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열대식물

Search Result 10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ex Pheromone Trapping of Spodoptera frugiperda (Noctuidae: Lepidoptera) in Korea and the Distribution of Intraspecies-specific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in the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CO1) (성페로몬을 이용한 열대거세미나방 포획과 시토크롬 옥시다제 1(CO1)에서 종내 변이군 특이적 단일염기다형성 분포)

  • Seo, Bo Yoon;Jung, Jin Kyo;Lee, Gwan-Seok;Yang, Chang Yeol;Cho, Jumrae;Kim, Yang Pyo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9 no.3
    • /
    • pp.217-231
    • /
    • 2020
  • In 2019, the sex pheromones of Spodoptera frugiperda were used to examine moth trapping in cornfields in Gochang, Korea. Four types of traps were prepared, two funnel-types and two delta-types, each baited with 300 or 1000 ㎍ of a two-component (2C) blend of synthetic sex pheromones [100% (Z)-9-tetradecenyl acetate (Z9-14Ac) and 2% (Z)-7-dodecenyl acetate (Z7-12Ac)]. The greatest number of S. frugiperda were captured in the 300 ㎍ funnel-type trap (first catch: August 6). Large numbers of Mythimna loreyi (a non-target) were also caught in the funnel-type traps. Two wing-type traps were baited with 1000 ㎍ of the 2C blend or a four-component (4C) blend [100% (Z)-9-tetradecenyl acetate, 8% (Z)-11-hexadecenyl acetate (Z11-16Ac), 2% (Z)-7-dodecenyl acetate, and 1% (Z)-9-dodecenyl acetate (Z9-12Ac)] and the capture efficiency was assessed. Low numbers of S. frugiperda were captured regardless of the blend, and more M. loreyi were captured using the 4C blend. The two intraspecies groups clustered separately in a phylogenetic tree constructed using partial sequences (1004 bp) of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CO1). Of the 70 S. frugiperda captured in the pheromone traps, 66 belonged to CO1-RS (CO1 rice-strain) and 4 to CO1-CS (CO1 corn-strain). Twelve consistent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were identified in CO1 between the CO1-RS and CO1-CS groups of S. frugiperda. Of the 73 S. frugiperda, 4 had the same SNP pattern as the CO1-CS group (including the corn strain) and 69 had the same SNP pattern as the CO1-RS group (including the rice strain).

Changes in global climate zone based on SSP scenario (SSP 시나리오 기반 전 지구 규모의 기후대 변화)

  • Young Hoon Song;Jin Hyeok Kim;Sung Tack Chae;Eun Sung Ch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89-89
    • /
    • 2023
  • 인간 활동에 의해 발생한 전 지구적 기후변화는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군락을 기반으로 서식하는 동식물은 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하며, 대부분의 군락 위치가 북상하거나 멸종 위기에 처해있다. 2022년에 발표된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보고서는 섭씨 5도 이상 상승하면 생물군의 60%가 멸종될 것이라고 보고하였으며, 고위도와 고도로 이동하여 봄철 식물 성장이 과거보다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따라서, 온실가스 농도에 따른 전 지구적 기후변화 분석은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가능한 완화 및 적응 정책을 결정하는데 필요하다. 본 연구는 SSP2-4.5와 SSP5-8.5를 이용하여 Koppen-Geiger의 기후대 분류에 따른 전 지구 규모(아시아, 유럽, 남아메리카, 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 아프리카)의 과거 및 미래 기후대에 대한 변화를 분석하였다. 과거 기간의 기후대를 추정하기 위해 25개 CMIP6(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6) GCM(General circulation model)의 월 단위 강수량과 표면 온도를 사용하였으며 6개의 기간으로 구분하여 기후대 변화를 비교하였다. 더 나아가, 미래 기후대를 예측하기 위해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s)2-4.5와 SSP5-8.5의 미래 기후변수를 사용하였으며, 전망 기간을 7개로 구분하여 전망 기간의 기후대를 변화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온실가스 농도가 높은 시나리오에서는 북아메리카, 아시아, 유럽의 툰드라와 영구동토층이 가파르게 감소하였으며, 온대 기후 중 습한 아열대 기후대의 면적이 급속도로 증가하였다. 더 나아가, 남아메리카의 경우 대륙성 기후대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반면에 열대 우림 기후대는 증가한다. 오세아니아의 미래 기후대는 몬순의 영향을 받는 아열대 기후대가 증가하고 열대 우림은 증가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 PDF

Primary Food Commodity Classification of Processed Foods of Plant Origin in the Codex Food Classification (코덱스 식품 분류에서 식물성 가공식품의 원료식품 분류)

  • Mi-Gyung, Lee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7 no.6
    • /
    • pp.418-428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the codex classification information on the primary food commodity (fresh state) of processed foods of plant origin that are included in the Codex Classification of Foods and Animal Feeds. Furthermore, whether or not the primary food commodity is included in the primary food classification from the Food Code of Korea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dex Classification information (number of classification codes/number of the primary food commodity group that fresh commodities of processed foods are classified/number of primary food commodity that is not included in the Codex Classification) by a processed food group appeared to be 46/8/0 for dried fruits, 76/11/1 for dried vegetables, 54/4/12 for dried herbs, 36/1/0 for cereal grain milling fractions, 17/4/3 for oils and fats (crude), 34/8/9 for oils and fats (refined), 20/8/0 for fruit juices, 3/2/0 for vegetable juices, and 19 codes for teas (in the Codex Classification, the primary food commodity group for tea does not exist). Second, the number of the primary food commodities not included in the Food Code of Korea was 9 for dried fruits, 14 for dried vegetables, 35 for dried herbs, 0 for cereal grain milling fractions, 6 for teas, 3 for oils and fats (crude), 9 for oils and fats (refined), 2 for fruit juices, and 0 for vegetable juices. Third, it was demonstrated that caution should be exercised when using Codex Classification due to differences in food classification between Codex and Korea, such as coconut (Codex, as tree nut as well as assorted tropical and sub-tropical fruit) and olive (Codex, as assorted tropical and sub-tropical fruit as well as olives for oil production), as well as special cases in the Codex Classification, such as dried chili pepper (Codex, as spice), tomato juice (Codex, as vegetable for primary food commodity and as fruit juice for juice) and ginger (Codex, as spice for rhizome and not including as primary commodity for leaves).

Studies on Removal of Water Pollutants by Aquatic Plants II. Removal of Water Polluted Nutrients and Heavy Metals by Water Hyacinth (수생식물(水生植物)을 이용(利用)한 수질오염원제거(水質汚染源除去)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2보(第2報) 부레옥잠의 영양염류(營養鹽類) 및 중금속(重金屬) 제거효과(除去效果))

  • Lee, Kyu-Seung;Kim, Moon-Kyu;Pyon, Jong-Yeong;Lee, Jong-Sik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 /
    • v.5 no.2
    • /
    • pp.149-154
    • /
    • 1985
  • Removal of water pollutants by water hyacinth was examined with two nutrients, $NO_3$-N, $PO_4$-P and four heavy metals, Cu, Pb, Cd, Cr under laboratory conditions. $NO_3$-N was reduced to 0.7, 0.9 and 1.2 ppm, and 0.1, 0.2 and 0.5 ppm in $NO_4$-P from 10, 25 and 50 ppm 3 days after treatment, respectively. Among heavy metals Cu and Pb were removed faster and higher than Cd and Cr and also amount of heavy metals absorbed by water hyacinth was higher in the order of Cu > Pb > Cr > Cd.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this plant was higher in roots than in leaves and amount absorbed in roots was related to the treated concentrations. The harmful effect on growth of water hyacinth was observed in Cu and Cd.

  • PDF

희귀식물 무주나무(Lasianthu japonicus Miquel)의 특성과 자생지

  • 이은주;문명옥;강영제;김문홍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2.11b
    • /
    • pp.76-76
    • /
    • 2002
  • 무주나무(Lasianthus japonicus Miquel)는 일본, 대만, 중국 등에 분포하고 열대 및 아열대의 상록활엽수림에서만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제주도 남쪽계곡에만 분포하는 희귀식물이다. 무주나무는 현재 환경부 지정 보호야생식물로 보호되고 있으나 개체특성 및 자생지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이루어진 바 없다. 본 연구는 무주나무의 자생지 현황과 생육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무주나무의 자생지는 제주도 남제주군 남원읍 하례리 해발 250m의 계곡 동사면과 서귀포시 돈네코 계곡의 해발 350 m 계곡의 서사면 등 2개소로 확인되었다. 자생지별 개체수는 남원읍 하례리 4개체, 서귀포시 돈네코계곡 5개체 등 총 9개체에 불과하였다. 자생지는 계곡의 상록수림 하부에 바위 위 부엽토나, 습한 계곡 사면이었으며, 교목층에는 구실잣밤나무, 비쭈기나무, 황칠나무, 동백나무 등이 우점하고, 관목층에는 사스레피나무, 백량금, 산호수 등이 우점하는 상록활엽수림이었다. 분포 개체의 수고는 최소 0.4 m, 최대 1.55 m로 평균 1.5 m 였다. 생장특성을 조사한 결과 줄기는 어릴 때는 사각형이지만 점차 원형으로 되며, 일정한 마디가 있고 털이 없으며, 잎은 대생하고, 혁질이며, 중륵과 측맥이 뚜렷한 특성을 갖고 있었다. 열매는 장과형으로 성숙 시에는 남색이며 털이 없으며, 직경 약 6-7 mm, 4-5개의 종자가 들어 있었다. 종자는 반달형이며, 3개의 홈이 지는 특성을 갖고 있었다. 현재의 자생지는 자연적인 요인으로서 토양유실이 심하게 일어나고 있는 지역이었으며, 교목 또는 다른 관목에 의한 피압으로 무주나무의 생장에 부적절한 환경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자생지의 적절한 식생관리와 지속적인 자생지 조사 및 자생지외 보존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생각된다.$I_{NO}$ 가 죽절초를 제외한 3종에서 여름철 낮시간에 증가하였다. 겨울철의 O-J-I-P곡선은 모든 종에서 낮시간에 다소 낮아지지만 큰 변화는 없었다. 그리고, 문주란, 박달목서, 파초일엽에서 $\psi$o/(1-$\psi$o)가 낮시간에 다소 증가하였다. 이로부터 P $I_{NO}$ , SF $I_{NO}$ , $\psi$o/(1-$\psi$o)등의 변수는 식물의 활력도를 검정하는 지표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irc}C$) 까지 동시에 냉각된 사실을 지시한다. 각섬석 편암내의 각섬석들은 복잡한 40Ar/39Ar 연대를 보여주며 일부가 평형연대를 보여주지만 특별한 의미 부여가 힘들다.해예방행동을 촉구하는 등의 효과도 높은 것으로 예방의학적인 유용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대두 단백질로 코팅된 golden delicious는 상온에서60일 동안 보관하였을 경우, 사과표피의 색도 변화를 현저히 지연시킴을 확인하였다. 또한 control과 비교하여 성공적으로 사과에 코팅하였으며, 상온에서 보관하여을 때 사과의 품질을 30일 이상 연장하는 효과를 관찰하였다. 이들 결과로부터 대두단백질 필름이 과일 등의 포장제로서 이용할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로 [-wh] 겹의문사는 복수 의미를 지닐 수 없 다. 그러면 단수 의미는 어떻게 생성되는가\ulcorner 본 논문에서는 표면적 형태에도 불구하고 [-wh]의미의 겹의문사는 병렬적 관계의 합성어가 아니라 내부구조를 지니지 않은 단순한 단어(minimal $X^{0}$ elements)로 가정한다. 즉, [+wh] 의미의 겹의문사는 동일한 구성

  • PDF

Photochemical Damage and Responses of Antioxidant Enzymes in Rice Leaves Induced to Light-Chilling (Light-chilling에 의해 유도된 벼 잎에서의 광합성 변화와 항산화 효소의 반응)

  • Koo, Jeung-Suk;Choo, Yeon-Sik;Lee, Chin-Bum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9 no.4
    • /
    • pp.442-448
    • /
    • 2009
  • We investigated photooxidation and responses of antioxidant enzymes involved in scavenging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fter light-chilling ($4^{\circ}C$) for 2 days and post chilling ($25^{\circ}C$) in rice leaves. Chilling leaves indicated a 50% reduction in photosynthetic efficiency ($F_v/F_m$ ratio) and a 48% increase of $H_2O_2$,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glutathione reductase (GR) increased at light-chilling and post-chilling. CuZn-SOD and Mn-SOD among SOD forms were detected in rice leaves, while Fe-SOD was not found. The increase of SOD and GR activity may serve as a basis for defense against chilling injury as it dismutase superoxide generated by light-chilling. Catalase (CAT) activity decreased during light-chilling, while activity of APX showed remarkable increase during light-chilling in rice leaves. Among CAT isoforms analyzed by 10% native PAGE, activities of isoform -2 and -3 were inhibited during light-chilling. From the elevated APX activity and decreased CAT activity, we suggest that these two enzymes show mutual supplementary relationships, indicating different tendency during light-chilling.

Study on Manufacturing Emulsion Oil Using Biodiesel Feedstock Oil Production By-product (바이오디젤 원료유 생산 부산물을 이용한 유화유 제조 연구)

  • Kim, Deogkeun;Jeon, Sanggoo;Yoon, Sangjun;Park, Soonch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06.2-106.2
    • /
    • 2010
  • 동식물성 기름과 메탄올의 전이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생산되는 바이오디젤은 환경친화성과 지속가능성이 인정됨에 따라 그 생산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어 대두유, 유채유, 팜유 등의 원료유 부족과 가격 상승, 수급 불안정 등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유리지방산 함량이 높은 저가유지 자원(폐식용유, 폐돈지, 폐우지, soapstock, trapped grease)과 새로운 오일 작물을 이용한 생산 기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활용 해외 열대작물 씨앗에서 착유한 식물성 오일을 정제하여 바이오디젤 원료유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폐유, 폐수)의 경제적 처리 방안으로 유화유 제조 원료(벙커C유, 물)와 유화유 제조 첨가제(무기계, 유기계)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열대작물 오일의 물성 분석 결과 고형물, 수분, 인지질(phospholipid), 유리지방산(free fatty acid) 함량이 기존 원료유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인지질은 바이오디젤 제조 반응후 에스테르와 글리세린의 층분리를 방해하고 유리지방산은 염기촉매와 결합하여 지방산염을 생성해 생산 수율을 감소시킨다. 고형물과 수분 역시 촉매반응에 악영향을 가지나 여과와 감압증발에 의해 쉽게 제거가 가능하다. 유리지방산은 산촉매 에스테르화 반응에 의해 제거가 가능하다. 인지질은 탈검(degumming) 과정을 통해 제거하며 탈검은 수용성 탈검, 산 탈검, 세정 공정으로 구성된다. 착유한 원료유의 고형물을 제거 후 물과 수세하여 수용성 인지질을 수화하여 층 분리해 제거하고 상층의 오일은 추가적인 산 탈검을 수행한다. 그 뒤 세정을 통해 사용된 탈검제인 산과 추가적으로 수화된 인지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3단계의 탈검 과정에서 하층으로 오일과 물이 폐기물로서 배출되며 본 연구에서는 배출 폐기물을 다시 층분리하여 오일층과 물 층으로 구분하여 유화유 제조에 사용되는 벙커C유, 물, 그리고 기존 유기계 및 무기계 유화제의 대체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유화 연료유는 기름과 물을 균일한 분산상으로 혼합한 연료유로 연소시 오일계 성분의 미연분을 감소시켜 연료 효율 제고와 배출가스 성상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되어 왔다. 본 발표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상용 첨가제 및 바이오디젤 원료유 생산 폐기물을 활용해 유화 연료유를 제조하였으며 각 유화유의 장시간의 상(phase)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바이오 폐기물 중에는 천연 계면활성제(surfactant)인 인지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기존의 무기계 및 유기계 유화제보다 상 안정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바이오디젤 원료유 생산 공정의 폐기물인 폐유과 폐수의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easonal phytoplankton dynamics in oligotriphic offshore water of Dokdo, 2018 (2018년 독도 주변 빈영양 수괴에서 계절별 식물플랑크톤 동태)

  • Lee, Minji;Kim, Yun-Bae;Kang, Jung Hoon;Park, Chan Hong;Baek, Seung H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7 no.1
    • /
    • pp.19-30
    • /
    • 2019
  •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easonal environment and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in the coastal area of Dokdo, a survey of Dokdo around waters was conducted during the four seasons. Phytoplankton of 4 phylum 72 species in four seasons were collected in Dokdo around water. The seasonal mean abundance of phytoplankton were $3.32{\times}10^4cells\;L^{-1}$ in winter, $1.04{\times}10^4cells\;L^{-1}$ in spring, $0.28{\times}10^4cells\;L^{-1}$ in summer, and $4.86{\times}10^4cells\;L^{-1}$ in autumn in Dokdo around water. During winter, the diatoms Chaetoceros spp. had dominated. During spring, when the nutrients in the euphotic layer were depleted, the nano-flagellates and Cryptomonas appeared at surface layer. In summer, the abundance of phytoplankton was relatively low, which lead to occurrence of diatoms such as genus of Chaetoceros, Rhizosolenia, and Skeletonema. In autumn, Pseudo-nitzschia spp.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and tropical species such as Amphisolenia sp. and Ornithocercus magnificus were observed, implying that they may have introduced within warm water current such as Kurosiwo Current. Therefore, although natural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vicinity water of Dokdo are mainly influenced by Tsushima Warm Current branched Kurosiwo Current, their population dynamics was affected on the spatio-temporal change of physicochemical factors by short-term wind events, namely "island effect". Long-term survey research is needed to facilitate food-web response in marine ecosystem associated with phytoplankton biomass and physicochemical factors including the warm water current in oligotrophic offshore water of Dokdo, which may have significant role for sustainable use of Dokdo.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the Korean Green Tea Industry (한국녹차 산업의 현황과 전망)

  • Oh, Mi-Jou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11-11
    • /
    • 2012
  • 차나무(Camellia sinensis (L.) O.Kuntze)는 열대, 아열대, 온대지역에서 자라는 교목 또는 관목의 영년생 상록수이다. 차는 초기 약효에 의하여 이용하기 시작하였으나 현대에 이르러 그 독특한 풍미로 인하여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음용하는 중요한 기호음료이다. 강우량이 많고 따듯한 곳에서 생육이 왕성한 차나무는 현재 한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의 온난지역, 남아메리카, 아프리카 및 러시아 등지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2,000년의 역사를 가지는 한국의 차산업은 주로 경남과 전남, 전북, 제주 등지에서 재배 생산되고 있다. 1970년대 이후 생활수준의 향상과 함께 점차적으로 수요가 늘어나면서 생산량은 1970년 55톤에서 1993년 617톤, 2010년 3,586톤으로 약 65배 이상 증가하였다. 차산업은 찻잎을 원료로 한 생활용품 등 다양한 가공품의 생산과 문화산업, 관광산업까지 포함하는 고부가가치 작목으로 매년 재배 면적이 크게 증가하였다. 최근에는 재배면적의 급속한 증가와 수입확대, 소비환경의 변화로 산지 재고가 증가하는 등 녹차 재배 농가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어 향후 수급 불균형이 우려되고 있다. 세계의 차 무역량은 연간 약 160만 톤, 재배면적은 약 256만 ha, 생산량은 약 320만 톤에 달한다. 아직까지는 수입 녹차에 대한 높은 관세율(514%)의 보호 아래 있지만, 중국이나 일본 등에 비해 가격, 품질, 상품개발 면에서 뒤떨어져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외국에서 수입되고 있는 다양한 차들이 소비자의 기호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상황이다. 향후 차시장의 전면적인 개방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경쟁력 있는 수출전략과 함께 국내 산업을 안정적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전력을 모색해야한다. 주요 차생산국의 다원은 15도 이내의 경사지에 생성되어 있으나 30도 내외의 경사지도 다원 조성에 무리가 없다. 우리나라는 약 200만ha의 경사지를 포함하고 있어 차재배지 확대에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 PDF

Lack of allozyme variation in the two carnivorous, terrestrial herbs Utricularia bifida and Utricularia caerulea (Lentibulariaceae) co-occurring on wetlands in South Korea: Inference of population history (한반도 남부 지방 습지에 같이 자생하는 식충 육상 초본 2종 땅귀개 및 이삭귀개 (통발과)의 알로자임 변이의 결여: 집단의 역사 추론)

  • Chung, Mi Yoon;Lopez-Pujol, Jordi;Chung, Myong Gi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7 no.4
    • /
    • pp.297-303
    • /
    • 2017
  • In central and southern Korea, the two small insectivorous, terrestrial herbs, Utricularia bifida and U. caerulea, often co-occur at wet locations (or in wetlands). The Korean Peninsula (with central China and northern Japan) constitutes the northern edge of their distribution, as their main range is subtropical and tropical Asia. The Korean populations of both species are very likely of post-glacial origin, given that warm-temperate vegetation was absent from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Last Glacial Maximum. Two hypotheses of the post-glacial colonization of the peninsula can be formulated; first, if current populations were founded by propagules coming from a single ancestral population (i.e., a single refugium), we would expect low levels of genetic diversity. Alternatively, if contemporary Korean populations originated from multiple sources (multiple refugia), we would expect high levels of genetic variation. To test which is more likely, we surveyed the degree of allozyme variation at 20 loci in ten populations for each of the two species from southern Korea. We found no allozyme variation within each species. However, their aquatic congener U. australis exhibited allozyme polymorphism across Japan (four polymorphic loci at three enzyme systems). We suggest that southern Korean populations of Utricularia bifida and U. caerulea were established by a single introduction event from a genetically depauperate ancestral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