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구춘화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한라산 영구춘화(瀛邱春花) 이미지의 텍스타일 디자인 및 지역문화상품 개발 (The Development of Textile Designs and Cultural Products with the Image of the Spring Flowers on Halla Mountain)

  • 김기억;홍희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307-322
    • /
    • 2015
  • This study develops textile designs and cultural fashion products with the image of 'Youngguchunhwa', which means the beautiful spring flowers of Jeju. Historical literature was reviewed to emphasize the authenticity of Halla Mountain and Youngguchunhwa. Consumers' responses to Halla Mountain, Baengnokdam, and Royal Azalea related to Youngguchunhwa were evaluated along with photos of Halla Mountain and Youngguchunhwa images upload on Internet during the last 2 years. The results of consumer survey and photo analysis confirmed the consumers' high preference and high association with the image of Jeju. The full-blown Royal Azaleas in the Seonjakjiwat field of Halla Mountain were used as motifs for the development of Jeju cultural products as a representative landscape showing the beautiful spring of Jeju. Six types of textile designs were developed by the repeated arrangement of the basic patterns of Halla Mountain, Baengnokdam, and Royal Azalea. Ladies' apparels products, children's wear, bags and cushions were made using oxford cotton fabrics printed with the textile designs. We suggest how pattern designs of the Youngguchunhwa image could be applicable and used for the development of other kinds of Jeju tourism souvenirs.

제주 방선문(訪仙門)의 선경(仙境)적 이미지와 명승적 가치 (Study on Enchanted Image and Scenic Value of Jeju Bangseonmun)

  • 노재현;신상섭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98-106
    • /
    • 2010
  • 방선문(訪仙門)은 한라산의 옛 이름인 영주산을 신비롭게 하는 신선사상의 흔적이 가장 역력한 명소로 한천계곡에 자리잡고 있다. 영주십경의 하나인 '영구춘화(瀛丘春花)'의 대상장으로 널리 알려진 방선문(訪仙門)과 들렁귀(등영구(登瀛丘))는 문자 그대로 '신선이 사는 곳으로 들어가는 문'이라는 뜻이며, 신선의 산 영주산으로 이르는 통로이자 속세와 탈속의경계로 그려지고 있다. 조선조 선비들은 신선의 고향 한라산을 무대 삼아 방선문, 환선대, 우선대 그리고 등영구의 제액(題額)을 바위에 각자(刻字)함으로써 신선의 문에 들어, 신선을 부르고, 신선을 만나, 신선의 세계로 오르는 선경의 이미지를 방선문에 구축해 왔다. 이는 세속의 번거로움을 털고 한라산 신선이 되는 풍류 행위의 시적 표현이며, 도교적 이상세계에 대한 염원으로, 방선문 4승경의 장소 정체성을 이루는 핵심이다. 방선문이 갖는 선경적 장소성뿐만 아니라 계곡 및 하천경 관을 이루는 지질지형학적 특성과 식물생태학적 가치는 방선문이 '자연경관으로서 명승'으로도 부족함이 없음을 보여준 다. 고찰 결과를 종합할 때 방선문은 마애각에 새겨진 제영의 의미가 갖는 장소정체성과 선경적 의미 그리고 영주십경의 대상장이자 '영구춘화'의 시점장으로서는 물론 방선문 계곡의 자연적 아름다움을 바탕으로 선인과 자연과의 만남을 통한 교감의 장소로 유전되어 왔다. 지금도 제주민과 호흡하는 문화공간으로 지속되고 있음은 생활명승의 전형성 또한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현재 문화재보법의 명승적 가치와 기준으로 보았을 때 제주 방선문계곡은 명승의 조건에 가장 부합되는 전형적 장소이자 공간이라 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