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구가이드

검색결과 3,020건 처리시간 0.031초

R&D 소프트웨어 연구 활동 지원을 위한 전문가 평가 가이드라인 생성 (Generating a Guideline of Expert Assessment to Support Feedback of Research Activity of R&D Software)

  • 신종환;백두산;이병정;이정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500-503
    • /
    • 2016
  • 소프트웨어의 개발 단계에서는 검증을 위한 V&V(Verification & Validation) 프로세스를 통해 체계적인 개발 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에 반해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분석 이전에 수행되는 연구 단계는 그렇지 못하며, 또한 소프트웨어 연구 사업의 평가 시 구체적인 기준의 부재, 평가 시간과 수집된 자료의 부족 등의 문제가 제기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연구자의 연구 활동과 연구 평가자의 연구 평가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관련 국제 표준에서 추출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하여 목표 구조, 평가 메트릭을 도출하고, 평가 시나리오와 그것을 해설해주는 가이드라인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우리의 연구는 연구 평가를 위한 메트릭 가이드라인인 라이덴 선언에 일부 부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연구 평가의 효율화와 자동화를 위한 향후 연구의 기초가 될 것이다.

환경친화적 포장디자인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A Study on the Guidelines for Eco-Friendly Package Design)

  • 김미자
    • 월간포장계
    • /
    • 통권260호
    • /
    • pp.45-55
    • /
    • 2014
  • 최근 환경오염과 생태학적 환경문제가 사회적 중요한 관심사로 인식되고 있다. 포장디자인에 있어서도 재활용과 재사용에 대한 요구와 함께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을 대체하는 친환경 포장용기와 생분해성 필름 등의 포장재의 개발과 생산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친화적 포장디자인의 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 설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내용은 환경친화적 디자인의 개념과 에코 포장디자인 적용범주, 국내외 에코패키지의 동향 및 포장재 현황을 살펴보고, 각종 정책과 규정 및 관련지침 등의 이론적 자료들을 근거로 일반적으로 고려되고 있는 에코패키지의 기본 방향과 체크리스트를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른 가이드 라인 및 수행 절차를 고찰하였다. 에코 패키지의 기본방향은 첫째, 포장디자인의 제작, 사용, 폐기에 이르는 전과정에서 환경측면을 고려해야 하며 둘째, 비용과 품질, 시장성, 디자인 등 다중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디자인 부서와 제품설계부서, 생산부서, 환경팀 등 조직 내의 다른 시스템과 기능적으로 협력하여야 하며 넷째, 기업의 다른 여러 가지 환경 활동을 통해 잠재적인 소비자와 시장을 확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가이드라인의 내용은 자원 절감과 물질 사용량 절감, 재활용성 확대, 에너지 효율 향상, 유해 물질 저감과 안전성 확보, 폐기 효율성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환경 친화적 포장디자인의 실천을 통해 환경영향성을 개선하고 비용을 감소시키며 소비자의 이미지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웹 구술사료(口述史料) 아카이브 정보시스템의설계 및 평가용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signing and Developing Guidelines for Evaluation of Web Oral History Archives Information System)

  • 최은주;이정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77-298
    • /
    • 2009
  • 본 연구는 구술자료 아카이브 정보시스템 설계를 위하여 구술기록물의 생산, 수집절차, 접근의 용이성, 저작권 등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웹 구술사료 아카이브 설계 구축을 위한 기본 방안과 평가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함으로써 웹 구술사료 아카이브 구축을 위해 활용 가능한 기준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평가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국내외 웹 구술사료 아카이브 5개 기관을 선정하여 연구자가 제시한 평가용 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사례분석을 하였다. 여기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의 웹 구술사료 아카이브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개선점을 논의하였다.

해저케이블 하역용 코일링 암 구조설계 및 해석 (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of Coiling Arm Unloading Machine for Submarine Cable)

  • 김명환;김동현;류경중;심재박;추헌호;이승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574-57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해저케이블 부두 하역용 장비인 코일링 암(coiling arm)에 대한 구조설계 및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설계를 위해 3차원 CAD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고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한요소법에 기초한 전산해석 기법으로 해석을 수행하였다. 코일링 암의 목적에 맞추어 케이블을 케이블 탱크에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베어링 및 롤러를 설계하여 메인 암이 회전하고 케이블 가이드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고, 기존의 외국 모델에서 사용하던 와이어 및 모터 시스템을 이용한 케이블 가이드 작동방식을 유압 시스템을 이용한 작동방식으로 변경하여 설계 및 제작이 쉽고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자중 및 케이블 하중에 대한 응력 해석을 수행하였고, 유압시스템에 의한 파손 가능성을 고려하였다. 케이블 가이드에 이동 및 지면 경사도에 따른 전복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설치 장소를 고려한 풍하중 효과도 추가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코일링 암의 작동방식을 개선하였으며 설계 및 해석 방법을 확립과 더불어 국내 최초로 실제 코일링 암을 제작 및 설치하였다.

  • PDF

Color Line 탐색을 이용한 AGV의 주행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avigation Control of Automated Guided Vehicle using Color Line Search)

  • 박영만;박경우;안동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3-19
    • /
    • 2003
  • 유연 생산 시스템(FMS)이나 자동화 창고(AWS) 등에 이용되는 AGV(Automated Guided Vehicle)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다. 기존의 AGV는 마그넷 테이프나 전기와이어, RF나 Laser를 가이드라인으로 사용하고 있어 가이드라인 설치와 변경 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 컬러 CCD카메라를 가지고 50mm 황색 컬러테이프를 가이드라인으로 사용하여 주행하는 AGV를 구현하였다. 컬러테이프를 사용하므로 라인설치 및 변경 추가 시 작업 시간이 빠르고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구현한 AGV의 구조와 컬러 특성만을 추출하여 주행용 가이드라인을 탐색하는 영상처리 기법과 AGV주행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BPM 표준의 도입 전략 및 활용 가이드라인의 개발 (Development of a Strategy and Guideline for Adopting Business Process Management Standards)

  • 김민수;임태수;김동수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49-267
    • /
    • 2007
  • BPM(Business Process Management)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BPM 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해 프로세스 모형화, 실행과 운영, 모니터링과 통제 측면에서 여러 표준들이 등장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표는 BPM 표준의 도입전략을 제시하고, BPM 표준 도입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세부적인 BPM 표준 적용 가이드라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프로세스 모형화 측면의 BPMN(Business Process Modeling Notation), 프로세스 실행과 운영 측면에서의 BPEL(Business Process Execution Language), 모니터링과 통제에 초점이 맞춰진 BPQL(Business Process Query Language) 등의 BPM 표준 도입 전략을 제시하고 각 표준들의 활용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표준 도입 전략과 활용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기업들은 BPM 표준을 자사의 솔루션에 적용하는 과정에서의 시행착오를 줄임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을 위한 가이드라인 개발 (Establishing Guidelines for Implementing and Operating Makerspaces in Public Libraries)

  • 장윤금;이혜은;전경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37-356
    • /
    • 2020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메이커스페이스 조성 및 운영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 개발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사전 조사로 수행된 '국내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운영 현황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 8개 기관의 운영사례를 분석하였다. 즉 공간, 인력, 장비, 프로그램 및 지원 주체 등 5개 요소를 중심으로 운영을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공공도서관 메이커스페이스는 도서관의 규모, 예산, 사명과 역할에 따라 필요 요소의 조건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유형별 구분과 이에 따른 지속가능한 운영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를 통해 기초적 수준인 '메이커 공방형', 중간 수준의 '메이커 스튜디오형', 권역 거점 수준의 '메이커 거점형(플랫폼)'의 유형별 가이드라인을 제안하였다.

CMMI 기반 군 항공기 인터콤 탑재용 제어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DO-178C 적용 연구 (A Study on Applying The DO-178C to The Control SW Development of The Military Aircraft Intercom Based on CMMI)

  • 윤인복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15-423
    • /
    • 2015
  • 미국 FAA에서 민간 항공기에 대한 감항인증 시 채택되고 있는 DO-178C 가이드가 최근 국내에서도 군 항공기 감항인증을 위한 가이드로 채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은 군항공기 감항인증 담당자가 소프트웨어 개발 문서들을 점검할 때 모든 문서들이 DO-178C 가이드에 따라 검증되었는지 여부를 검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군항공기용 인터콤 장비의 국산화 개발 시 DO-178C 가이드 준용 요구사항이 없었기 때문에 우리는 군 항공기 인터콤 제어 소프트웨어를 CMMI 레벨3에 따라 개발하였다. 따라서 우리가 인터콤 시스템의 감항인증을 고려할 때 추가적으로 필요한 소프트웨어 산출문서들을 준비하기 위해 CMMI 레벨3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이 DO-178C 가이드와 얼마나 다른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CMMI 레벨3과 DO-178C 간 차이점들을 분석하고 DO-178C 가이드와 비교하여 CMMI 레벨3상의 어떤 데이터들이 항공기 감항인증 준수에 필요한지를 제시한다. 분석 결과를 통해 감항인증 시 참조되는 DO-178C 가이드 대비 CMMI모델에서 필요한 데이터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고 향 후 CMMI 모델 환경에서 감항인증 준수를 고려한 항공기 구성품 탑재용 소프트웨어 개발시 본 연구결과를 적용할 수 있다.

국내 여건에 맞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가이드라인(안) (A Guideline(Tentative) for Implementation of Riparian Buffer Strips Adapted to the Korean Streams)

  • 정상준;우효섭;안홍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38-1042
    • /
    • 2007
  • 수변완충지대는 수역과 육역의 경계에 위치하면서 하도를 따라 선형으로 길게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공간으로서 토양, 동식물 등 생태시스템을 이루는 자연공간이다. 수변완충지대의 기능은 일반적으로 수질정화, 생태통로 및 서식처, 강턱의 안정, 토양침식 방지, 경관 개선 등이며 하천의 일부로서 사회적 경제적으로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비점오염 저감과 하천 생태서식처 조성분야에서의 적용이 활발히 검토되고 있다. 선진국에서는 1980년대 이후부터 수변완충지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환경 생태 치수 측면에서 효율적 조성 및 복원 방법에 관한 연구와 적용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고 가이드라인이 제시되었다. 이 분야에서 기술적 정책적으로 가장 앞선 나라로 평가되고 있는 미국의 경우 정부에서는 농무부(USDA)를 비롯하여 환경처(EPA), 내무부(USDI), 공병단(US ARMY)의 관련 산하기관, 각 주정부의 담당부서에서 수변완충지대의 보전과 조성에 관련된 여러 가지 정책과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들 가이드라인에서는 수변완충지대가 필요로 하는 기능별 최소 폭, 식생 종별 구성, 식생배열 등을 제시하며 그 기준은 조성 목적이나 기능, 대상 지역별로 차이를 보인다. 기능별 최소 폭은 수질정화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 $4m{\sim}61m$이상, 생태서식처 조성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는 $30m{\sim}1,000m$ 이상을 권장하고 있다. 식생 종은 수변완충지대 폭을 상 중 하단부로 나누어 초본, 관목, 교목류로 식재하고 강우유출수의 유입부에서 초본을 통한 부유고형물 등을 여과하고, 목본류의 뿌리와 토양을 통해 질소, 인 등 영양물질을 저감하는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는 이러한 가이드라인을 실제로 현장에 적용하고 있으며 조성효과가 정성적으로 검증되었고 정량적인 관계 도출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국내의 경우 수질개선 및 생태서식처 조성, 하천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관련 정책이 꾸준히 제시되고 있다. 한 예로 정부에서는 수변구역을 지정 고시하여 상수원으로 유입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저감하고 생태서식처를 조성함으로써 양질의 상수원과 건전한 생태계를 확보하기 위한 제도를 시행 중이다. 수변 구역의 범위는 한강수변구역의 경우 약 $500{\sim}1,000m$로 설정되어 있으나 아직까지는 관리적 성격이 강하며, 향후에는 구체적인 조성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변구역 내에 미국의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수변완충지대의 물리적 조건과 국내 지역 토착식생을 적용하여 시험완충지대를 조성하였고, 실험조건 하에서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 검증한 결과와 외국사례를 분석하여 국내여건에 맞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가이드라인(안)을 제시하였다.

  • PDF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의 의미와 과제 (The Meaning and Tasks of Guidelines for Utilization of Healthcare Data)

  • 신태섭
    • 의료법학
    • /
    • 제22권3호
    • /
    • pp.31-55
    • /
    • 2021
  • 개정 데이터 3법 중 하나인 개인정보 보호법은 가명정보의 처리에 관한 특례 규정을 신설하였다. 이에 개인정보처리자는 과학적 연구, 통계작성, 공익적 기록보존 등의 목적을 위해서 정보주체의 동의 없이 가명정보를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개정 개인정보 보호법의 후속 조치로 의료 분야의 개인정보 가명처리를 다룬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었다. 가이드라인은 보건의료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해석과 사례를 규정함으로써 수범자들에게 실천적인 기준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만 가이드라인은 가명정보 활용 목적을 명확히 하고, 데이터 심의위원회 구성의 공정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이드라인은 보건의료 데이터 보상 체계를 구축하고, 취약 연구대상자의 권리 보호 강화가 요구된다. 아울러 가이드라인은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 의료법과의 부정합성을 정비할 필요도 있다. 본 연구가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의 안전한 환경 조성은 물론 관련 법과 제도의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