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화문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19초

전통혼례복 문양을 응용한 웨딩드레스에 관한 연구 - 연화문, 당초문, 모란문 중심으로 - (The study of Wedding Dress by Applying the Pattern of Traditional Wedding Dress - Focused on Lotus flower, Arabesque, Peony Patterns -)

  • 장문희;홍정민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7-103
    • /
    • 2008
  • This research thesis is designed to put Korean traditional and unique wedding dress with a greater significance and value than any other dress into application right for the global and contemporary trend, as part of a bid to show Korean traditional beauty. To do it, this thesis has attempted to add the traditional beauty to Korean inherent wedding dress and contemporary wedding dress, with the use of various traditional beauty elements, such as the line firm, materials and color based on the research on wedding dress, such as, 'Wonsam' or 'Unlined Jacket, and 'Long-sleeve Red Silk Jacket', and 'Dangeu' or 'Court Suit' that women wore in the Joseon Dynasty. To recreate Korean traditional beauty of line this research thesis has firstly put into the application the sleeve of 'Wonsam' or 'Unlined Jacket' and the form of a large section of 'Wonsam' of 'Unlined Jacket', and 'Doreyon Line' or 'Trimming Line' of 'Dangeu' or 'Court Suit' as wedding dress that women wore in the Joseon Dynasty. Secondly, this thesis has applied lotus and peony patterns out of traditional ones inlaid with 'Long-Sleeve Silk Jacket' into the contemporary wedding dress to develop a creative and special design. Thirdly, regarding the expressive pattern technique, this thesis has designed the repetitive rhythmical pattern with the use of beading technique and embroidery technique, which makes needle work picture and pattern in fabric. Lastly, it can demonstrate the original and distinct Korean style in application of western wedding dress into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dress, by devising two collections of dress art pieces.

  • PDF

익산 입점리 1호분 출토 금동관의 제작기법 연구 (Study on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Gilt-bronze Crown Excavated from Ipjeom-ri Tomb 1, Iksan)

  • 이영범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0권
    • /
    • pp.1-12
    • /
    • 2018
  • 익산시 웅포면 입점리 1호분 출토 금동제유물 편들은 1986년 2월 마을 뒷산에서 한 고등학생에 의해 발견매장문화재로 신고되었고, 이에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긴급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금동대륜, 금동입식, 금동관모, 금동식리 등은 신고자에 의해 수습되어 있었다. 또한 발굴조사 당시 석실 내부가 심하게 훼손되어 많은 수의 금동제유물 편들은 정확한 출토위치를 알 수 없어, 지금까지도 금동관의 조합 관계가 확인되지 않고 있다. 중요 유물인 금동관모, 금동식리 등은 보존처리 후 편 접합을 통해 외형적 모습이 복원되었으며, 금속공예기법으로 새긴 봉황문, 물고기 비늘문, 연화문 등의 문양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글에서는 여러 편들로 파손되어 있는 금동제유물 편들에 대한 특징적 요소와 제작기법을 소개하여 복원의 기초적 학술자료로 제공하고, 이 자료를 바탕으로 입점리 금동관의 원형이 복원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경간 Bromelain 효소의 견해서 및 정련효과 (Cocon Reeling and Refining Effect of Use by Stem Bromelain Enzyme)

  • 최병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권
    • /
    • pp.2-4
    • /
    • 1960
  • 파인앱플 과실에서 추출된 Bromelain이 단백질연화 효소로서 이미 알려지고 있는 바이지마는 기의 경간에서 Bromelain을 추출하게 된것은 극히 최근의 일이며 미국의 Dole Hawaian Pine Apple Co.에 의하여 개척된것이 최초로서 기연구결과도 공식적문헌상에 발표되어 있지않다. 과실 Bromelain은 비록 기작용이 우수하다하여도 생산비 관계로 상품화에 곤란성이 있었던 것이다. 본 효소는 O.E.C. 농업국 Kopf 박사의 주선으로 구득한 것으로서 견사해서 및 정련에 있어서 이미 Papain 효소에 의한 성적이 발표된바 있으나 수제 효소로 인한 고찰을 최초인 듯하다. (중략)

  • PDF

경주 남산 이조리귀부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Ijori Tortoise Pedestal of Namsan Mountain in Gyeong-Ju)

  • 이은석;조현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4호
    • /
    • pp.56-77
    • /
    • 2010
  • 경주 내남면 이조리에 소재하는 최진립신도비의 받침인 석제 귀부(龜趺)는 1740년경에 제작되었다는 기록이 있어 통일신라시대 귀부를 모사한 조선시대 작품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당시 제작되는 귀부 형식과는 다르고, 모사한 원 귀부의 형식은 어느 곳에서도 찾을 수 없는 모습들이 확인되고 있다. 첫째, 제작 과정을 기록한 '문루일기(門樓日記)'에는 비석을 먼저, 이후에 귀부를 제작했음이 밝혀져 있다. 그러나 비좌 삽입부가 작아 비석 양쪽 끝단을 잘라 삽입한 흔적이 보이며, 비석의 크기를 고려하지 않고 귀부와 비좌를 만들었다는 것은 공정상에 이해되지 않는 부분이다. 또한 비석 제작 부분은 구체적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백운대라는 사찰터에서 제작되었다고 할 뿐, 공정 내용이 언급되지 않은 점은 당시 실사를 하고 기록했는지 의심되는 부분이다. 둘째, 이조리귀부의 구름문양은 초기의 태종무열왕릉귀부와 서악리귀부 구름문에서 이행되는 시간상의 세리에이션(Seriation)을 잘 반영하고 있다. 비좌 주변을 장식한 연화문은 중앙에 형식화된 보상화가 표현된 것으로 통일신라시대 전성기인 8세기대 기와 등에 가장 잘 나타나던 문양이다. 셋째, 전진하는 모습의 이조리귀부는 지금까지 경주에 전해지는 귀부들에서도 찾기 힘든 생동감을 가지고 있으며, 일렬상의 귀갑문 배치는 이전 귀부의 문양 배치보다 훨씬 간결해지고 공간 활용을 고려한 발전된 형식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이조리귀부는 시기적 변화를 보여주는 문양 형식, 비신과 비좌의 불일치, 기록상의 고찰을 통해 볼 때, 18세기 조선시대 석공이 신라문양의 형식변화 등을 모두 고려하여 제작한 모사품이라기보다는 8세기 중반 경에 제작된 통일신라시대 귀부였음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질적, 양적 접근방법에 의한 연화문, 사문의 분류원형 추출 (Prototype Extraction for the Categorization of Lotus and Crane Patterns Us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es)

  • 장수경;김재숙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016-1026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protypes from features and concrete images of Lotus and Crane patterns. A qualitative and a quantitative methods were used. Qualitative informations were obtained from depth Interviews for pattern selection and feature extraction, and quantitative informations from a quail-experiment for pattern caregorization. The subjects were 20 female design students and non-design, students in Teajon. The results were summerized into a similarity metrix which was interpreted by the cluster analysis and the multi-dimensional scling(MDS). The patterns for the study were grouped into 8 clusters. Four dimensions were chosen for the MDS. The location of each pattern was visualized in a 2-dimesional spaces and the location of each cluster in a 3-dimensional spaces. The first dimension, "Lotus" vs "Crane" refired to pattern types, and the second dimension, "realistic" vs "transformable", the transformability. The third dimension, "simple" vs "complex", refired to the degree of simplification, and the forth dimension, "continuous" vs "discontinuous", continuity.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could be summerized into 3-level prototype hiararchy In the first level, the patterns were devided clearly into two groups. Lotus and Crane by pattern types. In the second levelk, each group was devided into twosubgroups by continuity. In the third, each subgroup was divided into four subgroups by transformability and the degree of simplification. Four protypes, the final targets of the present study, were extracted from the third level. The are Stylized, Realistic, Decorative, Abstract types.d from the third level. The are Stylized, Realistic, Decorative, Abstract types.

  • PDF

무령왕릉 출토 금동은제식리 보존처리 및 제작기법 (Conservation Treatment and Production Method on the gilt-bronze-and-silver shoes excavated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 장수비;최덕순;김성곤;곽홍인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6권
    • /
    • pp.119-142
    • /
    • 2021
  • 금동은제식리는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무령왕의 식리로 결실된 부분이 많아 재조사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되었다. 이에 과학적인 보존처리 및 분석을 진행하여 제작기법을 연구하였다. 보존처리는 형태 복원 및 편 접합에 중점을 두고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우측 식리 상연과 뒤축 일부 편을 접합하여, 결합방법 및 발등 결합에 사용된 원두정의 개수를 확인하였다. 성분 분석결과, 외판 등은 순동에 수은 아말감 금도금을 한 것으로 추정되며, 내판은 순은을 사용하였다. 금동은제식리의 주문양은 봉황문, 연화문, 6엽 화문이며, 전체적으로 연화문의 비율이 높다. 각 판의 결합은 영락사, 금동사, 원두정, 사면정을 사용하였다. 내·외판 결합은 영락사를 사용하였는데, 내측판의 중앙과 후면에는 금동사로만 결합하여 장식 기능과 결합 기능을 구분하여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제작과정에서 금동제판과 은제판의 외면에는 광쇠질한 흔적이 확인되지만, 은제판의 내면에서는 확인되지 않아 내면보다 외면의 마무리에 중점을 둔 것으로 추정된다.

환경의식의 측정을 위한 설문지 개발과 검증 (Devleopment and Verification of Questionnaire for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Attitude)

  • 우형택;엄붕훈;문연화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559-568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questionnaire for the measurement of environmental attitudes and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Development and valiadation of the 46 survey items that measure environmental attitudes were described. The total of 3 surveys were conducted and the total of 510 persons including diverse sample groups were questionnaired. The SAS $PC^+$ package program was used in both the reliability analysis and the validity analysis of surveyed data. Results revealed the very high reliability and the high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The reliability of the finalized questionnaire was increased to the level of Cronbach-$\alpha$ 0.92 after the repeated reliability analyses and revisions of the firstly and secondly designed questionnaires. The validity of our questionnaire was sufficiently affirmed through the use and aplication of factor analysis and known-groups technique.

  • PDF

단부 RC조와 중앙부 철골조로 이루어진 RS 보의 전단강도예측을 위한 해석모델 (Analytical Model for Shear Strength of RS Hybrid Steel Beams with Reinforced Concrete Ends)

  • 김욱종;문정호;이리형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602-609
    • /
    • 2001
  • 중앙부 철골조와 단부 RC조로 이루어진 혼합구조보인 RS보의 전단강도를 예측하기 위한 해석모델로서 Strut-and-Tie Model을 개발하였다. 또한 제안된 모델은 강재매입구간에서의 RC부위에 발생한 전단균열에 의한 콘크리트의 강도저하를 고려하기 위하여, 콘크리트의 연화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모델로 제안되었다. 제안모델은 전단균열이 발생된 혼합구조 보에서 평형방정식, 적합방정식, 구성방정식을 이용하여 전단강도를 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성재료의 파괴를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식에서 예측하지 못한 콘크리트의 파괴에 의한 전단강도를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석결과 예측전단강도대비 실험강도의 비가 평균 1.02, 표준편차 0.126의 매우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Glass ionomer cement초기 경화시 수분접촉의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EARLY WATER CONTACT ON GLASS-IONOMER CEMENTS)

  • 엄정문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18권2호
    • /
    • pp.507-513
    • /
    • 1993
  • 본 연구의 목적은 3종의 일반적 glass ionomer cement과 1종의 광중합형 glass ionomer cement을 자료로 하여 연화후 3, 5, 7, 10분 경과시켜 methylene blue용액에 침적하여 그침투를 측정하여 물의 영향을 관찰하고 이상의 시간과 관련하여 수분과 접촉시 그 용해도를 zinc phosphate와 polycarboxylate cement와 비교관찰하였다. blue stained zone은 모든 glass ionomer cement에서 나타났고 inner opaque zone은 두종의 regular glass ionomer cement에서만 나타났다. 연화시작부터 물에 침적시키는 사이시간이 연장되매 따라 모든 cement에서 두 zone의 후경이 감소하였고 regular glass ionomer cement의 면으로 부터 물질의 손실량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물질의 손실량에 대해서는 light curing glass ionomer cement는 시간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zinc phosphate cement파 polycarboxylate cement도 이와 유사성을 보였다.

  • PDF

대가야 시기 고령 고아리 벽화 고분의 보존 상태 연구 (The Research of Condition for Mural Tomb in Goa-ri, Goryeong in Gaya period)

  • 이경민;이화수;한경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8권4호
    • /
    • pp.44-61
    • /
    • 2015
  • 6C 대가야시기에 축조된 고령 고아리 벽화 고분의 보존 상태를 과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정밀하게 조사하였다. 광학적 장비를 활용하여 보존 상태를 조사하고 손상 유형에 따라 손상 지도를 작성하였다. 현실 및 연도 천장을 제외한 나머지 벽면은 백색 모르타르층이 대부분 박락되어 유실된 상태이며, 채색층의 흔적도 거의 관찰할 수 없다. 현실과 연도 천장에 남아있는 벽화의 경우는 연화문만 일부 확인되며 대부분은 도상의 형태가 파악이 불가능 할 정도로 손상되었다. 벽화에서 관찰되는 손상 유형 중 박락, 갈색 오염물, 피막의 손상 정도가 높게 관찰되었다. 연구 결과, 벽화의 손상요인은 벽화의 구성 물질인 모르타르의 다공질 특성과 외부 환경의 영향으로 인한 고분 내부의 수분 이동이 결부되면서 박리, 균열 등의 물리적 손상이 발생되며, 박락, 유실 등의 손상으로 심화되면서 토양 및 수분 유입에 의한 피막, 갈색 오염과 같은 2차 손상을 야기하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