2018
  • The demand for medical care and welfare for patients with disabilities is expanding,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are also increasingly interested in the need for medical care for patient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mpetency of disabled patients' management and the education experience of dental hygiene students, who are the main players of oral health care for disabled patients. A total of 196 students in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and 3rd and 4th grade students were surveyed using questionnaires. As a result, most of the students had a positive awareness of disabled patients; 84.7% answered with the need to train dental hygienists in specializing in handicapped patients, 76.5% were willing to attend seminars related to disabled patients after graduation, and 71.4% of the students provided dental treatment for patients with disabilities in curriculum and comparative curriculum. The students who provided treatment for disabled patients showed that their competence in most areas of knowledge of disabled patients, oral health education, and oral disease prevention was highly evaluated as significant. The competence of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 theoretical education was sufficient was significantly higher. Based on this,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education of dentistry for disabled patients is needed, and sufficient theoretical education and practical training should be offered to foster personnel capable of contributing to the improvement in the oral health of patient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in-depth discussions on the training of dental hygienists specialized in handicapped patients should be conducted.

Comparison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others in Perception of Oral Health Behavior and Education for Children (일부 유아교사와 어머니의 유아구강건강행동 및 구강건강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 Lee, Sae Na;Kim, Eun Sook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3 no.2
    • /
    • pp.125-13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others in oral health knowledge, oral health care behavior, and percep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90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orked in all of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and 235 mothers who have young children (aged from 1 to 5) in 2 kindergartens and 2 childcare centers Y region. They completed questionnaires about oral health knowledges, oral health care behaviors, and perception of oral health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and Fisher's exact test of SPSS WI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about oral health and mothers'. 2.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oral health care behaviors for children and mothers' in prevention of cavity, keeping toothbrushes, guiding oral health behaviors, and check up at dentist's. 3.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interest and experience in oral health education and mothers'. Therefore, There was not difference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about oral health and mothers. But early childhood teachers more frequently carry out preventing of cavity, keeping toothbrushes, guiding oral health behavior to their children than mothers. Mothers were more interested in oral health than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others wanted to be educated about children' oral care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wanted to be educated about guidebook and media of oral health education.

Survey of Sedation Practices by Pediatric Dentists (소아치과의사의 진정법 사용에 대한 실태조사)

  • Yang, Yeonmi;Shin, Teojeon;Yoo, Seunghoon;Choi, Seongchul;Kim, Jiyeon;Jeong, Taesung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41 no.3
    • /
    • pp.257-265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appropriate guidelines in the sedation techniques and to organize the continuing education programs for the sedation in future under the direction of Committee on Sedation, Education and Research under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KAPD). The surveys on the sedation technique were performed on 111 organizations which practices the sedation and responded to the survey via online and e-mail by February 2014. The collected survey were analyzed. The purpose of sedation was mainly to manage the children's behavior and its uses were primarily on 3~4 years old children. The most frequent duration of treatment was 1~2 hours to treat both maxillary and mandible. The preferred dosages of sedative drugs were chloral hydrate(CH) 50~70 mg/kg, hydorxyzine(Hx) 1~2 mg/kg, and intramuscular midazolam(Mida IM) 0.1~0.2 mg/kg. The preferred combination of the sedative drugs were CH + Hx + $N_2O/O_2$(67.6%), CH + Hx + Mida submucosal administration (SM) + $N_2O/O_2$(29.7%), and Mida IM + $N_2O/O_2$(23.4%). The administration of additional sedatives was carried out at 48%, mainly using Midazolam. 87.5% of the respondents experienced the adverse effects of the sedation such as vomiting/retching, agitation during recovery, subclinical respiratory depression, staggering, and etc. Among them, only 20% periodically retrain the emergency management protocol. About the discharge criteria for patients after the sedation, the respondents either showed a lack of clear criteria or did not follow the recommended discharge criteria. 86% of the respondents expressed the interests in taking a course on the sedation and they wanted to learn mostly about the sedation-related emergency management, the safe dosage of the sedative drugs, and etc. The use of sedation in pediatric dentistry must be consider a patient's safety as top priority and each dentist must show the evidence of sound practices for the prevention of any possible medical errors. Therefore, KAPD must establish the proper sedation guidelines and it needs to provide the systematic technical training program of sedation-related emergency management for pediatric dentists.

The Effect of Dent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ygiene Management Skills on Periodontal Health Status Assessment in Their Twenties (20대 구강보건지식과 구강위생관리능력이 치주건강상태평가에 미치는 영향)

  • Bok, Hye Jeong;Lee, Eun-Ju;Choi, Jung-Mi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 /
    • v.13 no.1
    • /
    • pp.36-4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healthy and effective dental management by providing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periodontal health promotion as well as high dental health interests, by do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ffect of dent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ygiene management skills of people in their 20s on periodontal health status assessment, to find periodontal disease early and prevent it targeting 130 adults in their 20s who visited dental hygienic lab for comprehensive dental hygiene care and treatment from September 25 to October 30. The data collected used SPSS 18.0. To present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the data, frequency was used and chi-squared test through cross-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ental health knowledge and the relevance between the variables of oral hygiene management skills of general characteristics. To examine periodontal health status assessment, t-test and One-way ANOVA and Turkey post-hoc tests were carried out at the 5% significance leve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dent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ygiene management skills on dental health status assessment. As a result of this study, as dental health knowledge on tooth brushing of people in their 20s increased, plaque index reduced, as dental health knowledge on periodontal disease increased, plaque index reduced. Dental health status assessment according to a total number of times tooth brushing, tooth brushing methods, whether to use dental hygiene devices, smoking status, drinking frequency per week, whether to have oral health educ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improve the level of dent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ygiene management skills,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strengthened as well as the publicity through the media to have the information on oral health and learn it.

Dental Assistant and Dental Hygienist-comparison with U.S. (치과 보조 인력과 치과위생사-미국의 제도 비교)

  • Youngyuhn Choi
    • Journal of Korean Dental Hygiene Science
    • /
    • v.6 no.2
    • /
    • pp.65-77
    • /
    • 2023
  • Background: The shortage of dental hygienists as assistant is a great concern to dental clinics, while dental hygienists are rather pursuing the role of oral hygiene control and preventive treatments which is the main role for dental hygienists in the United States. The dental hygienist and dental assistant system in the United States can be a reference in these discussions. Methods: Educational requirements for licensure and work areas for dental hygienists and dental assistant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ADA),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National Board Dental Hygiene Examination (NBDHE), Dental Assistants Association of America (ADAA), and Dental Assistants National Board (DANB). Results: In the United States, each state has different systems, but in general, dental hygienists obtain licenses after completing 2~3 years of associate degree programs in dental hygiene after obtaining basic learning skills, and mainly perform tasks related to patient screening procedures, oral hygiene management and preventive care. Dental assistants can take the license test after completing a training course of 9~11 months to obtain a dental assistant certification. Additional expanded work typically requires passing state qualification tests, completing a training program, obtaining a degree, or gaining clinical experien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depending on the state Conclusion: The scope of work of dental hygienists designated by the Medical Engineer Act and the Enforcement Decree in Korea includes both the work of dental hygienists and dental assistants in the United States, and if a dental assistant system like the United States is introduced to address the current shortage of dental assistants,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such as adjustment of the scope of work and expansion of the role of dental hygienists in oral hygiene management and prevention work is needed and in-depth discussion is necessary.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