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열대식물

Search Result 10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Methods for Pest Control of Tropical Plants in the Greenhouse: Application of Natural and Auxiliary Plants Mix (온실 내 천적을 통한 해충 관리연구 - Acalypha hispida 등 8종의 관상식물을 중심으로)

  • Ahn, TaiHyeon;Goh, YeoBin;Bae, JunKyu;Lee, JeongHo;Lee, KiCheo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9-49
    • /
    • 2019
  • 국립수목원은 열대유용식물의 BT산업 원천소재 확보 제공을 목적으로 열대자원연구센터를 건립하여, 열대 및 아열대 전시원을 관리하고 있다. 온실의 특성상 일반 재배환경과는 다르게 여러 종류의 식물의 혼합 식재되어 있는 특성이 있어서 농업환경과 달리 해충의 급격한 돌발에 의한 온실 전체적인 피해의 위험성이 적은 반면에 안정된 환경으로 인해서 해충의 취약한 몇몇 수목의 경우 해충이 급격히 늘어날 수 있다. 본 실험은 여러 종류의 식물이 혼재되어 있는 수목 온실 내에서 생물적 방제를 이용하여 주요 해충류인 진딧물류 및 가루 깍지벌레, 잎응애류 방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진행되었다. 진딧물이 집중적으로 발견된 열대식물 5종(Acalypha hispida, Justicia gendarussa, Hamelia patens, Ficus petersii, Hibiscus rosa-sinensis)을 중심으로 천적 방사 및 Banker plant 설치를 진행했다. 최초 조사일인 2015년 3월 10일, Tropical 1에 진딧물류의 발생이 많이 확인되어 포식성 천적인 미끌애꽃노린재를 투입했다. Tropical 2는 2015년 3월 17일 기생성 천적인 콜레마니진디벌과 선발된 Banker plant를 적용하여 방제 되었다. 철모깍지벌레가 발견된 열대식물 3종(Sanchezia parvibracteata, Brillantaisia lamium, Pseuderanthemum atropurpureum)을 중심으로 적용 천적으로 어리줄풀잠자리, 애홍점박이 무당벌레와 깍지무당벌레를 선별했다. 천적을 대상으로 철모깍지벌레에 대한 포식능력을 조사했으며 애홍점박이 무당벌레가 어리줄풀잠자리 보다 2.8배, 깍지무당벌레보다 2.9배 포식능력이 뛰어남을 확인했다. 잎응애류가 발견된 열대식물 2종(Acalypha wilkesiana, Erythrina caffra)은 천적으로 사막이리응애와 칠레이리응애를 적용하였다. 괭이밥응애 성충과 알의 포식력을 검증한 결과 사막이리응애가 괭이밥응애를 먹이로 증식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괭이밥, 괭이밥응애, 사막이리응애를 효과적으로 조합한 응애류 방제를 위한 새로운 Banker plant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는 열대온실의 열대식물 관리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종합적 방제의 관리 자료로 이용되어 새로이 온실을 조성하는 경우 식재기반조성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추후 열대식물의 자원 식물로서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Myanmar Plants as Garden Plants (정원소재로서의 미얀마 유용 및 관상식물 수집·활용에 관한 연구)

  • Ahn, Tai Hyeon;Goh, Yeo Bin;Jin, Hye Young;Bae, Jun Gyu;Lee, Ki Cheol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3 no.4
    • /
    • pp.404-416
    • /
    • 2020
  • Studies on the preservation and propagation of tropical and subtropical plants are required, but the studies are insufficient in Korea. Since 2013, the Tropical Plant Resources Research Center has been collaborating on field research and publication to preserve plant diversity in Myanmar protected areas and Sagging areas in cooperation with 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the Myanmar Forest Research Institute.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cooperative projects. As a result of the joint research between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Myanmar, in December 2018,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Tropical Plant Resources Research Center is on display for conservation and education purposes with the 65 Myanmar useful materials and specimens of 326 kinds of plants and specimens that Myanmar Forest Research Institute donated. This donation is the first case of Myanmar's export of plant organisms to a foreign country, and as for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it is the second official case of introducing a mass plant from foreign governments. The study will also accelerate preservation biodiversity and propagation methods of tropical and subtropical plants as well as research on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industrial use.

Collection and Exhibition of Useful Plant Resources in Myanmar (미얀마 유용식물자원 수집 및 전시 활용)

  • Ahn, TaiHyeon;Goh, YeoBin;Bae, JunKyu;Lee, JeongHo;Lee, KiCheo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7-47
    • /
    • 2019
  • 미얀마 Indo-Burma 지역은 13,500종의 식물종이 분포하고 있는 생물다양성 핫스팟이다. 북부 산악지역에서 남부의 망그로브 지역에 이르는 다양한 특성의 생태계로 구성되어있다. 그러나, 풍부한 생물 다양성은 인간에 의해 인위적인 간섭, 개발, 모노크림 재배와 같은 지속적인 삼림 벌채로 위협 받고 있다. Dprovidedc와 Krupnick (2018년)은 123과 472종의 미얀마 약용식물을 학명, 영명, 미얀마 식물명 그리고 미얀마 현지에서 쓰이고 있는 약용식물의 활용 및 보존 상태를 종합적으로 정리했다. 이 중 약 13%가 보존 상태에 대한 평가를 받았으며 IUCN의 멸종 위기 종 목록(IUCN2017)에 등재되었다. 비록, 전국에 다양한 식물 및 생물 다양성이 분포되어 있지만, 미얀마는 여전히 지속 가능한 관리와 사용을 위한 인적자원과 시설이 부족하다. 국립수목원(KNA)은 2013년부터 미얀마 천연자원환경보전부(MINISTRY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MONREC)와 미얀마 산림과학원(Forest Research Institute, FRI)과 함께 미얀마 보호지역 및 Saggaing 지역 내 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공동 현장조사, 연구 및 출판 등의 협력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국립수목원(KNA)는 약용으로 가치가 있는 미얀마 식물 생체를 수집, 현지외 보전 중이며 이중 65과 326종의 식물 생체를 국립수목원(KNA)에 있는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에 보존과 교육 목적으로 전시 중이다. 이 기증은 미얀마에서 식물생체를 국외로 반출한 첫 번째 사례이며 국립수목원(KNA)은 2008년 독일에서 열대식물을 기증받은 사례 다음으로 두 번째로 외국 정부의 공식적인 대량 식물 도입 사례이다. 도입한 식물 중 Santalum album L. 과 Amorphopallus paeoniifolius (Dennst.) Nicolson. 은 IUCN Red List of Threated Spiences (IUCN2017)에 취약(Vulnerable, VU), 관심필요(Least Concern, LC)로 분류되어 있다. 국립수목원 (KNA)는 2019년 6월 17일 개최된 "2019 아태지역 산림주간 및 28차 아태지역 산림위원회"에 참가하여 미얀마 도입식물 전시회를 개최 하였고, 국내 최초로 Amorphopallus paeoniifolius (Dennst.) Nicolson.의 Leaf Cycle을 타임랩스 촬영하여 국립수목원 웹진(10월 호) 과 YouTube에 연구성과를 홍보하고 있다. 또한 국립수목원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는 2,700여종의 미얀마, 라오스 등 무한한 가치를 지닌 열대식물의 수집 보전으로 기초 응용 연구기반을 구축하여 국민들에게 열대식물의 중요성과 잠재적인 자원가치를 알리는 역할을 하고 있다.

  • PDF

열대식물 (파푸아 뉴기니아산)의 항암작용연구

  • 장일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2.05a
    • /
    • pp.19-19
    • /
    • 1992
  •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추세에 있는 악성종양은 우리나라의 3대 사망원인 질환의 하나이다. 그러나 현재 암의 화학적 치료법은 40여종의 암치료제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그 효과면에서 한계점에 도달하고 있어 식물추출물, 해양식물, 미생물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천연물 성분에서 강력하고 부작용이 적은 항암제를 발굴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외에서 많이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파푸아뉴기니아산 열대식물 13과 23종의 항암작용을 검색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는데, 실험동물은 ICR계의 암컷생쥐를 이용하였으며 Sarcoma 180 동물복수암세포에 대한 열대 식물 엑스 투여에 의한 수명 연장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항암작용의 지표로 삼았다. 항암작용의 지표는 ILS(Increased Life Span)를 사용하였으며 ILS가 20%이상인 것을 항암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실험의 결과 Apocynaceae에 속하는 Plumiera rubra의 줄기껍질 및 잎 추출물 Leguminosae과의 Pterocarpus indicus의 잎 추출물과, 같은 과의 Derris trifoliata, Moraceae과의 Artocarpus altilis의 뿌리 및 줄기 껍질, 잎 추출물과 Sterculiaceae과의 Kleinhovia hospita의 잎 추출물, Verbenaceae과의 Vitex trifolia의 5과 5종 8시료가 의의있는 항암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열대의학과 기생충 질환

  • Chae, Jong-Il
    • 건강소식
    • /
    • v.9 no.11 s.84
    • /
    • pp.18-21
    • /
    • 1985
  • 열대의학이란 열대성 질환을 비감염성 각종 장기의 질환, 감염성질환, 독성식물 및 동물에 의한 중독질환, 영양결핍증 및 열과 관계된 질환(일사병)등으로 기술할 수 있다. 특히 원충 및 요충 감염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Growth-inhibitory Responses of Human Intestinal Bacteria to Extracts from Indian and African Plants (인도산 및 아프리카산 식물체 추출물의 장내세균에 대한 생육억제 반응)

  • Park, Suck-Joon;Choi, Don-Ha;Cho, Hyung-Chan;Hiremath, I. G.;Ahn, Young-Joon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41 no.1
    • /
    • pp.104-109
    • /
    • 1998
  • Methanol extracts from 84 Indian plant samples (50 species in 31 families) and 27 African plant samples (20 species in 12 families) in vitro were tested for their growth-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Bifidobacterium bifidum, Bifidobacterium longum, Lactobacillus acidophilus, Clostridium perfringens, and Escherichia coli, using a paper disc agar diffusion method under $O_2-free$ conditions. The responses varied with bacterial strain, plant species and plant part. Extracts from Cymbopogon citratus whole plants, Ocimum basilicum whole plant, Madhuca indica flowers, and Aegle marmelos leaves among Indian plant samples moderately or strongly inhibited the growth of Cl, perfringens whereas moderate growth-inhibitory activity against E. coli was obtained from extract of Indian O. basilicum whole plants. These plant extracts did not affect the growth of the lactic acid forming bacteria tested. These results may be an indication of at least one of the pharmacological actions of these tropical plants.

  • PDF

파푸아뉴기니아산 열대 식물의 항변이원성 연구

  • 장일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3.04a
    • /
    • pp.126-126
    • /
    • 1993
  • 암을 유발시키는 원인은 생물, 물리, 화학적 요인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근자에 들어 산업후에 따르는 환경오염의 증가는 화학적 원인에 의한 발암가능성을 증대시키고 있다. 이러한 화학적 인자의 발암 기전 중 많은 부분이 유전자에 상해를 일으킴으로써 암을 발생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항암실험을 수행하였던 파푸아뉴기니아산 열대식물 13과 23종 부위별 36시료에 대하여 항변이원성 검색실험을 통하여 유전독성을 가진 화학적 요인에 의한 발암 가능성에 대한 예방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발암에 대한 예방약물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Establishingment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utilizing system (천연물식물자원의 활용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CHOI, SANGHO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19-19
    • /
    • 2019
  • 전 세계 고등 식물자원은 약 350,000종, 한반도 식물자원은 약 4.500~5,000종 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2018년 8월부터 국내에도 나고야의정서 발효되어 국내 산학연 연구자들의 해외생물자원 활용을 통한 연구개발에 장벽이 높아졌습니다. 저희 한국생명공학연구원에서는 지난 2001 ~ 2010년 동안 자생식물이용기술개발사업단을 운영하여 국내 유용식물자원을 확보하여 추출물 또는 건조시료 형태로 연구자들에게 분양을 해오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생물소재센터에서는 2006년부터 현재까지 해외 36개 국가와 국제공동연구협약을 체결 하여 ABS 규정에 따라 약 35,000종의 식물자원을 확보해 오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 4개 국가(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코스타리카)에 거점센터를 구축하고 박사급 연구자를 파견하여 열대식물 자원전문가로 양성해오고 있습니다. 4개 거점센터에서는 국내 바이오 기업들의 산업화 지원을 위하여 야생종의 대량재배 시스템 구축 및 원료 표준화 작업을 지원해오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산학연 연구자들에게 누적 3,000,000점(1점 : 20mg)이상의 해외추출물을 분야하여 식물자원을 활용한 연구개발을 지원해 오고 있습니다.

  • PDF

A preliminary study on the biological control of Tetranychus urticae in Erythrina caffra, Phytolacca dioica by Phytoseiulus persimilis Anthias-Henriot (Acarina: Tetranychidae, Phytoseiidae) in green house (열대 관상식물, Erythrina caffra와 Phytolacca dioica을 가해하는 점박이응애를 방제하기 위한 칠레이리응애의 적용 가능성)

  • Ham, Eun Hye;Lee, Jun Seok;Lee, Bong Woo;Ahn, Tae Hyun;Choi, Young Chul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52 no.2
    • /
    • pp.155-158
    • /
    • 2014
  • Biological control of Tetranychus urticae by Phytoseiulus persimilis was carried out on tropical plant (Erythrina caffra, Phytolacca dioica) from April to July. Experiments were conducted at Tropical Plant Resources Research Center of Korea National Arboretum. Phytoseiulus persimilis (200 individual/tree) was released once (12. May) to control Tetranychus urticae. We measured the density of leaf-feeding T. urticae at intervals of approximately 2weeks after introducing P. persimilis. The densities of T. urticae were suppressed 10%, in Erythrina caffra and 49% in Phytolacca dioicas after 2 weeks introducing them.

열대농업은 왜 필요한가?

  • 손상목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10 no.5 s.92
    • /
    • pp.10-16
    • /
    • 1989
  • 국제화 시대에 우리는 여러 측면에서 미증유의 많은 대내외적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하에서 우리는 새로운 세기의 열대농업에 대한 인식을 재정립함으로써 민족번영의 활로를 열어야겠다. 열대농업 제분야에 대한 국가적인 관심과 노력 그리고 사업추진은 국력의 신장, 수출시장의 개척, 식량 및 원자재의 안정적 확보, 민족의 세력권 확대, 개발도상국 식량문제 해결 및 세계 평화와 공존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