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농소각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griculturist Opinion Analysis of Forest Fire by Farming Activities (영농 소각 활동에 대한 영농인의 의식 분석)

  • Park, Houng-Sek;Lee, Byung-Doo;Lee, Si-Young;Lee, Myung-Bo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72-72
    • /
    • 2010
  • 영농소각은 한국에서 산불의 주요원인이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영농소각행위에 대한 당사자들의 의식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영농소각의 시기, 소각장소, 소각물질 등에 대한 의식을 구명하였다. 조사결과, 전국적으로 종사자들은 영농활동이 시작되는 3월과 4월 흐린 날 오후 산림연접 100m 이상의 지역의 논, 밭두렁에서 잡초제거를 위해 영농소각을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이러한 영농소각의 산불 확산 방지를 위해 관리 위주의 정책으로 전환을 통해, 소각허가제, 마을 별 공동소각과 같은 정책을 통해 현재의 영농인 요구에 부응하면서, 정책의 홍보와 신기술의 교육 강화, 친환경적인 쓰레기 처리 방법의 보급을 통해 장기적으로 영농소각을 대치시키는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analysis of difference in forest fire prevention system between agriculturist and public service personnel (영농소각으로 인한 산불에 대한 영농 종사자와 공무원간의 인식 차이 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Houng-Sek;Lee, Si-Young;Lee, Byung-Doo;Koo, Ky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472-480
    • /
    • 2010
  • 작은 국토 면적에 비해 잦은 산불피해가 발생하는 우리나라에서 영농활동을 위한 소각은 산불의 중요한 원인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발화원인자인 영농인들의 의식조사와 관리주체인 산불관련 담당공무원의 의식조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영농으로 인한 소각행위가 빈번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영농소각으로 인한 산불 금지와 관련된 제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소각 금지법에 대해 영농종사자들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공무원들도 산불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보아 소각 금지법은 산불예방을 위해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농종사자와 공무원 모두 공동소각이 산불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답변하였으며, 이에 대한 활성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소각 금지 거리 100m에 대한 적정성은 영농종사자와 공무원 집단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각신청 허가서의 산불예방효과에 대해서도 양 집단 모두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농폐기물 소각 근절을 위해 영농종사자들은 '기간 내의 신고에 의한 합법적인 소각'을 가장 필요한 대책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 PDF

Questionnaire Concerning the Actual State of the Burning for Farming and Recognition of Forest Fire Prevention Policy (영농인들의 영농소각 실태 및 산불예방정책에 대한 의식조사 연구)

  • Koo, Kyo-Sang;Lee, Si-Young;Lee, Byung-Doo;Lee, Myung-Bo;Park, Houng-Sek;Kim, Jeong-Hun;Park, Geon-You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4 no.2
    • /
    • pp.145-153
    • /
    • 2010
  • Korea was experienced more forest fire occurrence compared to an area. As a forest fire occurrence from man caused burning for a farming increased and was one of the main reasons of forest fire occurrence in Korea, agriculturist-was a main reason of forest fire occurrence-opinion analysis was needed for forest fire prevention from this reason. Therefore, we asked agriculturist who live in province frequently experienced a forest fire from the burning for farming to answer questions. In result, a half of the respondents have a burning experience for farming and the main reason of the burning was the clearance around farmlands. In result of survey about recognition rate of forest fire prevention policy (forest fire season, incineration inhibition within 100 m from forest, license system for burning, joint burning system by a rural community, imposing a fine for burning) was almost high except license system for the burning, In the result about analysis according to ages and provinces, the recognition rate was high in province experienced severe forest fire damage and low in below 40 years group. So, the direction of forest fire prevention policy would need to be mediated in the view of agriculturist who need to use a fire because of farming labor shortage and higher age. And a consolidated education of forest fire prevention would be needed to agriculturist who live in province experienced rarely forest fire and in below 40 years group.

Forest Fire Ignition Patterns Caused by Farming Activities (영농활동으로 인한 산불발생 특성)

  • Koo, Kyo-Sang;Lee, Byung-Doo;Lee, Myung-Bo;Lee, Si-Young;Kim, Jeong-Hun;Park, Houng-Sek;ParK, Geon-You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4 no.1
    • /
    • pp.103-110
    • /
    • 2010
  • Farming activity was the second cause of forest fire following the carelessness. In this study, 74 forest fires caused by farming activity and waste burning in 2009 was investigated for analyzing ignition patterns. The main cause to bring about forest fire was the farming waste burning as 25 cases, burning of farming waste matter after product and household waste burning were the second causes as 19 cases. Landcovers which transfer flame from ignition point to forest were fallow field graveyard, field fruit farm, field levee fallow field.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ignition point and forest sleeve was 19 m, and the maximum distance was 130 m. The probability of forest fire ignition was high in the 100 m buffer zone from the forest sleeve that is the prohibition rule of fire use for forest fire prevention at the forest fire season.

Outcomes from an education program operation to manage agricultural NPS pollution at a typical rural village (농촌마을 주민의 농업 비점오염원 관리 역량강화 교육의 효과)

  • Jang, Jeong 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59-59
    • /
    • 2018
  • 최근 수질오염원 중에서 비점오염원의 영향 높아지고 있다. 특히, 농경활동에서 유래되는 비점오염원이 공공수역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고 있다.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비점오염원은 관리대상 면적이 넓어 비점오염 배출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사전예방적 차원에서 접근이 필요하다. 하지만, 비점오염원에 대한 농업인과 주민들의 인식 부족으로 인하여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근래에 농업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노력으로 물리적 기술적 접근만이 아니라 사회 문화적 접근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업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사회문화적인 접근 방법으로서 전형적인 한국의 농촌 마을에서 농업 비점오염원에 대한 인지도 향상과 자발적 저감활동 실천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개발된 역량강화 교육프로그램이 교육 대상자인 농업인, 주민, 마을지도자의 인식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역량강화 프로그램은 농업인과 지역주민, 마을리더의 인문사회적 특성을 고려하여 공통과정과 맞춤형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농업인은 농업비점오염 저감에 적용할 수 있는 시비관리와 배수 물고관리, 영농폐기물 관리, 친환경농업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마을주민은 고령화된 여성의 비율이 높은 것을 고려하여 분리수거, 쓰레기 문단투기 및 소각, 마을 미래상과 환경실천에 대해서 교육하였다. 마을리더에게는 공동체 활성화 리더쉽, 주체적 주민참여, 갈등관리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공통적으로는 비점오염원과 농업 비점오염원의 정의와 유형, 마을환경관리 실천활동, 친환경농업 선진지 견학으로 구성하였다. 교육프로그램은 2년 동안 진행되었으며 마을별로 방문하여 진행하였다. 농촌 마을에서 농업비점오염원 역량강화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 전의 소극적 참여의사에서 적극적인 활동 참여로 발전하였으며, 비점오염원에 대한 인식 및 관리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었다. 농업 비점오염원 보다는 일반적인 비점오염에 대한 인지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농촌지역에서 농업비점에 대한 인식 변화가 저감활동 실천으로까지 이루어지는 가시적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장기간이 소요됨을 시사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Gaseous Pollutant Emission Factor by Incineration of Barley & Wheat among Agricultural Residues (영농부산물 소각에서 발생하는 가스상 오염물질의 배출계수 개발 -맥류를 중심으로-)

  • Min-Wook Kim;Joon-Young Roh;Ji-Yun Woo;Dong-Eun Lee;Hong-Sung Chang;Seung-Jin Kim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 /
    • v.42 no.4
    • /
    • pp.444-449
    • /
    • 2023
  • The current study involved the calculation of air pollutant emission factors (EFs) generated from the incineration of agricultural residues. The process included sample collection, weight measurement, moisture measurement, incineration system configuration, and concentration measurement. The average CO emission factor of gaseous air pollutants from the incineration of barley and wheat agricultural residues was calculated as 0.08289 kg/kg and 0.06665 kg/kg, respectively, whereas the average NOX emission factor for barley and wheat agricultural residues was determined to be 0.00518 kg/kg and 0.00185 kg/kg, respectively. In the existing air pollutant emission calculation manual, the EF is presented only for barley. Therefore, in this study, we have introduced the EF for wheat, previously absent in the calculation manual. Additionally, the air pollutant calculation manual presents the EF of air pollutants as one value, but in this study, EF values corresponding to 2.5% and 97.5% were 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distribution of experimental values as shown in EMEP/EEA data.

Evalu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in Cropland Sector on Local Government Levels based on 2006 IPCC Guideline (2006 IPCC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지자체별 경종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

  • Jeong, Hyun-Cheol;Kim, Gun-Yeob;Lee, Seul-Bi;Lee, Jong-Sik;Lee, Jung-Hwan;So, Kyu-Ho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5 no.5
    • /
    • pp.842-847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greenhouse gas emissions on local government levels from 1990 to 2010 using 2006 IPCC guideline methodology. To calculate greenhouse gas emissions based on the 16 local governments, emission factor and scaling factor were used with default value and activity data came from the food,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ies statistical yearbook of MIFAFF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The total emissions in crop sector gradually decreased from 1990 to 2010 due to a decline in agricultural land and nitrogen fertilizer usage. The annual average emission of greenhouse gas was the highest in Jeonnam (JN) with 1,698 Gg $CO_2$-eq and following Chungnam (CN), Gyungbuk (GB), Jeonbuk (JB) and Gyunggi (GG). The sum of top-six locals emission had occupied 83.4% of the total emission in cropland sector. The annual average emissions in 1990 by applying 2006 IPCC guideline were approximately 43% less than the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y by 1996 IPCC guideline. Jeonnam (JN) province occupied also the highest results of greenhouse gas emission estimated by gas types (methane, nitrous oxide and carbon dioxide) and emission sources such as rice cultivation, agricultural soil, field burning of crop residue and urea fertiliz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