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주기능

검색결과 98건 처리시간 0.021초

리코더 연주를 통한 뇌졸중 노력성 폐활량과 호흡 효율성 향상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Breath Efficiency & Lung Capacity Improvement Using Recorder Playing Focused on Breath Training)

  • 최성주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4권1호
    • /
    • pp.31-46
    • /
    • 2007
  • 본 연구는 노력성 호흡 훈련 중심의 리코더 연주하기 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노력성 폐활량과 호흡 효율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뇌졸중 환자에게 있어 노력성 폐활량과 호흡 효율성의 향상은 호흡 기능을 담당하는 체간 근력의 향상을 의미하는데, 체간 근력의 향상은 뇌졸중의 후유 장애인 자세, 보행, 호흡, 언어 장애에 개선효과를 가져오게 되므로 매우 중요한 가치를 가진다. 체간 근력은 생리학적인 운동이나 노력성 호흡 운동을 통해 강화시킬 수 있는데, 신체적 후유 장애를 갖고 있는 뇌졸중 환자에게 있어 노력성 호흡 운동은 매우 안전하고 유용한 방법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력성 호흡 운동이 절대적으로 이루어지는 리코더 연주하기 활동을 실시한 후, 이 활동이 뇌졸중 환자의 노력성 폐활량과 호흡 효율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신당구에 소재한 E 노인복지회관의 시설을 이용하는 뇌졸중 환자 중, K-MMSE의 진단 결과가 18점(경도의 인지기능장애) 이상이고, 호흡 훈련과 관련 된 다른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지 않은 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2006년 4월 06일부터 2006년 5월 19일까지 6주간에 걸쳐 매주 평균 3회, 각 50분 세션으로 총 19회에 걸쳐 실시하였고, 연구의 사전/사후에 폐 기능 측정도구인 이동성 폐활량 측정기(Spirovit SP-1, Schiller)를 이용하여 노력성 폐활량(FVC)과 호흡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호흡 효율성은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_1$)을 측정한 후,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FEV_1/FVC$)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통계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모든 통계처리는 SPSS Package를 사용하였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노력성 호흡 훈련을 중심으로 한 리코더 연주하기 활동은 첫째, 뇌졸중 환자의 노력성 폐활량(FVC)을 35% 증가시켰고 둘째,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_1$)을 40% 증가시켰으며 셋째,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FEV_1/FVC$)를 13%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본 연구 프로그램에서 사용한 노력성 호흡 운동 중심의 리코더 연주하기 활동은 뇌졸중 환자의 노력성 폐활량과 호흡 효율성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뇌졸중 환자의 호흡 능력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본 연구의 노력성 호흡 운동 중심의 리코더 연주하기 활동은 치료적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한국 남자 군인 기능성 방한복 내피 개발을 위한 실태 및 만족도 조사 (A Survey on Actual Wearing Condition and Satisfaction of Functional Inner Winter Uniform for Male Soldiers in Korea)

  • 김연주;김선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910-926
    • /
    • 2022
  • Suitability for the human body, freedom to move and thermal insulation are important design considerations in military clothing.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formance and wearer-satisfaction of the functional inner winter uniform currently used in Korea; it is hoped that our data can inform the development of a future vers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which the participants suggested various improvements. The uniforms were mainly worn for guard duty or as daily attire in cold weather. The participants chose how many layers to wear according to the current situation, rather than sticking to the layering recommended in the manual. Layering choic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ombat efficiency but were found to affect wearers' comfort. Wearers' satisfaction was found to depend on the convenience of the clothing, whether it was in the appropriate size, freedom to move and thermal insulation. Also, this study suggests a problem with the current size system, as the analysis of size distribution, across all sizes, the range of current production is insufficient to cover the demand.

개인용 전자비서 시스템을 위한 음성사서함의 구현 (An Implementation of Voice Mail System for Personal Electronic Secretary)

  • 유형근;김순협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2-69
    • /
    • 1993
  • 본 논문은 개인용 전자 비서 시스템을 위한 음성사서함의 구현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음성사서함 서비스는 단순한 메시지 축적서비스에 불과하다. 제안된 전자 비서 시스템을 위한 음성사서함은 음성 정보를 관련 데이터 베이스와 연계하여 개인정보관리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음성의 저장과 합성에 ADPCM과 LPC 음성 부호화 방식을 적용하였고, 음악합성에는 FM 음원을 사용하였다. 개인용 컴퓨터에 확장카드 형태로 제작된 제안된 시스템의 서비스 기능은 녹음, 편집, 저장 및 재생기능, 자동발신 및 메시지 전달기능, 동보기능, 자동수신 및 부재중 안내기능, 시보안내 및 음악연주 기능, 전화번호 및 스케쥴 관리등으로 구성되었다.

  • PDF

악기 종류에 따른 기능적인 연주복 디자인 연구 - 성인 여성의 하프 연주복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sign of Functional Playing Costumes - focusing on Female Harpist -)

  • 여승화;정삼호
    • 복식
    • /
    • 제54권4호
    • /
    • pp.75-84
    • /
    • 2004
  • Stage costumes perform not only the instrumental but also the expressive functions. The major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functional and aesthetic costume designs for musical player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struments. players’ postures. The scope of this study is restricted to the musical costumes for female adult soloists playing the wind and string instruments. This study is composed of theory research, empiricalresearch and manufacturing a real costume. First, theory research contains theory of musical costumes and that of pure musical areas. Concept, characteristics and wearing effects are analysed in theory of musical costumes. Second, designs of instruments and playing postures are analysed in the theory of pure musical areas. Proper and improper designs are compared based on the survey asking the favorite designs of 56 wind and string players. Third, I manufacture a stage costume for a harpis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ind and string players think the functionality of costumes more importantly than the esthetic sense. And there are differences in design preferences for different playing postures. Second, string Players basically use arms, fingers and the upper body. Wind players use fingers more than string players and do abdominal breathing. Third, string players think the design of arms and sleeves because of frequent usage of bow and prefer the design without sleeves. On the contrary, wind players think the silhouette importantly because of standing playing posture. Fourth, players don't think that the accessory is not important and want it so long as it doesn't hinder playing. Fifth, shoes plays more important role than costume in case of playing posture with using pedals and moving legs frequently. Lastly, both wind and string players prefer the design with simplicity and comfort most.

키넥트를 이용한 가상 바이올린 구현 (Implementation of Virtual Violin with a Kinect)

  • 신영규;강동길;이정철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85-9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키넥트의 3차원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종이 바이올린 지판과 손가락 끝점을 검출하고 활 움직임을 판정한 뒤, 이 정보를 이용하여 가상 바이올린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키넥트의 컬러영상과 깊이영상을 이용하여 먼저 바이올린 지판을 식별하고 손가락 끝점을 검출한 뒤 지판 정보와 사용자의 지판 누름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지판의 깊이 정보를 검출한다. 운지와 활 움직임 정보에서 음이름을 판정하여 PC MIDI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상 바이올린 연주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가상 바이올린 성능평가를 수행한 결과 높은 검출 정확도를 보였다. 구현된 가상 바이올린 기능을 활용하여 바이올린 연주 입력장치를 구현함으로써 PC기반 바이올린 연주시스템 구현의 편리성을 보였으며 악기 초보자가 PC 기반 바이올린 연주 학습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사보 프로그램의 적절한 반주 생성을 위한 알고리즘 (An Algorithm for Generating Suitable Accompaniment in Score-writers)

  • 남용욱;김용혁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31-39
    • /
    • 2016
  • 컴퓨터 기술이 발달하면서 악보 편집 작업을 할 수 있는 사보 프로그램도 많이 발전했다. 음표, 코드, 악보 기호 등을 편리하게 넣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리 들어볼 수 있는 재생기능도 제공하여 현재 만들고 있는 악보를 연주하면 어떤 음악이 나올지 알 수 있다. 현재 상용화 되어 있는 사보 프로그램들은 악보를 보기 좋게 만들어주고 음표 재생도 VSTi(Virtual Studio Technology instrument)를 이용하여 잘 해주지만, 코드(Chord) 반주 기능은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표기한 코드가 맞는지 알아보는 것이 힘들다. 따라서 음악 코드를 적절하게 반주해줄 수 있으면 멜로디와 코드 중심으로 이루어진 밴드 음악 악보를 만드는데 좋은 참고가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사보 프로그램의 코드재생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피아노 코드 톤을 적절히 선택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였다. 이를 활용하면 코드 연주 기능이 강화되어 밴드 음악 악보를 만드는 악보 편집자들이 더 편하게 악보를 제작할 수 있다.

필기 및 움직임을 인식하는 안드로이드용 빠른 실행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A Quick Launch Application for Android Supporting Writing and Motion Recognition)

  • 전혜빈;추연주;이송이;이기용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28-1030
    • /
    • 2015
  • 최근 스마트폰 기기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스마트폰에 설치되는 기능과 애플리케이션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찾아서 수행하는데 점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필기 또는 움직임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구동하는 빠른 실행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사용자는 필기 또는 움직임만으로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전화를 걸거나, 손전등을 켜거나, 화면을 캡처하는 등의 기능을 손쉽게 실행할 수 있다.

일반 성인의 키보드 연주 손가락 타력 MIDI 표준치 연구 (Normative Data of The Finger Strength Measured by Keyboard Playing with MIDI : Focusing on Adults)

  • 한인희;김수지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0권2호
    • /
    • pp.79-97
    • /
    • 2013
  • 본 연구는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프로그램을 연결한 키보드 연주 시 일반인의 각 손가락 타력 표준치를 측정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충청 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총 92명(남성 46명, 여성 46명)으로 평균 연령은 만 18세부터 28세였다(평균나이: 21.7, 표준편차: 1.8). 연구 대상자의 음악교육경험 및 기간에 관한 조사를 선행한 후, 연구대상자의 각 손가락을 이용하여 키보드 건반을 상행 및 하행으로 타건하도록 하였다. 개인별 타건의 MIDI값을 분석해 본 결과 최대 강도 127 중 77~97의 수치를 기록하였다. 남성의 경우 최대값은 우세손 손가락의 검지에서 96.9를 기록했고, 최저값은 비우세손 약지에서 78.5 나타났다. 여성은 우세손 중지의 타력값이 92로 가장 높았으며 최저값은 남성과 유사하게 비우세손 약지에서 77.5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의 우세손과 비우세손 손가락 타력의 차이는 엄지를 제외한 모든 손가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나(p < .05) 성별과 악기 연주 경험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 < .05). 본 연구에서 측정된 손가락 타력의 표준치는 건반악기와 MIDI프로그램의 사용이 손기능을 평가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으며, 손기능 중재 방안의 효과성 입증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부산항대교 경관조명에 따른 부산항 도등 기능 및 선박통항안전성 검토 연구

  • 국승기;오광석;박혜리;김정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5-67
    • /
    • 2014
  • 부산항대교는 부산 남구 감만동과 영도구 청학동을 잇는 총 길이 3,368m 규모의 국내 최장 강합성 사장교로 5월 22일 개통하였다. 특히 야간에는 경관조명 등 '빛의 연주'라는 주제로 화려한 볼거리를 구성하여 '부산 해상순환도로'를 활용한 새로운 관광명소로 운영할 계획이다. 그러나 부산북항 통항 선박의 경우 화려한 조명 및 부산항 배경광 등으로 인해 선박통항 시 위험성이 높아질 것으로 우려되며, 이번 연구를 통하여 부산항대교 경관조명에 따른 부산북항 도등 기능검토 및 부산북항 선박통항안전성에 관한 검토를 하고자 한다. 실선박을 이용한 현장조사를 통하여 현재 설계중인 부산항 도등의 기능을 재검토하고, 부산항대교 경관조명 및 부산북항 배경광에 따른 선박 통항 안전성을 검토한다.

  • PDF

유무인기 통합 운용 시뮬레이션 시스템 설계 방안 (Simulation System Design for Integrated Operation of Manned/Unmanned Aerial Vehicles)

  • 오은미;김현경;은연주;전대근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공운항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28-232
    • /
    • 2016
  • 유/무인기가 통합되어 운용되는 환경을 고려한 시뮬레이션 시스템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관제 공역 내의 유인기를 대상으로 하는 항공 교통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기능과 무인기 시스템의 기본적인 기능을 고려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유/무인기 복합 운용의 새로운 개념을 적용하여 모의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성하였다. 모의 환경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무인기는 관제 공역에 진입하여 유인기와 복합 운용되는 무인항공기 시스템과 비관제 영역에서 운용되는 소형 무인비행장치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운용 개념에 대해 서술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필요로 하는 주요 기능 요소들을 구성하고 각 요소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주요 요구 사항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