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어 듣기 능력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8초

발음과 듣기 융합 활동이 영어 듣기 능력과 학습 흥미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vergence for Pronunciation and Listening Activities on Listening Ability and Learning Interests)

  • 신명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71-75
    • /
    • 2016
  • 현 한국의 영어 듣기 학습은 자연적 노출 환경에서 보다는 조용한 인위적 환경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 주위의 다양한 소음이 들어가거나 초분절적 요소가 가미된 자연적 발화 환경에서의 듣기 능력은 현저히 미흡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적 노출 환경으로서 영어 광고를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발음과 듣기의 융합 활동을 중심으로 영어 듣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A 대학교 교양 영어 수강자 40명을 대상으로 영어 듣기 능력 평가를 위해 토익 Listening Comprehension 테스트를 사전과 사후 비교 분석하였고 흥미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전 사후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흥미도 테스트를 위한 설문 24 문항은 박선희(2003)의 설문 내용을 토대로 하여 연구자가 본 연구에 맞도록 재구성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영어 광고를 통해 자연스럽게 발음하고 들을 수 있는 융합 활동으로 영어 학습에 흥미를 통한 동기유발로 토익 듣기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국내 대학생의 영어 듣기 및 읽기 능력 향상을 위한 챗봇 활용 연구 (A Study on Chatbots for Developing Korean College Students' English Listening and Reading Skills)

  • 김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8호
    • /
    • pp.19-26
    • /
    • 2018
  • 본 연구는 챗봇의 활용이 국내 대학생의 영어 듣기 및 읽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 실험 참가자의 영어 듣기 및 읽기 능력이 챗봇과의 채팅을 통해 실제로 상승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총 46명의 참가자를 실험그룹과 통제그룹으로 나누어 16주 동안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시작 전과 실험 종료 후 사전 사후 평가를 실시하여 챗봇 활용의 효과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사전 사후 평가 결과 실험그룹과 통제그룹 모두에서 영어 듣기 및 읽기 능력이 유의미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어 듣기능력과 관련하여 실험그룹이 통제그룹보다 사후 평가에서 더 많은 상승폭을 보임으로써 듣기 능력 향상에 대한 챗봇 활용의 효과를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따라 영어 학습을 위한 챗봇 활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작업 기억 용량과 영어 어휘 수준 및 듣기 능력 관계 연구 (A Relationship Between Korean EFL Learners' Working Memory Capacity, English Vocabulary Size, and Listening Competence)

  • 이고은;최선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365-37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EFL 학습자의 작업 기억과 영어 어휘 및 듣기 능력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한국의 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30명의 영어 교육 전공자들이 본 연구에 참여했다. 참가자의 작업 용량을 측정하기 위해 거꾸로 숫자 폭 과업과 작업 폭 과업을 사용하였으며, 이들의 영어 어휘 수준 및 듣기 능력은 '듣기 어휘 수준 시험(LVLT)'과 '미시건 영어 시험(MET)'을 각각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대학생 참가자들의 작업 기억 저장 용량은 매우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작업 기억 저장 용량이 클수록 영어 입력 정보를 더 잘 처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동질적인 연구 참가자들의 특성으로 인해 작업 기억 용량, 영어 어휘 수준, 그리고 영어 듣기 능력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교사의 지지가 중국 대학생의 영어 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eacher Support on Chinese EFL University Students' Listening Ability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 양정;김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63-7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교사의 지지가 중국 대학생들의 영어 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중국의 한 대학에서 영어를 전공하고 있는 3학년 학생 총 8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실험을 위해 참가자들을 자율성 지지 그룹, 정서적 지지 그룹, 인지적 지지 그룹, 통제 그룹으로 나누었다. 모든 참가자들은 일주일에 두 시간씩 총 17주 동안 영어 듣기 수업에 참가하였고. 실험 집단에 따라 각기 다른 교사의 지지를 받았다. 교사의 지지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험 전과 후 사전 사후 듣기 시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그룹의 영어 듣기 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교사의 지지가 중국 대학생들의 영어 듣기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 주었다. 그룹 간 차이를 비교해본 결과, 정서적 지지보다 자율성 지지와 인지적 지지가 학생의 듣기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EFL환경에서 교사가 수업 계획과 활동을 구성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학생들의 언어학습전략, 언어학습믿음과 영어듣기성취 이해 (Understanding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Language Learning Beliefs, and English Listening Achievement of Korean Undergraduate Students)

  • 조혜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37-45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 러닝으로 듣기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 듣기능력이 향상한 학생과 향상하지 않은 학생들 사이에 언어학습전략 사용과 언어학습믿음에 차이가 있었는지를 알아보고 듣기성취와 언어학습전략, 언어학습믿음 사이에 관계가 있는지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69명의 참여자들은 언어학습전략과 언어학습믿음 설문에 응답하고, 사전 사후 듣기 시험을 보았다. 요인분석으로 추출된 요인을 이용하여 성적이 오른 집단과 오르지 않은 집단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영어 듣기능력이 향상된 학생은 언어학습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고, 언어학습믿음에서 더 높은 동기를 갖고 있었다. 동기에 대한 믿음이 높은 학생들은 인지전략과 초인지전략을 더 많이 사용했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학습믿음과 학습전략 중 영어 듣기능력 향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제공하여 콘텐츠 개발과 교수법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효과적인 영어 듣기 실력 향상을 위한 방안 연구 (A Study on Effective Ways for Improving English Listening Ability)

  • 박창옥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65-172
    • /
    • 2000
  • 그 동안 우리나라의 영어 교육은 듣기와 말하기 같은 실용적 언어 기능보다는 쓰기와 읽기 같은 수동적인 언어기능 위주로 교육이 진행 되어왔다. 이러한 교육 방법은 학생들이 영어 교육을 받은 기간이 비교적 긴 기간에 비추어 볼 때에 상당히 비효율적인 언어구사 능력을 갖추게 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영어 듣기 지도에 관한 효율적인 방안을 연구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영어를 정확히 들을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디지털 융합 영어 듣기 활동을 위한 스마트폰 활용 연구 (A Study on the Usage of Smartphones for English Listening Activity)

  • 최미양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451-459
    • /
    • 2017
  • 언어학습 도구로서 스마트폰은 강의실 밖과 비교했을 때 수업시간에 활용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 듣기의 수업 활동에서 스마트폰의 유용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71명의 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 Practical English Listening and Reading 과목에서 개별적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듣기 활동을 하였다. 학기 말에 학생들은 스마트폰 활동에 관한 10문항의 설문에 응답하였다. 설문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을 이용한 듣기 활동은 학생들의 영어 듣기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였으며 개인별 맞춤 학습으로서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그런데 스마트폰이 지닌 다른 기능들이 학생들의 듣기 활동을 방해한다는 사실이 스마트폰 활용의 가장 큰 단점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듣기 활동을 모두 스마트폰 활동으로 할 것이 아니라 강의실 컴퓨터를 사용한 전체 활동도 병행할 것을 제안한다. 학생들이 원하는 혼합율은 50대 50 이었다. 학생 집단의 수준에 따라 그 혼합율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디지털 융합 영어학습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초등학생의 융합수업이 영어 능력(듣기, 읽기) 향상에 미치는 영향: 과학 애니메이션의 활용 (The Effect of Integrated Instruction for Improving English Ability (Listening & Reading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Science Animation)

  • 박미화;송해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33-140
    • /
    • 2019
  •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궁극적인 목표는 창의융합형 인재육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영어 융합 수업을 통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영어 듣기와 읽기 능력(이하 영어 능력)이 얼마나 향상되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반(27명) 학생들은 영어수업 시작 전 융합수업을 받은 반면 통제반(28명) 학생들은 그 시간에 전 시간에 배운 수업을 복습하였다. 실험 시작 전, 2018년 3월에 C 교육청에서 실시한 초등학교 6학년 진단평가를 통해 동질집단인 것을 확인하였고 10개월의 실험기간 종료 후 2017년 3월 C 교육청에서 실시한 중학교 1학년용 진단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영어능력 향상 여부를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융합수업을 받은 학생들의 영어 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실험 전 후 영어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흥미도와 자신감 측면에서 향상이 있었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 듣기수업에서 받아쓰기에 대한 대학생들의 태도와 인식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dictation practice in English listening classes)

  • 남은희;성명희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3호
    • /
    • pp.231-251
    • /
    • 201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dictation practice in English listening classes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5 factors with regard to dictation practice: participation, usefulness, interest, motivation, and confidence. For the study, the research was implemented for 15 weeks with 41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had dictation practice in their English listening classes on a regular basis for one semester. At the end of the semester, a questionnaire was used to find out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dictation practice. For the analysis of the subject's responses, first, a descriptive analysis was administered. After that, a correlation analysis was done to explore what the relations among 5 factors were. Results indicated that most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class, and they regarded dictation as a very useful practice in their listening classes. Also, the dictation practice motivated students not only for English listening but also for overall English studying. However, more than two third students showed low interest and confidence in the class. As for the correlations among 5 factors, there were very strong correlations between usefulness and motivation, usefulness and confidence, interest and motivation, interest and confidence, and confidence and motivation.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presented and some guidelines for effective dictation practice were suggested.

  • PDF

소집단 협동 전사활동이 대학생의 영어듣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mall group transcription activities on university students' English listening comprehension)

  • 한상호
    • 영어어문교육
    • /
    • 제12권1호
    • /
    • pp.257-286
    • /
    • 2006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small group collaborative transcription activities on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English listening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pre-tests, a class of 42 students was subdivided into 11 small homogeneous groups of three to four students. Each group was provided with 7 different news items to be transcribed. Means were compared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cores, followed by comparison of transcription errors in content and function words. Finally, students' perception and attitudes about the use of small group transcription for improving listening skills were qualitatively analysed and compared with pre- and post test results. It was found that post test scores highly correlated with improvement of listening ability. It was also found that groups of high degree of collaboration showed improvement in listening ability while lack of collaboration contributed to loss of interests in listening. Students who see process more important were found to make more contribution to the group success than those who place more emphasis on the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