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열 노출

검색결과 542건 처리시간 0.024초

복사열 노출에 따른 소방보호복의 열보호성능 측정

  • 방영준;이준경;방창훈;권정숙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78-79
    • /
    • 2013
  • 소방보호복은 화재진압현장에서 소방관들을 화상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가장 많이 착용하는 장비이다. 소방보호복의 열보호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어야 소방관들의 화재진압작업시 위험요소를 적절히 판단하여 화상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사열 노출에 따른 소방보호복의 열보호 성능을 정확히 측정 및 분석하기 위해 실험 장비를 제작하고 실험을 수행하였다. 소방 보호복의 구성 재료 각각에 대해 복사열 노출을 시켜 시간에 따른 피복 전후면의 온도차와 통과 열유속을 측정하여 소방 보호복의 열보호 성능 특성을 살펴보았다.

  • PDF

복사열에 노출된 소방용 방수복의 열적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the Fire Fighter's Waterproof Clothing Exposed to the Radiation Heat)

  • 방창훈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21-25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복사열에 노출된 소방용 방수복의 열적 특성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소방용 방수복의 노출시간에 따른 표면의 온도상승은 노출거리가 가까울수록 급격히 일어났다. 또한 복사열유속이 클수록 표면의 온도가 높으며, 정상상태 도달시간은 짧게 나타났다. 소방용 방수복의 노출거리가 멀어질수록 표면의 온도는 급격히 감소하며, 전면과 후면의 온도차도 감소하였다. 복사열유속이 증가할수록 안전노출거리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소방대원의 안전을 위해서는 복사열원으로부터 일정거리이상 떨어져 작업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고온손상된 GFRP 보강근의 장기 잔존 계면전단강도 예측 (Prediction of Long-term Residual Inter-laminar Shear Strength of Thermally Damaged GFRP Rebar)

  • 김민철;문도영;김성도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108-115
    • /
    • 2014
  • GFRP 보강근의 역학적 성능은 고온과 콘크리트의 알칼리 환경에서 크게 감소된다. 본 연구에서는 GFRP 보강근이 열손상 뒤, 알칼리 환경에 추가로 노출되었을 때의 계면전단강도변화를 고찰하는데 집중하였다. 이를 위하여 GFRP 보강근 시편은 270도의 열에 1시간동안 노출된 후 알칼리 용액에 장기간 노출되었으며, 전단시험에 의하여 파괴되었다. 비교를 위하여 열손상이 없는 시편도 같은 기간 동안 알칼리 용액에 노출된 후 전단에 의하여 파괴되었다. 결과에서, 열손상을 받은 GFRP보강근의 계면전단강도의 감소가 열손상이 없는 보강근 보다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을 근거로 하여, 열손상을 미리 받은 GFRP 보강근이 알칼리에 노출되었을 때, 장기 잔존계면전단강도의 예측을 위한 2차식을 제시하였다.

고온용 Circuit-analog 전파흡수구조의 350℃ 및 열 수분 환경에서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Circuit-analog Radar Absorbing Structures for High Temperature in 350℃ and Hot-wet Environment)

  • 장민수;김호범;홍헌석
    • Composites Research
    • /
    • 제36권5호
    • /
    • pp.335-34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고온용 Circuit-analog 전파흡수구조(CA-RAS)를 제안하고, 350℃ 및 열 수분 환경에서의 전파흡수성능 및 인장 물성을 평가하였다. Glass/cyanate ester와 사각형 저항 패턴층을 통해 CA-RAS를 구현하였으며, 자유공간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350℃ 환경과 열 수분 환경 노출 후의 반사손실을 측정했다. 또한 ASTM D638 규격에 따라 환경 노출 후의 인장강도를 측정했다. 제안된 CA-RAS는 350℃까지 4 GHz 이상의 -10 dB 흡수 대역과 -20 dB 이상의 피크 값을 보였으며, 열 수분 환경 노출 후에도 전파 흡수 성능의 저하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환경 노출 후에도 Glass/cyanate ester의 상온 인장강도 대비 95% 이상의 인장강도 값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전파흡수구조의 고온 및 열 수분 환경에 노출되는 저피탐 구조물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PTT BCF의 분산염료 염색에서 첨가제의 내열성 및 내광성 효과 (Thermal and UV Resistance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Bulked Continuous Filament (PTT BCF) and The Influence of Additive on Those)

  • 문창헌;이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527-53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PTT BCF의 열과 자외선에 의한 취화거동과 분산염료의 열 및 자외선에 의한 퇴색거동을 연구하였다. 염료의 퇴색과 PTT BCF의 취화를 억제시킬 수 있는 첨가제를 방사과정에서 첨가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PTT BCF의 열처리 이후 취화거동은 열처리 온도와 노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취화현상이 가속화되어 시료의 인장강도 저하가 두드러졌다. 시료가 120℃까지의 온도에 노출하였을 때는 인장강도의 저하가 크지 않으나 그 이상의 온도인 150℃에서는 노출시간에 비례하여 급격한 인장강도 저하를 보였다. 열에 의한 취화는 산화방지 첨가제가 높은 온도에서는 그 효과가 안정적이지 않으며 산화반응이 급격하였다. 열처리 이후 시료의 퇴색은 열처리 온도가 증가할수록 K/S 값이 감소하였고, 노출시킨 시간이 증가할수록 퇴색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특히 고온으로 갈수록 열에 의한 퇴색 거동이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열퇴색 억제제가 그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 자외선 조사 이후 PTT BCF의 취화거동과 퇴색거동을 인장강도 변화와 K/S 값 변화로 각각 살펴보았다. 자외선 조사에 따른 취화는 열처리 시의 취화보다 더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장시간 동안 노출된 경우 인장강도의 저하가 급격하였다. 또한 K/S 값의 변화 역시 온도와 노출시간이 증가할수록 퇴색거동이 강하게 나타났다. 시료의 취화거동과 퇴색거동은 자외선 조사의 경우가 더 가혹하게 나타났다. 열 및 자외선 모두가 분산염료의 퇴색에 영향을 주며, 자외선 조사는 같은 온도에서 노출했을 때에 비해 아주 높은 퇴색 속도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열과 자외선에 의한 퇴색과 취화는 특정 산화방지제와 자외선흡수제에 의해 다소 억제되어 저하되었다.

복합적인 환경인자의 영향에 따른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의 열화 특성 (Effect of Combined Environmental Factors on Degradation Behavior of Carbon Fiber/Epoxy Composites)

  • 황영은;이길형;윤성호
    • Composites Research
    • /
    • 제22권5호
    • /
    • pp.37-42
    • /
    • 2009
  • 온도, 수분 및 자외선과 같은 자연환경을 모사할 수 있는 가속노화시험장치를 적용하여 복합적인 환경인자에 노출된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의 열분석 특성과 화학구조분석을 수행하였다. 복합적인 환경인자의 최대 노출시간은 3000시간으로 노출시간에 따른 복합재의 열분석 특성과 화학구조는 Modulated DSE와 FTIR을 통해 조사하였다. Modulated DSC 시험을 통한 연우-결과에 따르면 노출시간이 증가할수록 복합재 내에 치밀한 망사 구조가 형성되어 유리전이온도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출시간이 증가할수록 복합재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물리시효가 발생하여 엔탈피 완화현상을 나타내는 흡열 피크가 관찰되었다. 아울러 FTIR 시험을 통해 관찰된 피크의 위치는 노출시간에 큰 영향을 받지 않지만 피크의 세기는 노출시간이 증가할수록 에폭시기에 발생되는 경화 반응으로 인해 점차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저열유속 복사열 노출 조건에서의 소방보호복 열보호 성능 측정에 관한 기초 연구

  • 방영준;이준경;신환준;이관근;윤창식;방창훈;권정숙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55-56
    • /
    • 2013
  • 소방보호복의 열보호특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보호복 개발 뿐만 아니라 화상에 의한 부상 방지 및 생명 보호라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고열유속 조건에서 시험을 수행하여 시편의 파괴가 발생하기 쉽고, 그에 의해 제대로 된 결과를 얻어낼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열유속 조건의 복사열 노출시 열보호성능을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지표 및 측정 방법을 기존 RPP (Radiant Protective Performance) 측정방법을 개선하여 제안하였다. 또한 실험을 통해 여러 가지 보호성능지표들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 PDF

우레탄 도막 방수재의 열열화 특성 (Influence of Thermal Aging on the Properties of Polyurethane Coating of Waterproof.)

  • 김성래;신홍철;신주재;김영근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931-934
    • /
    • 2008
  • 폴리우레탄은 방수재로 널리 사용되며 구조물에 발생되는 균열 및 거동에 의해 항상 외력을 받고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환경에 따라 각종 환경열화 인자에 노출되어 있다. 환경 열화인자로서는 자외선, 오존, 열, 수분 등이 잘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 모든 열화의 기본이 되는 열의 영향, 특히 고온에서의 영향이 중요하다. 따라서, 노출형인 우레탄 고무계 1류 도막 방수재의 경우는 80$^{\circ}C$에서, 비노출형의 경우는 70$^{\circ}$C에서 촉진 열열화 시험을 3주간 실시하였다. 결과는 방수재의 기본물성과 인장 강도 및 신장율 모두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온도 60$^{\circ}$C에서 측정할 경우 급격히 물성 저하가 발생되었다.

  • PDF

노출콘크리트 중단열 벽체의 단열성능 분석 (Insulation Performance Analysis of Exposed Concrete Sandwich Wall)

  • 여창재;유정호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6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05-106
    • /
    • 2016
  • The study of the sandwich wall with the increasing interest in building energy consumption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his study designed exposed sandwich wall in the light of energy saving design standard and thermal bridge of share connection. The heat insulating performance was analyzed U-fator using calculation program provided in passive houses association and KS F 2277 (method of measuring thermal insulation of construction component materials).

  • PDF

우주환경모사용 대형열진공챔버 국산화 개발 및 유지

  • 이상훈;문귀원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5년도 제49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69.1-69.1
    • /
    • 2015
  • 우주환경은 고진공 환경과 태양 복사열에 의한 고온 환경 및 극저온이 반복되는 가혹한 환경으로 특징지어지는데, 위성체는 지상에서 발사되어 우주궤도에 진입한 순간부터는 계속해서 우주환경에 노출된다. 위성체가 이러한 가혹한 우주환경에 노출될 경우 주요부품에 기능장애가 초래되기도 하며 이는 결국 임무의 실패로 이어지도 한다. 따라서 위성체는 지상에서 우주환경시험을 거쳐 기능 및 작동상태를 점검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우주환경을 모사 할 수 있는 우주환경 모사장비가 필요하다. 우주환경모사장비라함은 우주환경의 주특징인 고진공상태와 극저온 및 고온 환경을 모사할 수 있는 지상장비를 말하며, 통상 열진공챔버라고 불린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는 위성의 부품레벨에서부터 대형위성시스템의 열진공시험 수행을 위한 다양한 진공챔버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직경이 0.7 m인 소형에서부터 직경 9 m, 길이 10 m급의 대형열진공챔버에 이른다. 대형 챔버의 경우 고기능화에 따라 대형화 되어 가는 위성의 국산화 개발을 위하여 순수 국내 기술로 제작된 우주환경모사용 챔버이다. 본 대형열진공챔버의 제작 및 유지 현황에 대해 논의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