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연안대

Search Result 648,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Distribution, Vegetation Structure and Biomass of Submerged Macrophytes in a Small Agricultural Reservoir, Keumpoong Reservoir, Korea (소형 농업 저수지인 금풍저수지에서 침수식물의 분포, 식생구조 및 생물량)

  • Kim, Ki-Hwan;Jin, Seung-Nam;Cho, Hyung-Jin;Cho, Kang-Hyu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5 no.1
    • /
    • pp.52-61
    • /
    • 2012
  • Distribution, abundance and biomass of submerged macrophytes were assessed using a double-headed rake and an echo-sounder in the Keumpoong Reservoir to investigate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submerged macrophytes in a small agricultural reservoir located upstream. Slope steepness and water depth in the littoral zone were important controlling factors on flora and vegetation structure of submerged macrophytes. Biodiversity of submerged macrophytes was increased at a gentle slope of the littoral zone. The results of DCA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showed that the structure of submerged vegetation depended on the depth of water. Submerged macrophytes were distributed at the maximum water depth of 2.8 m in the Keumpoong Reservoir. The area occupied by the submerged macrophytes was estimated at only 6% of the total reservoir area because of the steep slope of the littoral zone and the large annual water-level fluctuation of 3.5 m. The increase of water level and inflow of turbid water in the rainy season might reduce the biomass of submerged macrophytes in the reservoir. It may be concluded that submerged vegetation in the Keumpoong Reservoir, a small agricultural reservoir located at the upstream, appears to be particularly susceptible to water level fluctuations and slope steepness of the littoral zone.

The Wind Effect on the Cold Water Formation Near Gampo-Ulgi Coast (감포-울기 연안해역에서 발생하는 냉수대 현상과 해상풍과의 관계)

  • LEE Dong-Kyu;KWON Jae-Il;HAHN Sang-Bok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31 no.3
    • /
    • pp.359-371
    • /
    • 1998
  • The cold water event near Gampo-Ulgi coast in summers between 1987 and 1994 are studied using sea surface temperature records at the coastal stations, ocean winds measured by SSM/I and AVHRR SST images. The response time of the cold water events by upwelling is less than two days and surface cold water expands up to the Ulleung Island. An analysis of 61 upwelling favorable winds indicates that the surface water temperature drops more than $1^{\circ}C\;in\;80\%$ of the south-westerly wind events. The linear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wind impulses and the maximum temperature drops is good (0.6). It is found that the major cause of the cold water events is the along-shore wind in summer. The bottom topography and off-shore direction of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by the potential vorticity conservation near Gampo coast also contribute the formation of the cold water along the southeast coast of Korea.

  • PDF

Investigation of Intertidal Zone using TerraSAR-X: A Preliminary Result (TerraSAR-X를 이용한 조간대 관측: 초기결과)

  • Park, Jeong-Won;Lee, Yoon-Kyung;Won, Joong-Su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46-52
    • /
    • 2009
  • TerraSAR-X 자료를 이용하여 고해상 X-밴드 SAR 시스템을 이용한 조간대 적용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강화도 남단과 영종도를 잇는 조간대이며, 단일편파자료와 이중편파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X-밴드 영상에서의 연안의 레이더 반사도 특성 연구 및 waterline 추출 정밀도를 평가하였다. 연안지역의 wateline은 HH 편광자료의 레이더 반사도 특성을 통하여 추출하였을 때 가장 신뢰도가 높았으며, TerraSAR-X 시스템의 짧은 파장과 높은 제도정밀도로 인하여 정밀한 지리좌표로의 변환이 가능하였다 연구지역의 조간대 지형 경사도는 평균적으로 수평방향으로 60m당 20cm의 고도변화를 가지므로, TerraSAR-X HH 편광자료를 이용한 waterline 추출은 정밀한 조간대 DEM 추출로 응용될 수 있다. 둘째, 이중편파자료의 편파특성을 이용한 조간대 염생식물의 산란특성 관측하였다. 조간대에서 수륙의 경계부에서 잘 관측되는 칠면초와 같은 염생식물은 해수면변화에 따른 조간대의 육지화를 모니터링 하는데 좋은 표적이 된다. TerraSAR-X 이중편파자료의 산란특성을 이용한 염생식물 관측결과는 2007년에 현장에서 취득된 실측자료와 비교하여 3dB 이내의 정밀도로 일치하였다 셋째, 단일편파 자료의 레이더 간섭기법을 이용한 조간대 DEM 작성 시도하였다. 조간대 내에서 육지화가 진행된 지역은 표면에 염생식물이 발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간섭긴밀도를 나타내었다. 레이더 간섭기법을 통한 DEM의 제작은 일반적인 조간대에서는 적용이 제한적이며, TanDEN-X의 적용이 필요하다.

  • PDF

Particular Wind Field simulation use of LAPS Data Assimilation (LAPS 자료동화 기법을 이용한 상세바람장 모의)

  • 문보영;이한세;오재호;김영태;박흥목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169-170
    • /
    • 2003
  • 우리 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전국토의 70%정도가 산지로 되어 있으며 북쪽과 동쪽이 높고 서쪽과 남쪽으로 갈수록 기울어지는 '경동지괴'의 지형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여러 가지 이유에서 대규모의 공단이나 대도시들이 연안지역과 내륙 저지대에 많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안지역은 국지 순환인 해륙풍의 영향이 잘 나타나고, 지형의 경사가 복잡한 지역의 경우는 산곡풍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이러한 주요 공업지역의 지리적 위치로 인해 해륙풍ㆍ산곡풍과 같은 국지순환은 단순한 기상현상이 아닌 대기오염의 수송과 관련되어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게 되었다(이화운, 2000). (중략)

  • PDF

제주 연안에 서식하는 고둥류의 생식주기

  • 김병호;나오수;이치훈;송영보;오성립;이영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70-371
    • /
    • 2003
  • 제주연안에 서식하는 고둥류 구멍밤고둥, Chlorostoma argyrostoma turbinata, 밤고둥, Chlorostoma argyrostoma lischkei, 명주고둥, Chlorostoma xanthostigma, 눈알고둥, Lunella coronata coreensis, 울타리고둥, Monodonta labio을 대상으로 생식주기를 탐색하였다. 이를 고둥류는 우리나라 전연안의 조간대 지역에 분포하며 해조류가 풍부한 플에 주로 서식 한다(권 등, 1993). 그리고 고둥류는 조간대의 군집분포와 분류학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중략)

  • PDF

한국의 남해안에서 적조진단모델

  • 권철휘;조규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50-251
    • /
    • 2001
  • 우리나라 남해 연안에서의 적조는 1981년 이후부터 유해성 적조가 발생하기 시작 하였으나 국지적이고 저밀도로 단기간 발생하여 피해가 경미하였다. 1995년 이후부터는 대규모 유해성 적조가 광역적으로 발생하여 막대한 어업피해를 유발시키고 있으며(남해안 적조발생현황, 1995, 1996.), 적조생물도 독성을 가진 새로운 종들이 많이 나타나는 등 적조생물종이 다양화되고 대규모화되고 있다(한국연안의 적조발생 상황, 1999, 2000.). (중략)

  • PDF

Temporal variation in the community structure of green tide forming macroalgae(Chlorophyta; genus Ulva) on the coast of Jeju Island, Korea based on DNA barcoding (DNA 바코드를 이용한 제주도 연안 파래대발생(green tide)을 형성하는 갈파래(genus Ulva) 군집구조 및 주요 종 구성의 시간적 변이)

  • Hye Jin Park;Seo Yeon Byeon;Sang Rul Park;Hyuk Je Le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40 no.4
    • /
    • pp.464-476
    • /
    • 2022
  • In recent years, macroalgal bloom occurs frequently in coastal oceans worldwide. It might be attributed to accelerating climate change. "Green tide" events caused by proliferation of green macroalgae (Ulva spp.) not only damage the local economy, but also harm coastal environments. These nuisance events have become common across several coastal regions of continents. In Korea, green tide incidences are readily seen throughout the year along the coastlines of Jeju Island, particularly the northeastern coast, since the 2000s. Ulva species are notorious to be difficult for morphology-based species identification due to their high degrees of phenotypic plasticity.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emporal variation in Ulva community structure on Jeju Island between 2015 and 2020, chloroplast barcode tufA gene was sequenced and phylogenetically analyzed for 152 specimens from 24 sites. We found that Ulva ohnoi and Ulva pertusa known to be originated from subtropical regions were the most predominant all year round, suggesting that these two species contributed the most to local green tides in this region. While U. pertusa was relatively stable in frequency during 2015 to 2020, U. ohnoi increased 16% in frequency in 2020 (36.84%), which might be associated with rising sea surface temperature from which U. ohnoi could benefit. Two species (Ulva flexuosa, Ulva procera) of origins of Europe should be continuously monito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and molecular genetic data of genus Ulva occurring in southern coasts of Korea, which will help mitigate negative influences of green tide events on Korea coast.

Detection on Seasonal Changes in the Haeundae Marine Topography using GIS (GIS를 이용한 해운대 해저지형의 계절적 변화탐지)

  • Kim, Ji-Yong;Choe, Cheol-Ung;Lee, Chang-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303-304
    • /
    • 2008
  • 1970년부터 해운대 신시가지 조성 및 춘천의 복개공사, 해안 주변의 매립, 도로건설 등의 연안 관련 사업이 환경에 미치는 종합적인 영향에 대한 검토도 없이 시행되어, 해운대 백사장으로 유입되어야 할 토사가 주공급원인 육지로부터 잠정적으로 차단되었다. 해운대 해수욕장의 해빈이 갈수록 감소되고 있는 가운데, 유실된 토사가 퇴적되는 연안의 해저지형에 대한 조사를 통해 정량적인 분석과 기간별 침퇴적 경향을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심 측량 자료를 이용하여 GIS기법으로 해저지형도를 제작하였고, 해저지형을 등간격으로 나누어 각 구간별 침퇴적 경향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계절별로 침퇴적을 반복하고 있었고, 여름에는 침식, 겨울은 퇴적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Assessing Habitat Quality and Risk of Coastal Areasin Busan (부산 연안역의 서식지 질 및 위험도 평가)

  • Jeong, Sehwa;Sung, Kijune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1 no.2
    • /
    • pp.95-105
    • /
    • 2022
  • Busan, where the coastal ecosystem health is deteriorating due to high development pressure and intensity of use, needs ecosystem management that considers human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together for sustainable use and ecosystem preservation of the coastal areas. In this study, the InVEST model was applied to assess the habitat status of the coastal land and coastal sea to manage the ecosystem based on habitats. As a result of the assessment of the coastal land, the habitat quality of Gadeok-do, Igidae, and Sinseondae, Gijang-gun are high, and Seo-gu, Jung-gu, Dong-gu, and Suyeong-gu are low. In the case of the coastal sea, the habitat risk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is low, and some areas of Yeongdo-gu, Saha-gu, Gangseo-gu are high. Therefore, for the sustainable use and preservation of coastal ecosystems, it is necessary to prepare ecosystem-based management measures to improve damaged habitats and reduce threats. In addition, the impact on coastal seas should be fully considered when planning coastal land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InVEST habitat quality model in coastal land show similar tendencies to the biotope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The results of the habitat risk assessment in the coastal sea are expected to be utilized to identify habitats in the coastal sea and management of threat factors.

한반도 주변 해역의 극치해면 및 해류 추정 방법

  • 최병호;고진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6.10a
    • /
    • pp.15-18
    • /
    • 1996
  • 우리나라 연안의 항만의 설계해면 및 해안구조물의 방어수위가 현재에 확률적으로 얼마나 안전한가의 여부와 현재 건설 중인 항만 개발 사업, 대규모 매립 사업, 기후 면화에 따른 해수위 상승 등에 변화되는 해양 환경에 따라 설계 수위와 연안방어체계를 어떻게 설정해야 할 것인가는 한국의 해안ㆍ해양 공학의 기본 과제임에도 불국하고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는데 합리적인 접근방법에 의해 우리나라의 연안방어체계에 필수적인 극치자료를 제공하는 과업은 용이한 일은 아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