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천

Search Result 45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Bandwidth Allocation Algorithm for Improving QoS in EPON with Sleep Mode (수면 모드를 이용하는 EPON에서 QoS 향상을 위한 대역 할당 알고리즘)

  • Yang, Won-Hyuk;Jeong, Jin-Hyo;Kim, Young-Ch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 no.7B
    • /
    • pp.489-498
    • /
    • 2012
  • Recently, as the interest in Green IT is exponentially increased, EPON with sleep mode has been studied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in access network. In oder to guarantee cyclic sleep for ONU(Optical Network Units), EPON with sleep mode transmits upstream and downstream data at the same time. However, since conventional algorithms for sleep mode in EPON allocate bandwidth to each ONU according to upstream bandwidth request, the QoS of downstream data is not guaranteed when the offered load of OLT is larger than that of ONU. In this paper, we propose a bandwidth allocation algorithm for improving QoS in EPON with sleep mode. The proposed algorithm compares its size with an upstream request of ONU when a downstream buffer in the OLT exceeds a QoS threshold. And then it allocates selectively a bandwidth that satisfies the required QoS between the bandwidth request of ONU and OLT. Therefore, the proposed algorithm can save energy through cyclic sleep of ONUs while guaranteeing the QoS of up/downstream data. In order to evaluate the proposed algorithm, we perform simulation in terms of total sleep time of ONUs, queueing delay between OLT and ONU, and the utilization of allocated bandwidth at OLT through OPNET.

A Study on the Environment and Disasters of Goryeong County (고령군의 환경과 재난에 관한 연구)

  • Jeon, Young-Gw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5 no.1
    • /
    • pp.1-15
    • /
    • 2009
  •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needed for establishing policies on the environment and disasters of Goryeong count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nt master plan of the region does not reflect local socio-economic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local people's opinion. Second, The air conditions of Gyeongbuk province and Goryeong county are within the permitted limit of air pollution of Korea. Third, the analysis of water pollution index in Nakdong river system shows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both Andong and Goryeong. Fourth, the conditions of waste collection and disposal are improved in both Gyeongbuk province and Goryeong county. Fifth, in case of environmental pollutant emitting facilities of Gyeongbuk province, the proportion of 1st to 4th grade(relatively much more environmental pollutant emitting quantity than 5th grade) tends to be increasing. Sixth, environmental pollutant emitting facilities of Goryeong county are remarkably increasing in Dasan, Gaegin, Ssangrim, involving industrial complex. Finally, in case of disasters, it is relatively stable in Yecheon, Gumi, Uiseong, Yeongju and Cheongdo, while relatively unstable in Seongju, Gunwi, Yeongcheon, Chilgok, Mungyeong, Bonghwa and Goryeong.

  • PDF

Methanol Extract of Alpinia katsumadai Hayata has Anti-viral Activity by Inhibition of α-glucosidase (초두구 추출물의 α-glucosidase 활성 억제에 의한 항바이러스 활성)

  • Lee, Doseung;Boo, Kyung Hwan;Kim, Young Cheon;Lee, Jin-Man;Kim, Seong Cheol;Lee, Wang Shik;Riu, Key Zung;Lee, Dong-S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57 no.2
    • /
    • pp.179-182
    • /
    • 2014
  •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from Alpinia katsumadai Hayata against antiviral potential underlying mechanism in glucosidase inhibition. Syncytium formation in Newcastle disease virus (NDV)-infected baby hamster kidney (BHK) cell originates from the trafficking of viral glycoprotein into cell-surface. Methanol extracts inhibited not only syncytium formation, but also trafficking of glycoprotein, hemagglutinin-neuraminidase (HN), onto cell-surface. A. katsumadai extracts showed the inhibitory activities ($IC_{50}$ $25{\mu}g/mL$) against ${\alpha}$-glucosidas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blue chanterelle extracts inhibited the cell-surface expression of NDV-HN glycoprotein without significantly affecting HN glycoprotein synthesis in NDV-infected BHK cells.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SWAT Model for Long Term Simulation of Runoff and Sediment Transport at the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유역의 장기 유역 유출 및 유사 모의를 위한 SWAT 모형의 검보정)

  • Lee, Eun-Jung;Jang, Eun-Kyung;Kim, Tae-Keun;Hwang, Man-Ha;Kwon, Yong-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81-881
    • /
    • 2012
  • 낙동강유역에는 4대강 사업으로 8개의 보가 낙동강 본류에 새롭게 설치되었으며, 따라서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유사가 보상류에 퇴적되어 하천제방이나 하천구조물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또한 홍수시에는 농경지의 매몰과 저수지의 퇴적현상이 발생하는 등 유역유사에 의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강우로부터 유출되는 유사는 강우사상에 따라 빠르게 변할 수 있으나 수체에 즉각적인 영향을 유발하지 않을 경우 만성적인 특성으로 인해 침전물을 계속 이동시키며 축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사전에 예측하고 낙동강유역에 대한 유역유사관리 대책마련을 마련하기 위해 유역유출과 유사의 이송 및 퇴적양상을 분석하여 유역관리를 위한 자료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초자료 분석을 위해 활용되는 유역모형 중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은 장기간 유역 유출로 인한 유사 모의를 수행하는데 가장 많이 활용되는 모형이며, 미국 농무성 농업연구소(USDA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RS)의 Jeff Amold 등에 의해 개발된 모형이다. SWAT 모형은 장기유출 및 유사 발생에 대한 시 공간적 변화를 모의하는 모형으로 넓은 범위의 유역에 대해 일단위 모의 간격으로 최대 100년까지 모의가 가능한 장기유역 모의에 최적화된 모형이다. 본 논문에서는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유역의 장기 유역 유출 및 유사 모의를 수행하기위해 2004년에서 2009년까지의 유출량 자료와 유량-유사량관계곡선 등을 이용하여 본류 및 지류 유출구 주요지점에 대해 검보정을 수행하고자 한다. 모의의 정확도 향상을 위해 안동댐, 임하댐, 영천댐, 합천댐, 남강댐, 밀양댐 및 낙동강 본류 등 총 7개 유역으로 구분하여 SWAT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각 유역별로 유출량과 유사량에 대하여 각각 보정 및 검증을 수행하였다. 낙동강 본류유역 총 7개의 댐 방류량자료와 20개의 대형하수종말처리장 방류량자료를 이용한 낙동강유역의 유출량 보정 및 검증 결과, 모의치가 실측치를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 11개 지점의 수위관측소에 대해 유사량 측정 성과를 이용한 유사량 보정 및 검증 결과, 강우시 유사량 모의값은 유출량-유사량관계곡선 식을 잘 반영하였으나, 비강우시에는 모의값이 관계곡선 식의 결과값보다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 PDF

The Distribution and Occurrence of Sulfonylurea-Resistant Weeds in Paddy Fields of Gyeongbuk Province (경북 지역 Sulfonylurea계 저항성 논잡초 발생양상과 분포)

  • Kim, Sang Kuk;Kim, Hak Yoon
    • Weed & Turfgrass Science
    • /
    • v.2 no.2
    • /
    • pp.131-137
    • /
    • 2013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the basic information on distribution and occurrence of weeds including resistant weeds to sulfonylurea herbicides in paddy fields of Gyeongbuk province. In weed distribution on life cycle, annual weed was occupied by 91.8% and perennials were 8.2%, respectively. In morphological distribution of weeds, broad leaf weeds were 85.7%, sedges was 9.1%, and grass weed was 3.8%, respectively. Sulfonylurea-resistant weeds in paddy fields of twelve regions were widely occurred except for Yecheon region. The six sulfonylurea resistant biotypes occurred in paddy fields of Gyeongbuk province were Lindernia dubia, Eleocharis kuroguwai, Monochoria vaginalis and Ludwigia prostrata. It revealed that occurrence rate and area of sulfonylurea-resistant weeds were about 15.9 % and 22,420 ha in Gyeongbuk province.

Ecology of Marssonina Blotch Caused by Diplocarpon mali on Apple Tree in Kyungpook, Korea (사과나무 갈색무늬병의 발생생태)

  • Kim, Dong-Ah;Lee, Soon-Won;Lee, Joon-Tak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v.16
    • /
    • pp.84-95
    • /
    • 1998
  • Apple Marssonina blotch, caused by Diplocarpon mali, which has been increasing on apple trees and become one of the most serious diseases on apple trees in Korea since the begining of 1990's. In this study, ecology of Marssonina blotch including disease incidence and spore dispersals was surveyed from 1992 to 1995 in Kyungpook, and factors influencing the incidence of the disease were analyzed. Marssonina blotch began to occur on apple leaves in June and was observed commonly in most of apple orchards after August, and increased rapidly in September. The incidence of this disease was high at the year of low temperature and a lot of precipitation. The conidia discharge began to occur in May and continued to October, and the peak period of spore release was in August and usually more than 70% of total spore release of the year released from August to September. The incidence of the disease was high in the northern and mountain are as such as Yeongjoo, Chungsong, Andong, and relatively low in the southern areas such as Kunwi, Yongchon. Jonathan cultivar was the most susceptible to Marssonina blotch, and Jonagold, Sekaiichi was secondly susceptible and the next Fuji was more susceptible than Tsugaru. The incidence of the disease was relatively high in orchards which cultivation management of irrigation, drainage, air circulation, fertilization, and fungicide spraying were poor.

  • PDF

The Value and Application of The Mt. Palgong in Daegu (대구 팔공산의 가치와 활용방안)

  • JEON, Young-Gweo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9 no.2
    • /
    • pp.51-68
    • /
    • 2012
  •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value in culture, history and ecology of the Mt. Palgong. It attempts to build the strategy for making use of The Mt. Palgong by literature survey, interview, and field survey.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boundary of physical geography of the Mt. Palgong is classified into two. The boundary of the Mt. Palgong limits to granite mass block in a narrow sense, while in a broad sense, the boundary of the Mt. Palgong includes a contact aureole to be bordered on the Mt. Palgong granite mass block. The boundary from a cultural viewpoint limits to Daegu city(excluding Dalseong county) and Gyeongsan city, Yeongcheon city, Gunwi county and Chilgok (Dongmyeong-myeon, Giseong-myeon) in Gyeongbuk province. 2) In the geological boundary, one of the south-west slope is clearer than that of the north-east slope of the Mt. Palgong. The landforms such as tor, sheeting joint and gutter are well developed as a whole. Mountain landform such as boulder stream, polygonal cracking is relatively well developed on the south-west slope, while river landform is relatively well developed on the north-east slope of the Mt. Palgong. 3) It is necessary to develope various masterpiece of interesting stories related to Mt. Palgong in order to make the Mt. Palgong excellent tour complex. 4) It is desirable to designate the Mt. Palgong as a national park for systematic management. A master plan should be ultimately designed to raise brand value of Daegu city, and make good identity of the city by restoring 'The Mt. Palgong Jecheondan' and registering 'Gatbawi' as world heritage. 5) It is reasonable that the method of development in The Mt. Palgong should be based on the pattern of 'slow life town'. 'The Mt. Palgong museum' will then be designed to give visitors all the informations on The Mt. Palgong.

Water supply between dams for effective use of secured water resources (기 확보된 수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댐간 용수공급)

  • Park, SeChool;Lee, DongBeom;Kim, DaeIl;Lee, Joon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68-368
    • /
    • 2017
  • 근대적 기상관측이 시작된 1905년 이후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증가하고 있으나 강수량 변동폭 또한 커지면서 최갈수 기간의 영향을 받는 댐 등 대규모 수공구조물의 용수공급능력은 감소되고 있다. 또한 지역별 강수량과 인구 편차로 공간적으로 이용 가능한 수자원의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어 지역적인 물 공급의 안정성과 형평성은 여전히 취약한 상황이다. 하지만 사회적 공감대 형성이 쉽지 않은 대규모 수자원개발 추진은 어려운 여건이며 국민들의 안전하고 맑은 물에 대한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한 다각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 확보된 수자원의 효율적이고 공평한 활용을 위해 국내 용수공급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댐을 대상으로 댐간 연결을 통한 용수공급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소양강댐, 충주댐 등 다목적댐 16개 및 광동댐, 영천댐 등 용수댐 12개 총 28개댐의 용수공급능력 평가와 장래 용수수요량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장래 용수부족 지역 해소를 위한 상시공급과 극한가뭄 등 재난 대처를 위한 비상시공급 방안을 검토하였다. 상시공급은 댐 용수공급능력 평가를 통하여 기본계획공급량 대비 여유수량을 갖는 댐에서 장래 용수수요 증가, 용수공급능력 감소 등으로 공급 용수가 부족한 인근 댐으로 공급하는 방식이며 용수 공급량은 저수지 모의운영을 통하여 양댐의 이수안전도(분석 기간중 1회에 한하여 물 부족 허용)를 충족시키는 수량을 산정하였다. 비상시공급은 타수계 및 근거리간 연결, 가뭄 예상지역을 기준으로 대상 댐을 검토하였으며 용수 공급량은 공급댐의 유지용수와 관개용수를 이용하여 공급받는 댐의 생 공용수 20% 공급가능시 공급량으로 산정하였다. 검토 결과 상시공급은 소양강댐에서 횡성댐으로 86천$m^3$/일, 장흥댐에서 주암본댐으로 127천$m^3$/일, 남강댐에서 수어댐으로 $140m^3$/일, 비상시 공급은 충주댐과 대청댐, 충주댐과 안동댐간 각각 500천$m^3$/일 공급을 통하여 장래 용수부족 지역의 물 부족 해소와 극한가뭄 등 비상상황의 대처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기후변화와 사회가치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수자원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대책의 일환으로 고안된 것이며, 향후 유역간 물 이동에 따른 현행 수리권제도 및 어류, 수질변화에 따른 환경영향 등에 대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tatus of pollution source and characteristics of discharged loads in a small watershed (소유역의 오염원 현황과 오염물질 배출특성)

  • Lee, Su In;Shin, Jae Young;Joo, So Hee;Na, Young Gwang;Choi, Joong D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69-56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소유역 내 오염원 현황에 따른 발생부하와 배출부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유역은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천 일대이며, 소유역을 6개의 세유역으로 구분하여 발생부하와 배출부하를 산정하였다. 오염원 현황자료는 2013년 전국오염원 조사자료를 기초로 하였으며, 행정구역 단위의 오염원 조사 및 행정구역과 유역의 경계가 일치 하지 않는 경우의 오염원별 점유율은 토지종합정보망(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LMIS)의 연속지적도 자료를 이용하여 면적비로 산정하였다. 대상유역의 전체 인구는 총 5,140명이며, 이 중 시가 인구가 2명, 비시가 인구가 5,138명으로 나타났다. 생활계 오염원은 소유역 별 인구를 분석한 결과, FW-'1은 3,113명, FW-'2는 298 명, FW-'3은 604 명, FW-'4는 836 명, FW-'5는 283 명, 그리고 FW-'6은 6 명으로 분석되었다. FW-'1의 인구는 총 3,113명으로 대상유역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계 오염원은 FW-'1 지점에 총 115 가구의 농가가 위치하여 소유역 중 가장 많은 축산 농가가 위치하고 있으며. 가축 사육 두수는 돼지 8,040두, 젖소 394두, 한우 1,587두, 사슴 10두 그리고 가금(기타) 수가 292,158두로 다른 지점들과 비교하여 사육 두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FW-'2 지점은 돼지 1,350두가 있는 돼지 농가가 1가구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W-'3 지점은 돼지 14,692두, 한우 1,287두, 가금(기타) 100두가 있으며, 축산 농가는 총 42가구가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지점들과 비교하여 돼지 사육 두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FW-'4 지점의 가축현황은 돼지가 900마리, 한우 1,222 마리이며, 총 57개의 농가가 위치하고 있고, 이 중 돼지 농가는 1가구이며, 그 외 56개의 농가는 모두 한우 농가이다. FW-'5 지점은 한우 407마리 가금(기타) 150마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W-'6 지점은 축산 농가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대상유역 내에는 총 14개의 산업체가 있으며, $800.33m^3/day$만큼의 폐수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중 FW-'1 지점 산업체 개수는 12개이며, 폐수 발생량은 $730.59m^3/day$로 가장 많은 양의 폐수가 발생하고 있다. 대상유역 내에는 산업계, 양식계, 매립계의 오염원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원 자료를 바탕으로 발생부하량과 배출부하량 산정결과 생활계와 축산계, 토지계 중축산계의 BOD, T-N, T-P 모두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배출부하량 비교 결과에서도 BOD, T-N, T-P 모두 축산계 배출부하량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 중 BOD는 토지계 배출부하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축산계 배출부하량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T-N과 T-P는 축산계 배출부하량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오염원의 정량적인 발생원 규명을 위해서는 오염원 그룹이 포함되어있는 지역에 대하여 장기적인 실측 모니터링을 통해 얻은 오염부하를 산정하여 비교?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Pk(Probability of Kill) Calculation Method of the Direct Fire Weapon System using Simulation (시뮬레이션 기반 직사화기 무기체계의 살상확률 산정 방법에 관한 연구)

  • Choi, Yun Ho;Lee, Ki Teak;Pyun, Jai Jeong;Jang, Young Che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26 no.3
    • /
    • pp.115-123
    • /
    • 2017
  • Dispite the fact that our military has outwardly made notable accomplishments such as the development of weapon systems like tanks, self-propelled artillery, and missiles, there has been a lack of attention to producing weapon effectiveness data that suggests a standard as to what effects the developed weapons will demonstrate on the battlefield. For such reasons, most of the weapon effectiveness data utilizes JMEM data introduced by the United States and as for the rest of the data that cannot be acquired, respective branches create and utilize their own data through research.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reliable methodology that can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requesting branches in a short span of time and at a low cost by studying the existing weapon effectiveness data production methodologies such as that of JMEM. As a result I have developed a method that calculates the vulnerable area and the probability of kill of the weapon system that one wants to calculate by applying statistical technique and simulation technique based on weapon effectiveness data of similar weapon systems in JMEM and live test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