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역세권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3초

서울시 도시철도 환승역세권 유형별 대중교통이용자 특성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Transport Us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Transit Station Influence Areas in Seoul's Urban Railway's)

  • 임삼진;박준태;김태호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129-137
    • /
    • 2013
  • 본 연구는 최근 도시개발에 있어 관심사로 대두되고 있는 대중교통지향형 개발(TOD)에 대한 바람직한 개발방향을 모색하고, 서울시 역세권을 환승특성 유형별로 구분하여 실증분석을 통해 이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대중교통 이용자 특성에 미치는 영향력은 환승특성 유형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규명 되었다. 향후 수도권의 대중교통전략 수집 시 차별화된 영향요소를 기반으로 개선(안)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며, 향후 지속적인 대중교통 이용수요 증진을 위한 기초를 마련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또한 지하철역과 직접적인 연계를 하기 보다는 보조적인 수단으로 버스전용차로(BRT)를 적절하게 연계하여 현재 단일역세권을 거점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지역재생을 위한 철도역사 및 역세권 정비계획에 관한 연구 (인천광역시 백운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Railway Station & Surrounding Area for Regional Regeneration (Focused on Baegun Station of Incheon))

  • 신예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893-899
    • /
    • 2012
  • 본 논문은 경인선 백운역 및 백운역세권을 대상으로 철도에 의해 양분된 지역생활권의 단절 해소 및 철도시설 연변부지의 효율적 토지이용을 통한 입체적인 철도 환승시스템을 제안함과 동시에 철도 이용객의 편의를 도모하며 기존의 단절된 녹지축을 활성화하여 친환경적이며 안전하고, 편리한 주거환경의 개선을 통해 지역주민들의 삶을 한층 풍요롭게 하고 나아가 지역 생활권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있다.

접근도의 변화에 따른 역세권의 토지이용변화와 개발방향에 관한 연구 : 건대역을 사례로 하여 (A Study of Land Use Changes and Direction of Development of Surrounding Area of KonKuk Subway St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Accessibility)

  • 이희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69-90
    • /
    • 1997
  • 본 연구는 지하철 노선망에 따른 각 역들의 접근도를 산출하는데 있어 그래프 이론을 수정한 모델을 적용하여 접근도의 변화가 공간구조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것이다. 사례지역은 지하철 제 1기와 2기 노선의 증설에 따라 접근도가 상당히 향상된 건대역 주변으로, 접근도의 변화에 따른 역세권의 지가와 토지이용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지하철 개통 전${\cdot}$후를 중심으로 지가의 상승이 두드러졌으며, 간선도로변에서의 상승율이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제 2기 노선의 건설로 인해 간선돌변 뿐만 아니라 지선도로변에서도 지가의 상승과 고밀도화된 토지이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환승역인 건대역의 역세권역은 상세계획지구로 설정되어있어 앞으로 고밀도화된 상업지구로 개발될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새로운 강북 동부의 중심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보다 종합적인 개발방향을 모색하였다.

  • PDF

환승역세권 평가를 통한 TOD 계획 요소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TOD Planning Elements of Major Urban Railway Station Areas in Seoul)

  • 이준범;진원영;서은영;원제무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7권3호
    • /
    • pp.201-209
    • /
    • 2014
  • 세계도시의 철도역들은 새로운 역사개발 및 기존역사 재생에 있어서 대중교통지향형개발(TOD) 패러다임에 의한 개발을 실시해 오고 있다. TOD는 대중교통결절점을 중심으로 고밀화, 복합적 토지이용, 보행친화적 환경조성, 다양한 대중교통수단 연계 등을 융합한 도시개발이라 할 수 있다. 국내의 연구에서는 TOD 개발에 있어 정책적, 방향성 제시를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방법론적으로는 TOD 계획요소에 대한 대중교통이용률, 토지이용의 효율화, 지하철이용자수요와의 실증분석 등의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TOD의 주요 계획요소에 대한 미약한 현황분석은 TOD의 실질적인 정책적, 제도적 지원을 창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지 못하는 실정이며, 역세권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다양한 관점에서 고려되지 못하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FGI를 통해 TOD 계획요소를 도출하며, 역세권 반경 500m를 기준으로 분석한 자료의 표준화(Re-Score)값과 AHP 분석을 통해 산출된 계획요소에 대한 중요도를 곱하여 평가점수를 도출한다. 분석결과 TOD 계획요소의 중요도는 접근특성, 대중교통특성, 토지이용특성, 인구특성 순으로 나타났고, 서울시 32개 주요 환승역세권은 잠실역, 사당역, 교대역 등이 TOD 평가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 역사에서의 출구선택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Gate Choice Model of Subway Station)

  • 박지훈;이승재;김주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24
    • /
    • 2010
  • 현재 지하철 출구의 위치 및 크기는 경험적이고 직관적인 판단 하에 지하철 출구의 보행량에 의해 결정되어지는 상황이며, 지하철 출구를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용할지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하철 출구 선택 모형을 구축하여 출구에 대한 이용수요를 예측하고자 한다. 지하철 출구의 가장 중요한 선택 요소라 함은 목적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지를 어떻게 계량화 할 것인가는 본 연구의 주된 연구 내용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적지를 계량화하기 위하여 역세권의 토지이용계획, 버스노선수, 역세권 공간구조(Space Syntax 기법의 Depth 개념, 역세권의 도로 연장 등) 등에 대한 기본적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귀분석 모형을 구축하였다. 모형 구축 결과 지하철 보행량은 토지이용 중 상업지역의 연상면적과 역세권 공간구조의 계량화 지표인 Total Depth, 버스노선수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형의 검증은 강남역과 양재역의 각 출구 보행량을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이때 발생하는 출구 영향권 설정 문제에 관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지하철 출구 선택이 어떠한 요소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모형식을 통해 규명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향후 건설될 신규 지하철 역사에서의 출구 위치 및 크기 결정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도시철도 역세권 개발방안 (The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Impact Area around Urban Rail Transit Station)

  • 이태식;박경순;김영현;윤상윤;이종하;이동욱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93-199
    • /
    • 2006
  • The financial incomes of urban rail transit authorities have been only from the fares. In order to increase the customers and expand the scope of enterprise, it is the most feasible mean to develop the area around the stations. Current experiences have confronted the excessiv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and traffic congestion due to the lack of systematic planning and the excessive focus on the business. This study reviewed the necessity of the impact area around the urban rail transit stations by the organizational analysis for the urban rail transit authorities, and reviewed domestic/foreign case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impact area around the urban rail transit stations.

대전 역세권의 산학연 연계 개발 방안에 관한 연구 (A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Impact Area Around Dae-Jun Rail Transit Station in Relating with the Industry-University-Institute Collaboration)

  • 윤용기
    • 교육시설
    • /
    • 제15권4호
    • /
    • pp.14-2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newal methods of Dae-jun railway station areas, focusing on the domestic/foreign case studies of the railway station areas and the possibility of the Industry-University-Institute collaboration in this area.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the revitalization for the impact area around rail transit station in the aspect of urban spatial structure, mixed land use, type of facilities and exchanging transit system of mass traffic etc, as well as such non-physical aspects as Industry-University-Institute collaboration and administrative planning. It does so by strengthening ties between hardware and software studies of urban planning and University Facilities planning.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e strategy for the renewal of impact area around the rail transit s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