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령차이

검색결과 4,389건 처리시간 0.036초

전라북도 지역의 치과적 생체 연령추정 사례의 분석 (Analysis of Age Estimation Cases of Living Body Based on Dental aspect in Jeollabuk-do)

  • 엄애자;서봉직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3권2호
    • /
    • pp.167-176
    • /
    • 2008
  • 2000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 치과진료처 구강내과에 의뢰된 연령추정 121례를 분석 및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추정 의뢰인의 성별 분포는 남성(58.7%)이 여성(41.3%)보다 많았으며,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이 전체의 과반수(55.4%)를 차지하였다. 2. 호적 연령과 주장 연령의 차이는 5세 이상(34.1%) 차이가 가장 많았고, 이는 50대 이상이 대부분이었다. 3. 연령을 늘리려는 의뢰인(64.2%)이 줄이려는 의뢰인(35.8%)보다 많았으며, 이는 남녀 모두 유사하게 나타났다. 10세 미만과 20대는 나이를 줄이려는 경우가, 10대, 30대이상에서는 나이를 늘리려는 경우가 많았다. 4. 복지를 이유로 연령정정을 원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복지혜택과 관련해서는 50대 이상이, 직장과 관련해서는 40대와 50대가, 교우관계와 관련해서는 30대와 40대가, 가족 관계와 관련해서는 50대가, 취업과 관련해서는 10대와 20대가 가장 많았다. 5. 연령추정 방법은 20세 이상에서는 영구치의 교모도와 치수강 퇴축도를 사용하였으며, 10세 이상 20세 미만에서는 치근단공 폐쇄시기를, 10세 미만에서는 영구치 석회화 정도를 각각 사용하였다. 20세 이상에서 영구치 교모도와 치수강 퇴축도를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 영구치의 상실시기와 하악각의 증령적 변화를 이용하여 연령을 추정하였다. 6. 각 방법에 의해 추정된 연령의 77.7%는 의뢰인이 주장하는 연령에 근접하였으나, 22.3%는 호적상의 연령에 근접하여 의뢰인의 주장과 일치하지 않았다.

J시의 가임부가 원하는 자녀수 및 성의 선호태도에 관한 연구

  • 우선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5.1-115.1
    • /
    • 1990
  • J시의 유배우 가임여성을 대상으로 인구와 사회특성 및 자녀수와 성선호 태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연령구성은 $20\sim29$세가 53.17%, $30\sim39$세가 37.04%, $40\sim49$세는 9.26%로 $20\sim29$세군이 가장 많았다. 2. 조사대상자의 학력은 중졸이하가 74.01% 직업은 대부분 무직과 주부였고 종교는 불교가 45.37% 그 외 42.59%가 종교를 갖지 않았다. 3. 연령별 원하는 자녀수의 성선호 및 선호태도는 연령에 관계없이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40\sim49$세 군은 높은 남아선호태도를 보였다. 4. 연령별 학력과 자녀수선호태도에서 $20\sim29$세군에서 영향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종교와 직업의 자녀수선호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군은 $40\sim49$세군에서였다. 5. 연령별 원하는 자녀수 및 성의 선호태도간의 비교에서는 전체 연령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ess of Mother with Mentally Retarded Children)

  • 조희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3권1호
    • /
    • pp.123-133
    • /
    • 1995
  • 본 연구는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디스트레스에 관하여 살펴봄으로써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정신건강을 도모하여 동시에 정신지체아 가족이 가족생활에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학령전 정신지체아 자녀를 둔 어머니 135명이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일반적 특성 변인,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디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서는 아동의 연령 변인과 지체정도 변인 그리고 어머니의 학력 변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어머니 스트레스 변인에 따라 어머니의 디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가에 대해서는 가족생활 스트레스원 변인, 비형식적 지지 변인, 문제해결적 대처 변인, 정서적 대처 변인에 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디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설명력을 파악해 본 결과 아동의 일반적 특성 변인,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변인, 가족생활 스트레스원 변인, 사회적 지지 변인, 대처 변인들을 단계적으로 넣었을 때 디스트레스에 대한 설명력은 33%로 나타났다. 이때 디스트레스를 설명하는 구체적인 변인은 아동의 연령, 가족생활스 트레스원, 비형식적 지지, 문제해결적 대처 변인이었다.

  • PDF

마케팅믹스 7P를 이용한 미술작가의 특성에 따른 전시공간 만족도 차이 분석 (Analysis of differences in satisfaction of exhibition spac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rtists using marketing mix 7P)

  • 한수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23-129
    • /
    • 2020
  • 미술작가는 작품을 전시할 공간을 중요하게 고려하기 때문에 전시공간을 이용한 뒤에 그 전시공간을 평가한다. 본 연구는 마케팅믹스 7P를 이용한 미술작가의 특성에 따른 전시장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은 20대이며 동양화 작가의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환경은 경력이 5~10년이고 연령이 40대이며 동양화 작가의 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촉진은 경력이 21년 이상이고 50대인 작가의 만족도가 높았다. 넷째, 전시관계자는 20대이며 동양화 작가의 만족도가 높았다. 다섯째, 진행 과정은 경력이 5~10년이고 연령이 40대이며 기타의 만족도가 높았다.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소, 과정과 촉진은 경력, 연령과 장르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제품과 전시 관계자는 연령과 장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동의 특성에 따른 선호하는 메뉴 레이아웃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nu-Layout Preference of the Learner's Properties)

  • 민선희;이수정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9-18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2학년과 6학년 각각 3개 학급 아동들을 성별, 성적, 연령, 인지양식(장독립, 장의존)에 따라 구분하고, 6개의 형태로 제시된 메뉴 레이아웃에서 선호하는 메뉴 형태와 선호하지 않는 메뉴 형태를 선택하도록 하여 아동의 특성에 따라 선호하는 메뉴 레이아웃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선호 메뉴는 성별, 성적, 인지양식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고 연령에 따라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2학년은 사이트맵 형태의 메뉴를, 6학년은 주메뉴가 상단 가로에 제시되고 부메뉴가 롤오버 형태로 제시되는 메뉴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하지 않는 메뉴에 있어서도 연령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볼 때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는 학습사이트에서는 연령에 따라 다른 형태의 메뉴 레이아웃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사회경제학적특성이 치과정보탐색에 미치는 융합적 요인 (The Convergence Impact of Dental information Searching i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 전미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97-107
    • /
    • 2017
  • 본 연구는 의료소비자인 환자가 치과의 이용과 관련하여 정보탐색 행태를 조사하고 치과의료기관 선택을 위해 탐색한 정보원이 무엇이며, 사회경제학적인 특성과 정보탐색 행태와의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광주광역시인 중소도시와 전라남도내의 읍면지역에 거주하는 10대 이상의 주민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정보습득경로는 지인의 소개가 61.0%, 인터넷 정보이용이 37.0%로 조사되었고, 사전정보습득여부에서 성, 연령, 학력, 직업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p<0.000), 성별, 연령, 최근치과방문에서 사전정보의 의료소비자 만족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인터넷정보 이용에서는 성별, 연령, 학력, 직업, 거주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그리고 성별, 연령, 직업에서 사전정보탐색이 치료에 미치는 영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01). 본 연구를 통해 치과 의료기관에서 의료소비자의 선택에 융합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보탐색원을 개발하고자 하며, 이 연구를 기초로 한 새로운 치과병의원 경영전략을 마련하고 환자가 만족하는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연령별 안전에 대한 인식 차이: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 (Age Differences in Safety Perception: A Comparison of Babyboomer, Pre-elderly, and the Elderly)

  • 정순둘;오은찬;김고은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75-8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 현재노인들이 인식하고 있는 안전에 대해서 살펴보고, 그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통계청에서 실시한 2008 사회통계조사의 대상이 되는 약 20,000 표본 가구의 만 15세 이상 상주 가구원 중 베이비부머 세대의 코호트와 법정 노인 연령을 기준으로 세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전반적 사회의 안전도, 타인과 자신의 안전인식, 10년 전과 비교한 현재사회의 안전도, 10년 후의 사회 안전도, 사회 각 분야의 안전에 대한 인식도, 조사대상의 사회 불안 요인 순위 등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베이비부머와 예비노인, 현재노인 간 집단 간 인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안전의 취약계층인 노인의 전반적인 안전인식은 베이비부머나 예비노인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역별 안전인식의 차이는 각 세대가 겪은 시대적 특성과 경험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안전에 대한 대책은 각 연령집단별 특성과 그들이 겪어온 세대적 특성을 함께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해 준다.

알코올중독자의 A.A.몰입과 회복과의 관계에서 단주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성별 및 연령의 차이를 중심으로 (Mediating Effect of Alcohol Abstinence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lcoholics Anonymous Affiliation and Alcohol Recovery)

  • 백형의;조수민;김선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98-70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알코올중독자의 A.A.몰입이 회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며 단주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A.A.에 참여하고 있는 알코올중독자 554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A.A.에 참석하는 사람들의 A.A.몰입도가 높아질수록 그들의 회복 정도도 큰 것으로 나타나 A.A.몰입이 회복에 미치는 직접 효과가 존재하였다. 둘째, A.A.몰입도는 회복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단주자기효능감의 부분매개효과가 존재하였다. 셋째. A.A.몰입도가 단주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회복에 이르는 경로에서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을 때, 남녀 집단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연령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알코올중독자의 A.A.참여를 통해 회복을 도울 수 있는 다양한 사회복지적 방안들에 대해 제시하고 특히,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별화된 개입전략을 논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령 증가에 따른 전두엽 포도당대사 저하의 남녀 차이 (Gender differences in age-related decline of regional cerebral glucose metabolism: implications for the gender differences in frontal function)

  • 이은주;조상수;윤은진;김유경;이원우;김상은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12-215
    • /
    • 2005
  • 연령의 증가에 따른 신경원의 활성화도 변화는 기억 및 집행기능 등의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어떠한 뇌 영역의 기능적 저하가 연령증가에 따라 남자와 여자에서 차별적으로 인지기능의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F-18 FDG PET을 이용하여 78명의 정상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뇌 포도당 대사량을 조사하였다. 남녀가 공통적으로 연령증가에 따라 뇌 포도당 대사량의 저하를 보이는 영역은frontal lobe과 left insula, right anterior cingulate gyrus, bilateral caudate body, thalamus. right corpus callosum 이었다. 여성의 경우 남성과 달리 추가적으로 right caudate와 bilaterial thalamus에서 연령과 뇌 포도당대사량 간에 부적 상관을 보이고 있었다(P < 0.001 uncorrected). 남녀 모두에서 연령이 증가하면서 포도당 대사 저하를 보이는 right inferior frontal gyrus는 여자에게서만 포도당대사 감소비율이 유의하게 컸다. 남녀에서 보이는 이러한 노화 과정 동안의 뇌 포도당 대사의 저하율의 차이가 여성과 남성의 연령증가에 따른 인지적 기능의 차별적 저하에 대한 설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PDF

1인가구의 고용형태 및 연령에 따른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검진행태 비교 (Comparison on health behaviors and health checking by status of workers and age of single households)

  • 조필규;오유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335-340
    • /
    • 2020
  • 1인가구주의 고용형태 및 연령에 따라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검진행태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기 위하여,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1인가구를 대상으로 종사상지위(정규직, 비정규직, 사업자) 및 연령별(20-59세)로 층화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총 566명). 고용형태별로 보면 정규직의 경우 수면시간은 다른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적은 반면(p<0.001), 건강검진 및 구강검진 비율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연령별로 보면, 연령이 높을수록 구강상태가 나빴음에도 불구하고(p<0.001), 구강검진을 받지 않은 비율은 유의하게 높았다(p=0.023). 본 연구는 1인가구주의 고용형태 및 연령에 따른 건강행태 차이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1인가구주의 다양한 특성에 따른 건강생활 환경을 만드는 기초자료로 의의가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