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상연기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5초

연기 영상의 정적 및 동적 텍스처를 이용한 강인한 연기 검출 (Reliable Smoke Detection using Static and Dynamic Textures of Smoke Images)

  • 김재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0-18
    • /
    • 2012
  • 감시 카메라를 이용하여 화재 연기를 자동 검출하는 시스템은 신뢰도 높은 연기 영상의 검출 방법을 필요로 한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공기 중에 확산하는 연기의 영상을 연속적으로 획득하였을 때, 연기 영상의 각 장면은 독특한 텍스처(정적 텍스처)를 가지며, 연기의 확산 운동으로 인하여 그 차분 영상 또한 다른 물체와 구별이 되는 독특한 텍스처(동적 텍스처)를 가진다. 특정 객체가 연기와 유사한 정적 텍스처를 가지고 있을 지라도 그 움직임의 특성이 연기 특유의 확산 운동과 다르다면, 그 차분 영상의 텍스처는 연기의 차분 영상 텍스처와 유사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가지 정적 및 동적 텍스처를 이용하여 신뢰도 높은 연기 영상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누적된 장면 차분 영상을 이용하여 변화 영역을 일차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변화 영역의 정적 및 동적 텍스처로부터 추출한 Haralick 특징 벡터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연기로 인한 변화 영역을 검출한다.

Gaussian 혼합모델 기반 조명 변화에 강건한 연기검출 알고리즘 (Gaussian Mixture Model Based Smoke Detection Algorithm Robust to Lights Variations)

  • 박장식;송종관;윤병우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733-739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시간과 기후에 따라 변화하는 영상의 밝기와 색상 변화에도 강건한 연기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연기검출 알고리즘은 입력영상과 배경영상의 차영상을 이용하여 후보영역을 설정하고, 후보영역 차영상의 Gaussian 혼합모델 특징 계수를 비교하여 연기를 판별한다. 시간과 기후에 대응하기 위하여 입력영상의 평균 밝기와 색상을 기준으로 후보영역 설정을 위한 임계값을 4 단계로 구분한다. 후보영역에 대한 차영상의 Gaussian 혼합모델의 밝기 평균값을 기준으로 클러스터를 정렬하고, 클러스터 간의 Gaussian 혼합모델 특징 계수를 비교하여 연기를 판별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미디어전용 DSP로 구현하고 야외에 설치된 카메라의 영상에 대하여 연기검출 실험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연기를 검출할 수 있음 보인다.

영상 속에 나타난 즉흥 연기와 공연 연기에 대한 내면적 서스펜스에 대한 연구 - 영화 "전주에서 길을 묻다"와 홍상수 , 허진호 감독 영화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ernal Suspense of Improvisation and Performance Acting - With the Movie "Ask the Way in Jeonju" Hong Sang-soo, Hur Jin-ho As the Movie Center -)

  • 진승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41-50
    • /
    • 2020
  • 본 연구는 연출자 및 감독에 의해 절제되는 콘티에 의해 분할된 연기에서가 아닌 프레임 속에 즉흥연기를 통해 배우의 감성과 템포 리듬이 분장한 롱샷의 연기와 풀샷 중심의 무대 연기가 내면적 서스펜스나 극 중 어떻게 표현되어 관객에게 전달할지 미적 반응을 분석 연구하고 연기 속에 나타난 서스펜스의 내면적 반응을 분석하여 극을 효과적으로 표현함에 도움 될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기의 유형과 형식 그리고 매체는 앞으로도 더 다양해질 것이다. 그러나 다행히도 다매체시대에서 변하지 말아야 할 인간의 정신적 소양, 살아가는 동안 지켜야 할 정신들이 내면 깊이 숨어 있는 그 무엇인가의 희망이 아닌가 싶다. 본 연구는 연기가 가식이든 진실이든 그 형식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인간의 문화 정신세계의 풍요로움을 전달하는 전도사가 되는 것이라 하겠다. 향후 배우들의 만족 패턴과 연기 프로그램을 조사·연구하여 패러다임을 구축하고 연기의 효과적인 발전 방안을 분석, 연구, 돌출하고 그 방안을 토대로 연기의 근본적인 발전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PCA를 이용한 연기 영상의 가시도 측정 (Measurement of the Visibility of the Smoke Images using PCA)

  • 유영중;문상호;박성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1474-1480
    • /
    • 2018
  • 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복잡한 구조로 인해 다양한 대피 통로가 존재하며 각 대피 통로의 안전성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고층 빌딩 화재 시 거주자들에게 신속히 탈출 경로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대피 통로의 안정성 여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피 통로의 안정성 여부 파악을 위해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로 인한 대피 통로의 가시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입력 영상에서 연기를 검출한 후 검출된 연기의 밀도를 알 수 있다면 가시도를 쉽게 측정할 수 있지만, 연기 검출이나 연기 밀도 측정에 관한 적절한 방법이 없어 이러한 접근법을 사용하기는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 영상에서 배경 영상을 추출하고 이를 학습 데이터로 하여 주성분 분석 학습을 한다. 이후 입력으로 주어지는 영상에서 배경 영상과 연기 영상을 추출하고 학습된 주성분 분석을 적용하여 새로운 특징 공간으로 사상한 후 변화량을 계산하여 연기로 인한 가시도를 측정한다.

카메라 연기 훈련 방법 연구 (Camera Acting Method)

  • 박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70-79
    • /
    • 2013
  • 영상 언어는 크게 쇼트의 앵글과 사이즈 그리고 카메라의 움직임 등에 따라 구분된다. 이러한 영상 언어는 카메라 연기를 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숙지해야할 사항이다. 카메라 연기에서의 가장 큰 특징은 카메라와 함께 한다는 것에 있음으로 카메라와 배우의 관계는 상호 소통을 기본으로 하며, 서로를 잘 알아야 하는 숙명적인 관계이다. 카메라 연기를 위해서 다양한 영상언어를 이해한다면 배우가 빠르게 매체에 적응되어 연기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연기는 연기가 행해지는 미디어나 환경에 따라 변화한다. 배우는 좋은 연기를 위해서 연기하는 공간이나 미디어의 특성에 따라 자신의 연기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카메라 연기는 매체적 특성이나 연기적 측면에서도 무대연기와는 분명한 차별성을 갖고 있다. 즉흥성의 발현과 배우의 개성을 최대한 발견해 내며, 배우 자신은 카메라 연기에 있어서 감독과 더불어 공동으로 창조 작업을 진행하며 카메라 연기의 발전을 이룰 수 있다.

블록기반 차영상과 투영 그래프를 이용한 연기검출 (Smoke Detection using Block-based Difference Images and Projections)

  • 김동근;김원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4B권5호
    • /
    • pp.361-368
    • /
    • 2007
  • 본 논문은 비디오 영상에서 블록기반 차영상을 이용한 연기검출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은 배경으로부터 변경된 영역 검출 단계, 배경영상 갱신단계, 검출된 영역이 연기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의 세 단계로 구성된다. 입력 비디오에서 각 프레임의 블록 평균영상을 계산하였으며, 변화영역을 검출하기 위하여 배경영상의 블록평균영상과 입력영상의 블록평균영상의 차이를 사용한다. 블록기반 차영상을 투영하여 변화된 사각영역을 검출한다. 차영상의 투영을 이용한 배경블록평균영상의 갱신방법을 제안한다. 변화영역의 중심위치 및 YUV 색상의 시간적 특징을 이용하여 연기영역을 판단한다.

영역 확장법을 이용한 연기검출 (Smoke Detection using Region Growing Method)

  • 김동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6B권4호
    • /
    • pp.271-28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옥외 비디오 영상에서 영역 확장법을 이용한 연기 영역검출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은 차영상에 의한 초기 변화영역 검출 단계, 경계선 검출 및 확장 단계, 특징 검출 및 연기분류의 3단계로 구성된다. 초기 변화영역 검출 단계에서는 배경영상으로 차영상을 계산하고, 초기 임계치를 이용하여 이진영상을 구하고, 잡음 제거를 위하여 모폴로지 연산을 수행한다. 경계선 검출 및 확장 단계는 레이블링 알고리즘에 의해 이진영상에서 변화영역을 검출하고, 각 변화영역의 경계선을 검출한 다음, 차영상과 경계선을 이용하여 확장된 경계선을 계산한다. 특징 검출 및 연기분류 단계에서는 확장된 경계선에 모멘트를 이용하여 타원을 추정하고 타원의 시간에 따른 특징정보를 이용하여 연기 영역을 분류한다.

화재 영상감시를 위한 표준 색상모델의 연기색상 분석 (Smoke color analysis of the standard color models for fire video surveillance)

  • 이용훈;김원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4472-4477
    • /
    • 2013
  • 본 논문은 기존 논문들에서 사용되었던 다양한 색상모델의 연기색상을 비교분석하여, 화재 영상감시 시스템의 연기 검출에 최적인 컬러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컬러영상의 연기색상 분석에 대하여 기술한다. 각 표준 색상 모델에서의 연기색상과 비연기 색상간의 분리도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히스토그램 교차 분석 기법을 사용하였다. 표준색상모델로는 RGB, YCbCr, CIE-Lab, HSV 컬러모델을 사용하였으며, 계산된 히스토그램 교차(Histogram Intersection)값이 작으면 연기와 비연기 영역분할 특성이 우수한 컬러모델이며 큰 값을 가지는 컬러모델에서는 연기분할 특성이 좋지 않다. 4개의 표준 컬러모델을 분석한 결과, RGB 색상모델과 HSV 색상모델이 각각 평균 히스토그램 교차 값이 0.14, 0.156 으로서 연기와 비연기 색상 분리도가 매우 우수하여 컬러영상의 색상기반 연기검출에 가장 최적이며 실용적인 컬러모델로 확인되었다.

화재 조기 인식을 위한 화염 및 연기 검출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Flame and Smoke Detection for Early Fire Recognition)

  • 박장식;김대경;최수영;이영성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27-3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화재의 조기 감지를 위하여 카메라 입력영상으로부터 화염과 연기를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화염과 연기는 특정 색분포를 가지며 지속적으로 형태가 변화하며 움직인다. 제안하는 화염검출 알고리즘은 화염의 색분포와 영상 프레임간의 변화를 측정하여 후보영역을 설정하고 화염의 움직임벡터를 계산하여 화염을 확정한다. 연기에 의하여 영상의 고주파수 성분이 감소하기 때문에 경계값의 변화는 연기의 중요한 특징이다. 연기검출은 색분포, 영상 프레임간의 변화 그리고 경계를 이용하여 후보영역을 설정하고 움직임 벡터를 계산하여 결정한다.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하는 알고리즘으로 화염과 연기를 검출할 수 있음을 보인다.

동적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한 동영상 기반의 화재연기감지 (Fire-Smoke Detection Based on Video using Dynamic Bayesian Networks)

  • 이인규;고병철;남재열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4C호
    • /
    • pp.388-396
    • /
    • 2009
  • 본 연구는 CCD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분석하여 특징값을 추출하고, 패턴인식기술을 이용하여 화재연기영상을 감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선 CCD카메라로부터 획득된 영상들간의 차영상을 이용하여 움직임 영역만을 검출하고, 이후 연기색상모델을 적용하여 후보영역을 생성한다. 연기영역은 유사색상의 군집화를 이루고, 주변에 비해 단순한 질감을 가지며, 시간에 따른 모션정보의 상승 방향성을 가지는 특징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연기영역의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학습영상으로부터 연기의 밝기, 웨이블릿 고주파 성분, 모션 벡터 등의 특징 값을 추출하고 이들 특징 값들에 대해 가우시안 확률 모델을 생성한다. 이렇게 추출된 확률모델은 연기영역의 시간적 연속성을 고려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새롭게 구성한 동적 베이지안 네트워크의 관찰노드에 적용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산불을 비롯한 다양한 연기를 감지하였으며, 기존의 알고리즘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