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산강 수계

Search Result 123,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DEHA, Carbaryl, and Amitrole in the Fishes and Amphibians from the Major River Systems of Korea (우리나라 주요 수계에 서식하는 어류 및 양서류 체내에 함유된 DEHA, Carbaryl, Amitrole의 분포특성)

  • Joo, Yeo Jeong;Kim, Hye Sook;Kim, Young Bok;Moon, Ji Yong;Jeong, Gi Ho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15 no.2
    • /
    • pp.149-156
    • /
    • 2002
  • In this study, the levels of DEHA, carbaryl, and amitrole contained in the fresh water fishes and amphibians were determined. The 31 sampling sites were selected including 29 sites along the several rivers and 2 sites from the well-known wet lands. The rivers consists of the Han, Nakdong, Kum, Youngsan, and other small scaled rivers. DEHA was detected from 10 sites, but carbaryl and amitrole were not detected at any sites. The highest average concentration of DEHA was determined from the Kum River by $52.7{\mu}g/kg$. In the detected 10 site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DEHA from fishes was $40.0{\mu}g/kg$, and that from amphibians was $8.90{\mu}g/kg$ which indicates that 5 times more DEHA was observed from fishes than amphibians. The detection frequency from fishes was 10/62 while that from amphibians was 2/62, and the highest concentration from fishes was $95.5{\mu}g/kg$ (crucians from Kongjoo) and that from amphibians was $12.1{\mu}g/kg$ (bullfrog from Najoo). Among the 10 detected sites, 6 sites were agricultural area and the other 4 sites were semi-urban area.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Impact on the Korean Peninsula using Measured Runoff Data (실측 유량을 이용한 한반도 기후변화 영향 평가)

  • Minkuk Kim;Engyu Wang;Chanwoo Kim;Seungkyeom Kim;Dongsuk Gwon;Seokgeun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54-354
    • /
    • 2023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전 지구적인 기후 특성이 변화하고 있으며, 기후 특성의 변화는 수문순환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IPCC (Intergor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6차 기후변화 평가 보고서(2022)에 의하면 AR5 (Assessment Report 5)와 비교해 AR6 (Assessment Report 6)에서는 높은 신뢰도로 기후변화 영향의 범위 및 규모는 보다 확대되었으며, 단기적인 리스크로 극한기후 현상의 빈도와 강도 및 기간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중장기적인 리스크로 하천 유량의 규모와 관련한 극한 현상의 변화에 따라 수자원 관리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하였다. 위와 같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에서는 기후변화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국내 기후변화 관련 연구로는 ArcSWAT 모형을 활용한 RCP4.5, RCP8.5 시나리오 기반 미래 유출량 추정에 관한 연구와, SWAT, IHACRES, GR4J 모형을 이용한 용담댐 유역의 미래기간 유출량 변화 모의, SWAT과 VIC 모형을 활용한 미래 저유량 예측 시 관측 자료와 비교해 모형이 가지는 불확실성 평가 등 기후변화 영향을 평가 및 예측하기 위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하지만, 최근 연구의 주요 동향은 유출 모형을 활용한 미래 유출량 모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관측 자료를 통한 기후변화 평가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5대 수계(한강, 금강, 낙동강, 영산강, 섬진강) 유량 관측소의 실측 유량을 활용해 과거기간의 기후변화에 따른 유출특성의 변화와, 미래기후변화 시나리오 자료를 활용한 미래기간 유출특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인자로 연 유출량, 1일 최대 유출량, 상위 90%에 해당하는 유출량, 하위 10%에 해당하는 유출량 등을 연도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도별 총 유출량의 큰 변화는 없지만, 홍수 기간의 첨두유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갈수 기간 또한 빈도와 규모가 증가하는 양극화 현상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Trace of Water Quality Pollutants in the Industrial Wastewater (업종별 산업폐수의 수질오염물질 배출 특성)

  • Park, Sun Ku;Kim, Sung Soo;Ko, Oh Suk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12 no.2
    • /
    • pp.141-150
    • /
    • 1999
  • Twenty organic chemical substances, tetrachloroethylene, toluene, ethylbenzene, p-xylene, m-xylene, isopropyl benzene, stylene, bromobenzene, 1,3,5-trimethylbenzene, 2-chlorotoluene 1,2,4-trimethylbenzene, p-isopropyltoluene, 4-chlorotoluene, n-butylbenzene, 1,2,4-trichlorobenzene, naphthalene, tert-butylbenzene, sec-butylbenzene, phenol, isopropyl benzene hydroperoxide were isolated from untreated and treated wastewater collected at 76 companys of 9 types industry in the basin of Young San River. Their organic compounds were elucidat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d by comparison with each standard reagents. Especially, phenol compound is detected from effluent water but not detected from plant wastewater in the chemical industry. Heavy metal, which are Cr, Mn, Cu, Zn, Cd, Pb, As, Al and Fe, are contained in the plant wastewater of all industry, Fe, Al of them is more detected than the other metals in plant wastewater. Cr, Cd, Pb, As is contained much in plant wastewater of electricity and electron, metal molding industry. Nine metals is nearely treated when plant wastewater is treated, and then the concentration of each other metals is detected below water quality standard or not detected by using AA.

  • PDF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and decomposition of organic matters in stream water and sewage effluent (하천수와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유기물 분포 및 분해 특성)

  • Seo, Hee-Jeong;Kang, Yeoung-Ju;Min, Kyoung-Woo;Lee, Kyoung-Seog;Seo, Gwang-Yeob;Kim, Seung-Ho;Paik, Kye-Jin;Kim, Seong-Jun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3 no.1
    • /
    • pp.36-44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and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 in stream water and sewage effluent located in Gwangju. Average of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to total organic carbon (TOC) ratio was approximately 73.9% in the Youngsan river system. The concentration of refractory dossolved carbon (RDOC) was 3.7 mg/L corresponding to 80.9% of the DOC. The ratio of recalcitrant organic carbon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biodegradable organic carbon in stream. Oxidation efficiencies in the stream were 45.0% for BOD, 63.0% for $COD_{Mn}$ and 106.5% for CODcr. In case of sewage effluent was 33.6%, 65.7% and 136.1% respectively. Mean decomposition rate ($K_d$) of Youngsan river mainstream, its tributary sites and sewage effluent were about $0.042\;day^{-1}$, $0.043\;day^{-1}$ and $0.028\;day^{-1}$, respectively and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between the mainstream and its tributary sites (t-test, p>0.05). $K_d$ of the sewage effluent was lower than that of stream water.

Evaluation of Pollutant Characteristics in Yeongsan River Using Multivariate Analysis (영산강 수계 오염특성 파악을 위한 다변량 통계분석법의 적용)

  • Jung, Soojung;Lee, Dongjin;Hwang, Kyungsup;Lee, Kyounghee;Choi, Kyoungchuk;Im, Sangsun;Lee, Yunhee;Lee, Jaeyoung;Lim, Byoungji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5 no.4
    • /
    • pp.368-377
    • /
    • 2012
  • This study evaluated the water quality of Yeongsan River by multivariate analysis using the data collected during 2001~2010. Water quality in Yeongsan River could be explained up to 75.2% by four factors, which were included in loading of nutrients (32.021%) and organic matters (17.453%), seasonal variation (14.775%) and microbes (10.951%).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y factor 1 and 2, which has different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Group 1 included sampling stations located in the upper stream and estuary dyke of Yeongsan River, group 2 included Gwangju 1 and Gwangsan affected by domestic sewage of Gwangju-cheon, and group 3 included sampling stations located in the midstream around the livestock farm and farmland.

Size-structure and Primary Productivity of Phytoplankton from Major Lakes in Sumjin and Yeongsan Watershed (섬진강.영산강 수계 주요 호소의 식물플랑크톤 크기구조 및 일차생산력)

  • Yi, Hyang-Hwa;Shin, Yong-Sik;Yang, Sung-Ryull;Chang, Nam-Ik;Kim, Dong-Ho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0 no.3
    • /
    • pp.419-430
    • /
    • 2007
  • Physiochemical factors, phytoplankton biomass (Chl ${\alpha}$) and primary productivity were investigated seasonally in the three lakes of Dongbok, Juam, and Yeongsan during April 2004${\sim}$March 2006. Microphytoplankton dominated (>60%) in Dongbok lake, and phytoplankton biomass was high in the upper area, especially during April 2004, whereas they were high in the lower area during June 2004. In Juam lake, the high phytoplankton biomass in April 2004 was contributed by nanophytoplankton. In Yeongsan lake, chlorophyll a was high in August with high contribution of nanophytoplankton. Primary production was highest in Dongbok lake, and then followed by Yeongsan and Juam lakes. Regression analysis in Dongbok take showed that Chl ${\alpha}$ and primary production had close relations with secchi depth. In Juam lake, phosphate were correlated with the Chl ${\alpha}$, while temperature and TN was correlated with primary production in the lower area. In Yeongsan lake, Chl ${\alpha}$ have positively correlation with TN/TP. Primary production in the upper have high relationship with secchi depth, however, in the lower have high relationship with turbidity.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nutrients of nitrogen and phosphorus should be reduced for the protections in Juam and Dongbok lakes. We suggested that suspended solids and phytoplankton growth related to turbidity are needed to manage in Yeongsan lake.

Parameter Determination of Rainfall Runoff Model by Storage Function Model (저유함수법에 의한 강우-유출모형의 변수추정)

  • 남궁달
    • Water for future
    • /
    • v.18 no.2
    • /
    • pp.175-185
    • /
    • 1985
  • This paper discusses the posibility of synthesizing flood hudrographs by the stroage function model. Eight small watersheds from Han, Gum, Nakdong, Youngsan river system were selected for this purpose. The optimum constants are computed from the chi square criterion by the SDFP methods Based on these constants, equations for the storage constant and Lag time are derived from the kinematic wave theory and storage function theory. These relations are examined by using optimum constants of the storage function model and assumptive constant of the kinematic wave model. Main results are sumarized as follows. 1. Constants of the storage function model are closely related to those of the kinematic wave model. The formula obtained theoretically is difficult to use practically because of the unclaified definition of factors. 2. In order to estimate constants of the storage function model for the practical purpose, new equations are also proposed for mountaneous area. 3. The verification of proposed equation is made for several recorded floods for mountaeous areas.

  • PDF

A case analysis on the change of stage-discharge relationship by control factors - based on actual survey data - (통제요인에 따른 수위-유량관계 변화에 대한 사례분석 - 실측자료를 기반으로 -)

  • Shim, Eun-Jeung;Park, Hyun-Gun;Lee, Jae-Hyug;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42-342
    • /
    • 2012
  • 이론적으로 하천의 흐름은 시간과 위치에 따라 수위와 유량의 관계가 일대일로 대응한다는 가정을 두지만, 실제 하천은 여러 가지 통제요인에 의해 다양하게 변화한다. 특히 하천 상 하류 일부구간에서 인공적인 골재채취나 준설작업과 같은 하도공사가 이루어진다면 하천의 흐름은 일시적인 수위변화가 아닌 단면의 변화 나아가 수위에 따른 유량의 증가 및 감소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모래하상이나 식생의 영향을 받는 하천의 경우에도 빈번한 단면 및 유속의 변화를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유량조사사업단에서 측정이 이루어진 4개 수계 577개 지점을 대상지점으로 선정하고, 이들 중 2개년 이상 측정이 이루어져 단면변화 및 지점의 수리특성 여부를 비교할 수 있는 한강 55개, 낙동강 49개, 금강 43개, 영산강 55개 지점의 수위-유량관계 변화여부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경년변화 없이 일정한 수위-유량관계를 보이거나 보와 같은 단면 통제에 의해 단순한 기간분리가 발생되는 지점, 4대강 공사가 진행 중인 지점, 미미한 단면변화에 의해 저수위의 수위-유량관계가 변화된 지점들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고, 중수위 이상에서 수위와 유량의 관계가 변화하는 지점들을 찾아 그 원인을 파악하고 사례를 분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검토 결과 중수위 이상에서 수위-유량관계가 변화되는 요인으로 크게 상류와 하류에서 하천준설을 실시하여 수위에 따른 에너지선의 증가 및 감소를 일으킨 경우와, 제방공사에 의해 고수위가 변화가 발생되었거나 그 해에 배수영향을 받았는지 여부 또는 하도에 자생하는 식생의 영향 그리고 모래 및 자갈하천에서 발생되는 큰 단면변화 등으로 나타났다.

  • PDF

Estimation of irrigation return flow in agricultural reservoirs using EPA-SWMM (EPA-SWMM 모델을 활용한 관개회귀수량 추정)

  • Ji-Hyeon Shin;Won-Ho Nam;Dong-Hyun Yoon;In-Kyun Jung;Kwang-Ya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0-50
    • /
    • 2023
  • 농업용수는 우리나라 수자원 사용량 중 약 61%를 차지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를 위한 핵심적인 관리목표 중 하나이다. 논으로 공급되는 관개용수는 필지에서의 증발산량 및 침투량과 용배수로를 통한 자연적 및 인위적인 배수량으로 소비된다. 관개회귀수량 (irrigation return flow)은 관개를 통해 농경지에 공급된 수량 중 증발산에 의해 소비되지 않고 침투 또는 배수 등을 통해 하천으로 회귀되는 수량이다. 관개회귀수량 및 회귀율은 농업용수 물순환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관개용수 사용량 결정, 합리적인 용수의 공급과 수요 관리계획 및 수질 관리계획 등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하지만, 기상, 작물, 토양 등의 물리적 요소와 농업용수 공급량, 물꼬 조절, 담수심 관리 방식 등 인위적 요소의 영향을 동시에 받기 때문에 그 기작이 복잡한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합리적인 수자원 개발 계획 및 관리를 위해 정확한 관개회귀수량 추정 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 4대강 (한강, 금강, 낙동강, 영산강·섬진강) 권역 중심의 9개 대상지구를 선정하였으며, EPA-SWMM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Storm Water Management Model) 모델 기반 수로 네트워크 모의를 활용한 수원공 단위 관개회귀수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EPA-SWMM 모의 시 공급량은 농업기반시설관리시스템 (Rural Infrastructure Management System, RIMS) 저수율 자료와 수원공 단위용수량을 활용하였으며, 모의결과 시점부 공급량 및 배수량과 강수량, 증발산량 및 침투량을 활용하여 신속회귀수량과 지연회귀수량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최적 농업용수 공급방안에 대한 기초자료 구축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Green LiDAR Using Automatic River Water Quality Data (하천 수질자동측정 자료를 활용한 Green LiDAR 적용성 검토)

  • Kim, Chang Sung;Kim, Tae-Jeong;Kim, Ji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32-232
    • /
    • 2020
  • 하천기본계획 수립이나 생태하천 조성사업 등 다양한 하천사업에서 하천측량은 대상 하천의 지형 현황과 과거 사업이후의 변화량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국내 측량 기준인 공공측량작업규정(국토지리정보원)에서 하천 측량은 육지부에서는 횡단측량을 수부에서는 수심측량을 실시하고 수심측량은 음향측심기 사용을 원칙으로 한다. 국내 대부분의 수심측량은 단빔 음향측심기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일부 수심 확보 구간 또는 연구목적으로 멀티빔 음향측심기를 적용한 사례가 일부 보고된 바가 있다. 최근 수심측정이 가능한 항공수심측량(Airbone LiDAR Bathymetry) 장비 중 핵심계측기기인 Green LiDAR 센서 국산화 및 경량화에 관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하천 여건에서 개발 센서가 어느 정도의 활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우선 환경부가 운영중인 수질자동측정망 71개 지점의 정기측정성과 중 탁도에 관한 일자료를 확보가 가능한 45개 지점을 대상으로 G-LiDAR 센서의 SD(Secchi Depth)를 기준으로 가용계측일을 산정해 보았다. 분석기간은 '12. 7.부터 '19.12.까지이며 분석기간중 SD 1.5m(1.94 NTU 추정) 기준을 만족하는 기간은 한강 2.07년, 낙동강 0.64년, 금강 2.21년, 영산강 2.71년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점별 가용기간 분석결과 분석기간인 7.33년 동안 탁도 기준이하인 운영 가능 기간은 연중 평균 80여일(2.74개월)로 나타나 제한적이나마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현장조사를 통해 공공측량 성과와 대상수계의 탁도 실측자료와의 연계분석을 통해 정확한 활용성 검토를 수행할 예정이다. 향후 적용 센서의 개발 성능목표를 달성한다면 하천내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