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염색소

검색결과 195건 처리시간 0.025초

세포의 휴면처리가 소 태아섬유아세포 유래 핵이식란의 핵상변화와 체외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Quiescent Treatment on Nuclear Remodeling and In Vitro Development of Nuclear Transfer Embryos Derived from Bovine Fetal Fibroblast Cells)

  • 최종엽;권대진;김정익;박춘근;양부근;정희태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17-222
    • /
    • 2000
  • 본 연구는 세포의 휴면처리가 소 태아섬유아세포 유래 핵이식란의 핵형변화와 체외발육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임신 3∼4 개월령 한우 웅성 태아의 피부세포를 채취하여 계대배양 후 동결하였다가 핵이식 전에 혈청기아처리 또는 confluency방법으로 휴면처리를 하여 미수정란의 탈핵세포질에 이식하였다. 전기융합과 활성화처리 후 7∼9 일간 체외배양하여 발육능을 검토하였으며, 일부는 whole-mount 법으로 고정하여 염색질 구조를 관찰하였다. 복제란의 극체방출율은 혈청기아처리구와 confluence 구에서 각각 24.5% 와 20.3% 로 무처리구(36.0%) 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다. 활성화 후 1개의 염색질괴를 갖는 복제란은 혈청기아처리구(50.9%)와 confluence구 (49.2%)가 무처리구 (40.0%)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극체방출에 따른 염색질의 구조는 극체 미방출구에서 정상적인 1개의 염색질괴를 갖는 핵이식란이 60.5% 로, 극체 방출구 (4.7%) 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1). 배반포기 발육율은 혈청기아처리구 (21.7%) 와 confluence (20.9%) 가 무처리구 (14.1%) 에 비하여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혈청기아처리나 confluency 방법에 의한 donor 세포의 휴면처리는 태아섬유아세포 유래 핵이식란의 비정상적인 핵형변화를 감소시켜 체외발육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천연 치자 색소의 연구개발 동향 (A Trend i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Natural Gardenia Pigments)

  • 신현재
    • KSBB Journal
    • /
    • 제22권5호
    • /
    • pp.271-277
    • /
    • 2007
  • 치자나무 (Gardenia jasminoides)는 우리나라 남부 지방에 널리 분포하는 이리도이드 (iridoid)계 꼭두서니과의 수목으로서 그 열매인 치자는 예로부터 옷감의 염료, 식용 색소 및 한방 약재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치자에 함유된 주요성분으로는 치자 과실에 이리도이드 배당체인 제니핀 (genipin: $C_{11}H_{14}O_5$)과 제니포사이드 (geniposide: $C_{17}H_{24}O_{10}$) 및 겐티오비오시드 (gentiobioside), 크로신 (crocin), 노나코산, 기르네노시드, 만니톨 등이 있고 잎에는 가데오시드 (gardeoside)가 포함되어 있다. 치자색소중 가장 대표적인 치자황색소는 매염처리에 따라 색상이 거의 변하지 않는 단색성 염료이면서 매염처리를 하지 않고도 면직물 등의 식물섬유에 염색이 되는 직접 염료로서 그 시장가치가 높다. 현재 치자황색소는 가격경쟁의 격화에 따라 금액 기준으로 약간 감소하고 있으나 수요 그 자체는 라면 등 식품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다음으로 치자청색소는 치자추출물을 효소반응이나 미생물 배양을 통한 가수분해에 의해 다량의 제니핀으로 전환하여 여러 아미노산과 함께 생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치자청색소는 단백질 섬유에 염색한 결과 매염제 없이도 우수한 착색을 보였으며, 견뢰도도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냉과류의 합성착색료 대체품으로 신장하고 있는 스피룰리나 청색소와 가격경쟁력이 있어서 앞으로의 수요는 더 커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치자적색소는 520-540 nm에서 최대흡광도를 나타내며, 이는 청색소와 마찬가지로 이리도이드 배당체를 효소 및 미생물로 가수분해한 구성물과 일차 아미노 그룹을 포함한 기질과 함께 반응함으로써 형성된다. 치자 색소는 식품 뿐만 아니라 섬유의 염색에도 우수한 천연색소로서 가치가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앞으로 식품에 있어서 천연색소로의 대체가 당면한 과제이며 이를 위해 식용색소로서 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개발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천연색소의 안정성 문제는 식품 뿐만 아니라 화장품, 섬유 염색 등 거의 모든 부분에서 제약이 되므로 추후 천연염료 (특히 치자 염료)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품질 개발과 생산 코스트 다운을 위한 연구는 전체 천연색소 시장의 성장에 필수불가결하다.

새꼬막, Scapharca subcrenata Lischke의 성성숙에 관한 연구

  • 이주하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91-102
    • /
    • 1998
  • 새꼬막은 자웅이체로서 난생이었다. 생식소는 내장낭의 간중장선에서부터 족부까지 외측의 대부분을 싸고 있으며, 난소는 난자형성소낭, 정소는 정자형성소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완숙란의 세포질에는 많은 난황과립을 축적하고 있으며, 난막의 외측은 얇은 젤라틴상의 피막으로 싸여 있었다. 정자형성소낭벽에는 정원, 정모, 정세포 및 변태한 정자 순으로, 소낭의 내강을 향하여 충상배열을 하며 성숙 발달되었다. 생식주기는 초기 활성기(11-5월), 후기 활성기(5-7월), 완숙기(6-9월), 부분 방출기(7-9월), 방출 및 비활성기(9-4월)로 구분할 수 있었다. 방란, 방정은 수온이 21$^{\circ}C$ 이상으로 상승하는 7월초순부터 9월까지 지속되며, 산란 최성기는 8월이었다. 비만도지수의 월별 변화는 생식주기와 아주 밀접ㅎ나 관계가 있었다. 난자형성소낭과 정자형성소낭에는 eosin에 강하게 염색되는 과립세포와 간충직들이 나타나는데, 이들은 생식소 및 생식세포형성과 발달에 영양을 공급하는 영양세포로 생각되었다.

  • PDF

호발폐액으로부터 과산화수소의 생성 (Generation of Hydrogen Peroxide from Desizing bath)

  • 김주혜;최은경;신영섭;안익성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96-399
    • /
    • 2002
  • 면섬유는 천연적으로 지방, 왁스, 펙틴, 단백질 등 비섬유소 물질과 천연색소를 지니고 있는데다가, 제직 시 제직성 향상을 위해 가호를 하게 된다. 그러므로, 면섬유의 염색ㆍ가공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발호, 정련, 표백의 전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전처리 공정은 용수를 다량 소비하고 BOD/COD등의 폐수부하가 크므로 환경부하 감소의 차원에서 용수 재사용 기술개발과 환경친화적인 조제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중략)

  • PDF

소 정자의 생존율 및 첨체반응 검사를 위한 간단한 염색법 (Vital and Acrosomal Staining of Bovine Spermatozoa)

  • 김계성;이병천;황우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03-108
    • /
    • 2000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find simple and effective methods for the speculation of vitality and scorsome status of bovine spermatozoa. The eosin-nigrosin staining, trypan blue staining, and naphthol yellow S-erythrosin B staining was ofter used for the speculation of vitality and/or acrosome status of bovine spermatozoa, respectively.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combined trypan blue-naphthol yellow S-erythrosin B staining is more accurate and effective for the examination of acrosome status and vitality of bovine spermatozoa.

  • PDF

VOC 제거용 세라믹 쉬트의 인장강도에 미치는 slurry 조성의 영향 (The Effect of Slurry Composition on the Tensile Strength of Ceramic Sheet for VOC Abatement)

  • 김홍수;주국택;유윤종;배준수;설용건;한문희
    • 한국에너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에너지공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97-204
    • /
    • 1999
  • VOC(volatile organic compound)는 도료제조, 자동차, 선박의 도색, 인쇄, 염색 공정에서 주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로서 호흡기로 들어가면 중추신경 등 주요 기관의 장애를 일으킬 수 있으며, 질소화합물과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오존을 유발하는 위험물질이다. 정부에서는 1991년 대기환경보존법을 제정하여 유기용제의 배출을 규제하고 있고, 이 법에 따라 금년부터 석유화학정제업, 저유소에 VOC 방지시설을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한다.(중략)

  • PDF

충남 천안시 출토 16세기 분홍 단령에 사용된 염재 동정 (Identification of Natural dyes used in 16th pink Dallryeong (Official's robe in Joseon Dynasty) Excavated from Cheonan, Chungnam)

  • 채정민;유효선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99-308
    • /
    • 2015
  • 본 연구는 1996년 천안시 유량동에서 출토된 분홍색 단령의 염료 동정을 통해 조선시대에 사용된 적색 염료를 실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물에 사용된 염료를 추출하고 이것을 당시 염색에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적색계 염료(홍화, 소목, 꼭두서니)에서 추출한 염료와 함께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물에서 추출한 염료와 홍화염색포의 추출 염료는 같은 시간대인 17.5분에서 피크가 나타났다. 이때 자외/가시선 분광 분석 결과는 두 시료 모두 519nm에서 최대흡수파장이 나타나 기존 홍화의 홍색소 분석 결과와 같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negative ion mode에서 질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물과 홍화 염색포에서 추출한 염료 시료는 carthamin의 분자량인 910을 나타내는 m/z 909에서 같은 시간대의 피크가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이 분홍 단령 직물을 염색하는데 사용된 염재는 홍화인 것으로 동정되었다.

국화지 면직물과 견직물에 대한 염색성, 항균성, 소취성에 관한 연구 (The Dyeability, Antibacterial Activity, and Deodorization of Chrysanthemum Boreale for Cotton and Silk Fabrics)

  • 오화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43-5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yeability, antibacterial activity, and deodorization of cotton and silk fabrics dyed with extracted solution from Chrysanthemum borea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optimum conditions of dyeing temperature and time for the cotton fabrics were 90$^{\circ}C$ and 60minutes, while those of the silk fabrics were 60$^{\circ}C$ and 30 minutes respectively. 2. The K/S values of cotton fabrics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silk fabrics. The K/S values of both fabrics were slightly increased by mordanting with Cr but were decreased by mordanting with Cu and Fe 3. The colors of the cotton and silk fabrics changed from GY to Y. In both cases, the values of the fabric colors were lowered, and the values of the colors continued to be lowered with Cu and Fe. The chroma and color difference of both fabrics were high and were further increased by mordanting with Cu. 4. The fastness to dry-cleaning and rubbing of the cotton and silk fabrics was very good. The fastness to washing of both fabrics was good except when mordanted with Fe. The fastness to perspiration of both fabrics was fairly good, but the fastness to acid perspiration was poorer than that to the alkaline perspiration. The fastness to light of both fabrics was very poor. 5. The cotton and silk fabrics showed excellent antibacterial activity. Both fabrics mordanted with Cu showed perfect antibacterial activity. 6. The deodorization of the silk fabrics was very good, and that of the silk fabrics mordanted with Cu and Al was excellent, while the deodorization of the cotton fabrics was fairly good.

천연염색 직물의 자외선 차단 성능 증진 연구 - 홍화 황색소 염색 셀룰로오스 직물을 중심으로 - (Improving UV-cut Ability of Natural Dyed Fabrics - Focused on Cellulose Fabrics Dyed with Safflower Yellow Colorants -)

  • 신윤숙;최승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10호
    • /
    • pp.73-8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ultraviolet-light (UV)-cut ability of cellulose fabrics (cotton, ramie, and rayon) dyed with safflower yellow colorants. For this purpose, samples treated with UV-cut agent and tannic-acid were compared with the untreated samples after UV exposure in terms of K/S value, color changes(${\Delta}E$), SEM, and strength retention. The K/S value rapidly decreased after 28 days exposure, whereas the K/S value of the samples treated with both UV-cut agent and tannic-acid decreased to less than that of the untreated samples. In color changes, $L^*$ increased while $a^*$ and $b^*$ decreased, indicating less red and yellow character in color. This induced a change in the hue, value and chroma values. However the color change(${\Delta}E$) of the samples treated with both UV-cut agent and tannic-acid was less than that of the untreated samples.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pictures showed a severe degradation by exposure in all samples. Tensile strength rapidly decreased after 28 days for cotton and rayon, and after 21 days for ramie. However, the strength retention of the samples treated with UV-cut agent and tannic-acid was higher than that of the untreated samples.

곰보배추 추출물로 염색한 면직물의 자외선 차단율, 소취성 및 항균성 (Study of UV Protection, Deodorization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Cotton Fabrics Dyed with the Liquids Extracted from Salvia Plebia R. Br.)

  • 장현주;정진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80-386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the stainability and functionality of cotton dyed with the extract of Salvia Plebia R. Br. as a research preceding the development of health functional materials and fashion products with a healing motif. The CIELAB measurements of the cotton fabric dyed with the extract of Salvia Plebia R. Br. showed 73.32 for $L^*$, 1.7 for $a^*$, and 37.78 for $b^*$, while the Munsell measurements exhibited 2.63Y in color, 7.18 of brightness, and 5.49 of chroma. The degree of staining resulting from color fastness to laundering, and that resulting from color fastness to perspiration (acid and alkaline), as well as the level of color fastness to crocking (wet and dry) all stayed between relatively higher levels of 4 and 5. The fabric dyed also exhibited SPF 50+, an outstanding sun blocking performance. The deodorization rate was also excellent, rising from 97% to over 99% when the time elapsed increased from 30 minutes to 120 minutes. The fabric dyed also showed a 99.6%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and a 71.4%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 The aforementioned findings indicate that fabrics dyed with the extract of Salvia Plebia R. Br. contain the potential to be developed for use as health-related materials and fashion products that promote hea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