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연결보

검색결과 2,482건 처리시간 0.028초

철근상세에 따른 고강도 철근이 사용된 철근콘크리트 연결보의 구조성능 (Effect of Reinforcement Layout on Structural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Coupling Beams with High-strength Steel Bar)

  • 장석준;정권영;김선우;윤현도;천영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95-102
    • /
    • 2017
  • 본 연구는 철근상세(대각선 및 수평 철근상세)가 실규모 연결보의 구조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결보의 시공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강도 철근(SD500 및 SD600)을 사용하였다. 반복하중이 작용하는 동안 연결보의 순경간(양쪽 전 단벽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강체 프레임 및 링크조인트를 설치하였다. 실험결과 대각선 철근상세을 적용한 연결보가 수평 철근상세 연결보에 비해 높은 연성을 나타내었다. AC1318-14 기준은 대각선 철근상세의 연결보 설계에는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나, 수평 철근상세 연결보의 최대내력은 과대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SCE 41-13에서 제시된 연결보의 유효강성은 대각선 및 수평 철근상세를 적용한 연결보의 실험결과를 과대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세장비 및 대각철근 유무에 따른 고강도 철근보강 콘크리트 연결보의 전단성능 (Effect of Aspect Ratio and Diagonal Reinforcement on Shear Performance of Concrete Coupling Beams Reinforced with High-Strength Steel Bars)

  • 김선우;장석준;윤현도;서수연;천영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9권1호
    • /
    • pp.43-51
    • /
    • 2017
  • 현행 규정에 따르면, 세장비 4 미만의 연결보에 대각철근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대각선 다발철근 상세는 보 내부의 철근 배근작업을 어렵게 만들고, 이는 또한 시공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철근(SD500 및 SD600)으로 보강된 콘크리트 연결보에 관한 실험결과를 나타내었다. 연결보 제작시 시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헤드바를 갖는 대구경 철근을 사용하였다. 배근상세 및 세장비를 변수로 하여, 2가지의 실규모 연결보를 제작 및 실험하였다. 전단벽을 연결하는 보의 실제 거동특성을 모사하기 위하여, 링크 조인트를 갖는 철골 구조물을 반력바닥에 설치하였다. 실험 결과, 연결보와 전단벽 접합부에서의 균열 및 철근이 항복되면서, 점차 연결보 중앙부로 손상이 진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결보는 FEMA 450-1의 설계변위에 대한 전단벽 층간변위 규정에 요구되는 변형능력을 충분히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강도 철근으로 보강된 연결보의 상세설계를 위해서는, 다양한 세장비가 연결보의 구조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원형 개구부가 있는 전단지배 하이브리드 강재 연결보의 내진성능 (Seismic Performance of Shear Dominant Hybrid Steel Link Beam with Circular Web Opening)

  • 임우영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30권1호
    • /
    • pp.37-48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원형 개구부가 있는 전단지배 하이브리드 강재 연결보의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탑-시트 앵글이 있는 실험체 3개(SCB1, SCB2, SCB3)와 앵글이 없는 실험체 1개 (SCB4) 등 총 4개의 강재 연결보 시스템에 대한 반복가력 실험이 수행되었다. 실험변수는 웨브 개구부의 크기, 즉 전단강도비이다. SCB1, SCB2, SCB3, 그리고 SCB4 실험체의 전단강도비(웨브 개구부 크기)는 0.34(300mm), 0.49(268mm), 0.78(200mm), 그리고 0.34(300mm)이다. 실험결과, 제안된 연결보 시스템은 우수한 변형능력과 강성을 보여주었다. 실험연구를 통해 하이브리드 강재 연결보 시스템에 적용가능한 설계전단강도를 제안하였다. 연결보의 전단강도가 소성전단강도의 50% 이하일 때 핀칭이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내진 성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핀칭을 최소화하고, 내진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연결보 구조설계 시 연결보의 전단강도를 50% 이상 저감시키는 방안도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븐 연결망과 오드 연결망 사이의 임베딩 알고리즘 (Embedding Algorithms between Even network and Odd network)

  • 김종석;이형옥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59-662
    • /
    • 2007
  • 알고리즘의 설계에 있어서 주어진 연결망을 다른 연결망으로 임베딩하는 것은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중용한 방법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하이퍼큐브보다 망비용이 개선된 이븐 연결망과 오드 연결망 사이의 임베딩을 분석하고, 이븐 연결망이 이분할 연결망임을 보인다. 이븐 연결망을 오드 연결망에 연장율 2, 밀집율 1에 임베딩 가능함을 보이고, 오드 연결망을 이븐 연결망에 연장율 2, 밀집율 1에 임베딩 가능함을 보인다.

  • PDF

Folded하이퍼큐브 연결망과 이븐연결망 사이의 임베딩 알고리즘 (Embedding Algorithms between Folded Hypercube network and Even network)

  • 김종석;이형옥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67-670
    • /
    • 2007
  • 알고리즘의 설계에 있어서 주어진 연결망을 다른 연결망으로 임베딩하는 것은 알고리즘을 활용하는 중용한 방법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하이퍼큐브보다 망비용이 개선된 이븐 연결망과 오드 연결망 사이의 임베딩을 분석하고, 이븐 연결망이 이분할 연결망임을 보인다. 이븐 연결망을 오드 연결망에 연장율 2, 밀집율 1에 임베딩 가능함을 보이고, 오드 연결망을 이븐 연결망에 연장율 2, 밀집율 1에 임베딩 가능함을 보인다.

  • PDF

다양한 배근상세를 갖는 짧은 연결보의 주기거동 특성과 에너지소산능력의 평가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Energy Dissipation Capacity of Short Coupling Beams with Various Reinforcement Layouts)

  • 엄태성;박홍근;강수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203-21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배근상세를 갖는 짧은 연결보 (short coupling beam)의 주기거동특성과 에너지소산 메커니즘을 연구하였다. 주기하중을 받는 연결보의 수치해석을 위하여 비선형트러스모델 (nonlinear truss model)을 사용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일반적인 수직 수평배근상세를 갖는 연결보는 핀칭이 심한 주기곡선을 보이며 거의 에너지를 소산하지 못하였다. 반면 대각배근상세를 갖는 연결보는 핀칭이 없는 안정적인 주기거동을 보이며 많은 에너지를 소산하였으며, 연결보의 에너지소산은 취성재료인 콘크리트보다 주로 대각 방향으로 배치된 철근에 의하여 발생됐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각철근의 변형률 이력을 사용하여 연결보의 에너지소산량을 예측할 수 있는 간편한 평가식을 개발하였다. 검증을 위하여 제안된 평가식과 실험으로 구한 연결보의 에너지소산량을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평가식은 배근형태, 전단경간비, 비탄성 변형 크기 등 다양한 설계변수의 영향을 고려하여 전단경간비가 1.25이하인 짧은 연결보의 에너지소산량을 비교적 정확히 예측하였다. 제안된 에너지소산량 평가 방법은 철근콘크리트구조물 및 부재의 성능 기초 내진평가/설계에 손쉽게 활용될 수 있다.

대각철근을 갖는 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 연결보의 이력거동 평가 (Cyclic Behavior of High-Performance Fiber-Reinforced Cement Composite Coupling Beam Having Diagonal Reinforcement)

  • 권현욱;전용률;이기학;신명수;한상환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649-656
    • /
    • 2013
  • 병렬전단벽시스템은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구조시스템이지만, 연결보의 복잡한 철근상세가 요구된다. 이를 보완하고자 ACI-318에서는 개선된 철근상세를 제안하고 있지만 과도한 횡보강근으로 현장 적용에 어려움이 따른다. 이 연구에서는 횡보강 철근량을 감소시킨 대각철근을 갖는 HPFRCC 연결보 상세를 제안하고, 형상비 2.0 실험체를 통해 현행 기준에 만족하는 대각철근을 갖는 철근콘크리트 연결보와 이력거동을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HPFRCC의 횡구속 효과를 확인하였고, 횡구속 철근을 기준의 1/2로 배근하고 HPFRCC로 보강한 연결보는 현행기준에 따른 연결보와 유사한 내진성능을 보였다. HPFRCC 보강을 통해 대각보강된 철근콘크리트 연결보의 횡구속 철근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철근상세의 단순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철근 콘크리트 연결보의 하중 전달 기구와 변형 능력 (The Mechanism of Load Resistance and Deformability of Reinforced Concrete Coupling Beams)

  • 홍성걸;장상기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113-123
    • /
    • 2006
  • 콘크리트 부재의 내진설계에 있어 강도와 더불어 변형 능력은 중요한 요소이다. 연결보는 전단 지배 부재임에도 항복 이후 소성 변형을 요구하는 부재인데 본 연구에서는 연결보의 변형 능력에 대한 실험을 통해 변형 모형을 제시하였다. 일반적인 배근 형태를 가진 철근 콘크리트 연결보를 대상으로 단조하중실험을 수행하였다. 경간-깊이비, 휨 철근비, 전단 철근비를 변수로 하여 연결보의 거동을 평가하였다. 전단 지배 부재인 연결보는 아치작용과 트러스 작용으로 전단력에 대해 저항하는데 실험 결과를 통해 전단력을 두 작용의 구분과 항복 강도 발현 이후 소성 변형에 따른 두 작용의 구성비 변화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험결과에 기초한 전단 철근과 휨 철근의 변형률 분포 모형을 이용하여 휨 철근의 응력 상태를 산정하였다. 휨 철근의 부착-미끄러짐에 의해 결정되는 균열폭을 고려하는 연결보의 변형 모형을 제시하였다. 항복 상태는 휨 철근의 항복 시점으로 정의하였고, 극한 상태는 변형 증가에 따른 스트럿의 압축 강도 저하에 의해 결정되었다. 이 변형 모형은 변위기초설계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수치해석을 이용한 송전철탑 연결형 기초의 연결보 강성에 따른 거동 특성 (Finite Element Analysis for Transmission Tower Behavior Characteristic by Connection Beam Stiffness)

  • 최영호;경두현;이준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219-22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연약점토지반에 근입된 송전철탑 기초를 대상으로, 기초부보강공법의 하나인 연결형 기초 형식의 거동과 연결보 특성에 따른 성능발휘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유한요소 해석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송전철탑 기초에 연결보의 매트와 닿는 면적비율변화에 의한 거동 및 저항력 특성을 분석하였고, 송전철탑 연결형 기초 모형실험 결과를 이용하여 구축된 유한요소 해석 모델의 타당성의 검증을 실시하여 다양한 매개변수 해석을 통해 연결보의 강성 증가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여 송전철탑 연결형 기초의 거동에 효과적인 연결보의 강성을 선정 하였다. 또한, 연결보 자체 휨 모멘트 분포를 확인하여 취약부 분석을 실시하였다.

프리캐스트 병렬 전단벽의 연성도 해석 (Ductility Demand of Precast Coupled Shear Wall)

  • 홍성걸;김영욱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29-40
    • /
    • 1999
  • 본 연구는 초기 내진설계단에서 프리캐스트 병렬전단벽의 연결보의 필요한 연성도의 간단한 계산방법을 제시한다 프리캐스트 병렬 전단벽의 최상층 변위는 연속체 접근 방법으로 구한 부부과 구한 부분과 분절적으로 나타나는 수평접합부의 개폐로 인한 소성변위의 합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계산을 통해 시스템 레벨의 연성도와 부재 레벨의 연성도의 관계를 구한다 여기서 제안되 연성도 관계식으로부터 연결보의 강성이 증가하거나 강도가 벽체에 비해 작은 경우에는 연결보의 과다한 연성도가 필요하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이러한 연성도는 해당 층의 수평접합부의 개폐정도에 비례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고층부의 연결보는 수평접합부 개폐정도에 관계가 적음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