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열전도도 측정

Search Result 27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Onset of Natural Convection in Transient Hot Wire Device for Measuring Thermal Conductivity of Nanofluids (비정상열선법을 이용한 나노유체 열전도도 측정 시 자연대류 개시점에 대한 연구)

  • Lee, Seung-Hyun;Kim, Hyun-Jin;Jang, Seok-Pil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35 no.3
    • /
    • pp.279-285
    • /
    • 2011
  • We perform a numerical study to determine the time of onset of natural convection in a transient hot wire (THW) device for measuring the thermal conductivity of nanofluids. The samples used in this simulation are water-based $Al_2O_3$ nanofluids with volume fractions of 1%, 4%, and 10%, and the properties are calculated by theoretical models and experimental correlations. The THW apparatus using coated wire is modeled by the control-volume-based finite difference method, and the start of natural convection is determined by observing the temperature rise of the wire under a gravity field. The onset time is 11.5 s for water and 41.6 s for water-based $Al_2O_3$ nanofluids predicted by Maxwell thermal conductivity model with a 10% volume fraction. We confirm that the onset time of natural convection of nanofluids in the cylinder increases with the nanoparticle volume fraction. We suggest a correlation for predicting the onset time on the basis of the numerical results. Finally, it is shown that the measurement error due to natural convection is negligible if the measurement using the transient hot wire method is completed before the onset of natural convection in the base fluid.

An Estimation of the Temperature-dependent Thermal Conductivity for Hybrid-fiber Reinforced Shield Tunnel Lining (하이브리드 섬유보강 쉴드터널 라이닝의 온도의존적 열전도도 추정)

  • Lee, Chang Soo;Kim, Yong Hy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6 no.4
    • /
    • pp.99-106
    • /
    • 2012
  • This study presents estimation method of temperature-dependent thermal conductivity by using solution of inverse heat conduction problem. Time and depth temperature distribution data from full-scale fire test were used for estimating temperature-dependent thermal conductivity on hybrid-fiber reinforced shield tunnel lining. At short heating time, estimated thermal conductivity sharply decreased within $100^{\circ}C$. On the other hand, it reflected thermal properties of concrete and effect of steel fiber at heating time of measured maximum heating temperature. Thus arbitrary time should be determined to estimate temperature-dependent thermal conductivity in time zone of measured maximum heating temperature. Estimated temperature-dependent thermal conductivity is similar to results of other study.

Evaluation of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y of Closed-loop Vertical Ground Heat Exchanger (수직 밀폐형 지중 열교환기의 현장시공 및 유효열전도도 평가)

  • Lee, Chul-Ho;Park, Moon-Seo;Kwak, Tae-Hoon;Choi, Hang-Seo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91.1-91.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수직 밀폐형 지중 열교환기를 현장 시험시공하고 현장 열응답 시험을 수행하여 보어홀과 지반의 유효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뒤채움용 그라우트재는 벤토나이트와 시멘트가 고려되었으며 첨가제로는 천연규사와 흑연을 사용하고, 지중 열교환기 파이프 단면은 일반적으로 시공되는 U-loop 파이프 단면과 파이프 사이의 열간섭 효과를 최소화 한 3공형 파이프 단면이 착용되었다. 시멘트-천연규사 그라우트재가 벤토나이트-천연규사 그라우트재 보다 큰 유효열전도도를 보이고 흑연을 첨가한 그라우트는 시멘트와 벤토나이트 모두에서 천연규사만 첨가하였을 때 보다 유효열전도도가 높게 나타났다. 3공형 파이프 단면의 경우 단면에 따른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그라우트는 시멘트-천연규사와 벤토나이트-천연규사를 사용하였으며 유효 열전도도 측정결과 각각 3.65 W/mK, 3.40 W/mK으로 일반 U-loop 파이프 단면을 사용하였을 때 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Determination and Calculation of Physical Properties for Sodium Glycinate as a CO2 Absorbent (CO2 제거용 흡착제 Sodium Glycinate의 물성측정과 추산)

  • Park, So-Jin;Jang, Gyeong-Ryong;Park, In Hwan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44 no.3
    • /
    • pp.277-283
    • /
    • 2006
  • Aqueous solution of sodium glycinate was checked as a suitable $CO_2$ absorbent from the flu gas in the thermal power plant. For this purpose, solubility, vapor pressure, latent heat of vaporization and thermal conductivity were determined for pure and aqueous solution of sodium glycinate. The solubility of sodium glycinate in the solvent, 25 g of $H_2O$,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temperature and their relation was represented as a first order equation of y = 0.3471x + 20.993. The vapor pressure for 10 wt% to 60 wt% of aqueous sodium glycinate solution were determined and the latent heat of vaporization of each aqueous solution was calculated from measured vapor pressure using Clausius-Clapeyron equation. Besides, thermal conductivity of sodium glycinate powder was also determined and it was $1.0933kcal/m{\cdot}hr{\cdot}^{\circ}C$.

하이브리드 탄소소재가 에폭시 복합체의 열전도도에 미치는 영향

  • An, Yu-Jin;Park, Ji-Seon;Sin, Gwon-U;Kim, Yun-Jin;Seo, Eun-Ha;Lee, Cheol-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4.02a
    • /
    • pp.187.2-187.2
    • /
    • 2014
  • 최근 다양한 카본 나노소재들이 열 전도성 필러로써 고분자 복합체의 열전도도 향상을 위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구조적 이방성을 갖는 탄소나노튜브(CNT) 혹은 그래핀나노플레이트(Graphene Nanoplatelet)를 복합체에 적용할 경우, 복합체의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에서의 열전도도가 3배 이상 차이가 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차원의 GNP 표면 위에 1차원의 CNT를 직접 성장시킨 하이브리드 탄소소재를 이용하여 이러한 열전도도 이방성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하이브리드 탄소소재는 무전해 도금법과 열기상법으로 제조하였다. 합성된 하이브리드 탄소소재 및 CNT를 단독 혹은 혼합하여 필러를 만들고 이를 에폭시 기지 내에 분산시켜 복합체를 제작하였다. 필러 함량별, 필러 비율별로 제작된 복합체의 열전도도를 레이저 플래시 법으로 측정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단일 필러들보다 열전도도 이방성이 1.5배 이상 개선된 방열용 에폭시 복합체를 제작할 수 있었다. 한편 하이브리드 탄소와 2% 이하의 CNT 배합에서 단독 필러 투입에 비해 45% 이상의 열전도율 향상을 확인하였다. 이는 미세구조 분석 및 성분 분석 결과, 필러 분산 정도가 열전도도 향상의 주요 인자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기지 내 CNT가 열전도도 경로로 작용하기보다는 하이브리드 탄소소재의 균일한 분산에 영향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도핑하지 않은 다이아몬드 박막의 전기전도 경로와 기구

  • 이범주;안병태;백영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60-60
    • /
    • 1999
  • 단결정 다이아몬드의 열전도도는 약 22W/cm.K로 열전도도가 가장 큰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비저항은 10$\Omega$.cm 이상의 높은 값을 갖는다. 대부분 열전도도가 큰 것으로 알려진 물질들은 Cu, Ag 등과 같이 전자의 흐름에 의하여 열이 전도되기 때문에 큰 전기전도도를 함께 갖는 것일 일반적이다, 그러나, 다이아몬드는 빠른 phonon의 이동에 의하여 열전도가 이루어지므로 전기적으로 절연 특성을 갖으면서도 큰 열전도가 가능하다. 단결정 다이아몬드는 고방열 절연체로서 이상적인 물질 특성을 보여준다. 전기절연성을 갖는 열전도층으로 다이아몬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저가로 제조가 용이한 화학기상증착법을 이용하여야 한다. 화학기상증착법으로 제조된 다결정 다이아몬드 박막의 열전도도는 약 21W/cm.K로 여전히 매우 높은 값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비저항 값은 인위적으로 도핑을 전혀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106$\Omega$.cm 정도의 낮은 값을 갖는다. 전혀 도핑을 하지 않았음에도 전도성을 갖는 특이한 특성을 다결정 다이아몬드가 보여 주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전기 전도성을 갖는 특이한 특성을 다결정 다이아몬드가 보여주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전기전도성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집중되고 있다. 아직 명확한 전도 기구는 제안되고 있지 못하지만 전도성의 원인은 수소와 관련이 있고 전도는 표면을 통하여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산(acid)을 이용하여 다결정 다이아몬드 박막을 세척하면 전기 전도성이 사라지고 높은 저항값을 갖는 박막을 얻게 되는데 박막을 세척하는 공정은 박막의 표면만을 변호시키므로 표면에 있던 전기전도층이 용액 처리를 통하여 제거되므로 전도성이 사라진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두께가 두꺼울수록 저항값이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고 기존의 측정방식인 수평적인 저항 측정법에 대하여 수직적 방향으로 저항을 측정하면 저항값이 1/2 정도 작게 측정되었다. 다결정 다이아몬드에서 표면을 통하여 전류가 흐른다면 박막의 두께에 따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야 하고 수직적인 전류 측정법이 오히려 더 큰 저항을 보여주어야 한다. 기존의 표면 전도 모델로는 설명되지 못하는 현상들이 관찰되었고 정확한 전기 전도 경로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해 도금법으로 금속들이 석출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이 방법을 통하여 다결정 다이아몬드에서 전류는 결정입계를 통하여 전도됨을 알 수 있었다. 온도에 따른 다결정 다이아몬드의 전기전도도 변화를 관찰하였고 이로부터 활성화 에너지 값을 구할 수 있었다. 다결정 다이아몬드의 전도도는 온도에 따라서 0.049eV와 0.979eV의 두 개의 활성화 에너지를 갖는 구간으로 나뉘어졌다. 이로부터 다결정 다이아몬드에는 활성화 에너지 값이 다른 두 종류의 defect level이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고 이 낮은 defect level에 의하여 전도성을 갖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Material Recognition Sensor Using Fuzzy Neural Network Inference of Thermal Conductivity (퍼지신경회로망의 열전도도 추론에 의한 재질인식센서의 개발)

  • Lim, Young-Cheol;Park, Jin-Kyu;Ryoo, Young-Jae;Wi, Seog-O;Park, Jin-Soo
    • Journal of Sensor Science and Technology
    • /
    • v.5 no.2
    • /
    • pp.37-46
    • /
    • 1996
  • This paper describes a system that can be used to recognize unknown materials regardless of the change in ambient temperature by using temperature response curve fitting and fuzzy neural network(FNN). There are problems with a recognition system which utilize temperature responses. It requires too many memories to store the vast temperature response data and it has to be filtered to remove the noise which occurs in experiments. Thus, this paper proposes a practical method using curve fitting to remove the above problems of memories and noise. Also, the FNN is proposed to overcome the problem caused by the change of ambient temperature. Using the FNN which is learned by temperature responses on fixed ambient temperatures and known thermal conductivity,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material can be inferred on various ambient temperatures. So the material can be recognized via its thermal conductiv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