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염수쐐기의 거동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8초

정상 염수쐐기 거동 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Behaviour of Arrested Saline Wedge)

  • 신현호;류시완;김영도;서일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74-878
    • /
    • 2007
  • 최근 들어 하구의 이용도가 높아져 감에 따라 용수 취수, 염해 방지공, 하도 계획, 수질 개선 등의 문제와 관련하여 하도 내로 침입하는 염수쐐기를 적절히 제어해야 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를 위해 염수쐐기의 형태와 거동특성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내부유동 구조를 구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염수쐐기의 수리학적 특성에 관한 국내외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국내에서는 하구에서의 유동장 해석을 위한 연구와 염수침입 현상과 반대로 담수 유출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해양공학적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국외에서는 1950년대 초반에 하구에서의 염도 혼합양상과 확산계수의 결정 및 수학적 모형에서 각 항들의 상대적 중요성 평가와 같은 기초적인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1970년대에 컴퓨터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다양한 수치적 기법이 개발되어 폭이 좁고 성층화된 하구에서의 수치계산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염수쐐기의 형태 및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리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염수수조, 담수유입부, 수로부로 구성된 실험수로에서 수행되었으며, 염수와 담수간의 밀도차에 근거하여 실험 조건을 설정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밀도차와 담수유입량에 따라 염수쐐기의 형태 및 거동특성이 지배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염수쐐기의 비정상적 거동특성 (The Behavior of Unsteady Saline Wedge)

  • 이문옥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2-80
    • /
    • 1991
  • 조석이 작용하는 흐름장에 있어서 염수쐐기의 거동특성을 파악하여, 실제의 하구에서 생성되는 비정상적염수쐐기의 형상과 그 길이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수치모델의 구축을 목적으로, 수리실험 및 수치계산을 행하였다. 실험에서는 특히 조시에 따른 염수쐐기의 하층에서의 유속분포의 변화와 선단부의 거동에 주목하였다. 또한 점변일차원이층부정류모델에 의한 염수쐐기 형상의 수치계산을 행하여 실험결과와의 비교에 의해 그 모델의 적용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PDF

3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정상염수쐐기현상 해석 (Analysis of Saline Wedge Using 3D Numerical Model)

  • 이경수;곽성현;류시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571-575
    • /
    • 2012
  • 하구역에서의 대표적인 수리특성인 염수쐐기현상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하구역 수질 및 환경관리 측면에서 필수적인 사항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염수쐐기 경계층 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결과와 3차원 전산유체역학 프로그램인 FLOW-3D를 이용한 수치모의 결과를 비교해봄으로써 염수쐐기현상에 대한 3차원 수치모형의 적용성을 살펴보았다. FLOW-3D를 이용하여 실험장치의 수로구간을 구성하고 경계조건으로 염수의 수위와 담수의 유량을 입력하였으며 밀도차를 두어 이층류가 발생하도록 모의하였다. 모의결과를 통해 시간평균농도와 표준편차를 무차원화하여 단면별 연직분포를 알아보고 각 단면을 중첩하여 경계층의 거동을 살펴보았으며 염수쐐기길이와 염수심을 무차원화하여 밀도프루드수의 변화에 따른 염수쐐기형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각 결과를 기 수행된 실험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 PDF

염수쐐기의 형상과 경계층의 구조적 특성 (The Form of Saltwater Wedge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nterfacial Layer)

  • 신현호;류시완;김영도;서일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838-184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하구 유입 하천에서 발생하는 염수쐐기의 형상 및 거동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정상상태 염수쐐기 실험을 수행하였다.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폭이 좁은 개수로의 상류부분에는 담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담수공급장치를 설치하였고, 정상상태의 염수쐐기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염수수조 측면에 지속적으로 염수를 공급할 수 있는 염수공급수조를 설치하였다. 실험조건은 담수 방류량과 이층류의 밀도차의 영향을 고려한 밀도프루드수(densimetric Froude number)를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실험결과 각 케이스별 염수쐐기의 형상은 중앙부에서 약간의 산포된 양상을 제외하고는 거의 선형을 이루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경계층의 형상과 두께는 이층류의 농도장을 측정하고 밀도변동성분을 고려한 표준편차를 통하여 산정하였다. 그리고 염수쐐기의 선단부에 해당하는 리차드슨수와 경계층 두께와의 비교 등을 통해서 경계층의 양상을 파악하였다.

  • PDF

낙동강 하구둑 염수쐐기의 거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Behavior of Salinity Wedge at Nakdong River Barrage)

  • 박상길;김도훈;한종수;정상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63-6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하구둑의 수문을 완전히 개방한 경우로 상정하여 외해로부터 염수가 하천의 상류방향으로 침입해 가는 과정을 수치모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염분 침투현상에 대해 모델링 및 과거 관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낙동강 하구둑 상류로 침투되는 염수쐐기의 거동을 규명함으로써 낙동강 하구둑 상류지역의 기수역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수치모의를 수행한 결과, 대상 영역 내에서 염수가 하구부를 시작으로 낙동강 상류방향으로 활발하게 침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각 경우의 결과로부터 밀도차에 의한 담수와 염수의 층 분할현상은 유입유량이 작을수록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유입 유량이 클 경우 층분할 현상이 작아지며 좁은 영역에서 담수와 염수의 혼합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정상염수쐐기 경계층 거동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Behaviour of Interfacial Layer in Saltwater Wedge)

  • 류시완;김영도;최재훈;서일원;권재현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33-842
    • /
    • 2009
  • A series of laboratory experiments has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ehaviour of interfacial layer of saltwater wedge in estuary. Experimental conditions have been established according to densimetric Froude number, which is a dimensionless number comparing inertia force with buoyancy due to the density difference. To observe the behaviour of saltwater wedge, conductivity meter has been used to detect salinity. Time averaged and temporal variation of observed properties have been analyzed to determine and investigate the interfacial layer. The location and profile of interfacial layers have shown the dependency on densimetric Froude number. The thickness of interfacial layer has been also dependent on the variation of densimetric Froude numb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