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역방향

검색결과 654건 처리시간 0.034초

방화벽 환경에서의 VNC 기반 역방향 원격제어 방법 및 시스템 구현 (A Method of VNC-based Reverse Remote Control and System Development for Firewall Environment)

  • 조명진;김선욱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87-888
    • /
    • 2009
  • 최근 원격 제어 시스템은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면 회사나 학교 등 원격지에 위치한 컴퓨터에 접속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해준다. 원격지의 컴퓨터를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게끔 해주기 때문에 재택 근무 등을 이유로 집과 학교와 같은 장소에서 동일한 컴퓨팅 환경을 구성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애준다. 그러나 최근 다양한 네트워크 공격과 해킹의 시도로 인해서 회사나 학교에서는 방화벽을 사용하여 외부로부터의 허용 되지 않은 패킷을 차단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점을 지닌 원격제어 시스템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외부에서 방화벽 내의 시스템을 접근할 수 있도록 역방향 원격제어 방법을 제안하고 오픈소스인 VNC를 기반으로 원격제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역방향 탐색을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분석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Advanced Hybrid Execution Using Reverse Traversal)

  • 장성수;최영현;임헌정;정태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83-885
    • /
    • 2011
  • 소프트웨어 분석 기법이 발전하며 다양한 종류의 악성 코드를 점검할 수 있게 되면서 이를 회피하기 위한 기술들이 등장하였다. 실행 시 스스로 코드를 변경하는 등의 진화된 악성 코드들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존재하는 실행되지 않는 경로에 대해서도 검사를 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프로그램을 읽어 CFG를 생성하고, 각 종료 지점에서부터 이를 역방향으로 순회하여 모든 실행 경로를 얻는다. 여기서 발생하는 오버헤드는 멀티코어 프로세서를 활용하는 다중 작업으로 완화시킬 수 있다.

딥러닝 기반 이산웨이블릿변환 네트워크 (Discrete Wavelet Transform Network based on Deep Learning)

  • 이주원;박찬승;윤영재;김동욱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7-35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영상 변환 기술인 이산웨이블릿변환(Discrete Wavelet Transform, DWT)를 딥러닝 기반의 네트워크로 구현한다. 딥러닝 기술 중에도 CNN 기반으로 네트워크를 설계하였으며, 본 DWT 네트워크는 해상도에 의존적이지 않은 계층들로만 구성된다. 데이터세트를 구성할 때 파이썬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레이블 데이터세트를 구성한다. 128×128크기의 gray-scale 영상을 입력으로 사용하고 이에 대응하는 레이블 데이터세트를 구성하여 1-level DWT를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학습을 진행한다. 역방향 변환도 네트워크 설계 후 데이터세트를 구성하여 학습을 진행한다. 학습이 완료된 1-level DWT 네트워크를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Multi-level DWT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또한 양자화에 의한 간단한 영상압축 실험을 진행하여 DWT 네트워크의 성능과 압축 등의 응용분야에 활용할 수 있음을 보인다. 설계한 DWT 네트워크의 1-level 순방향 변환 성능은 42.18dB의 PSNR을 보였고, 1-level 역방향 변환 성능은 50.13dB의 PSNR을 보였다.

  • PDF

기지국용 스마트 안테나를 적용한 MC/DS-CDMA 시스템의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MC/DS-CDMA System with Smart Antenna)

  • 박인규;김백현;신승훈;곽경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4B호
    • /
    • pp.291-297
    • /
    • 2002
  • 고속 데이터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점차 증대되면서, 한정된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통신 용량을 최대화하기 위한 연구 중 스마트 안테나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IS-95 방식은 IMT-2000 표준안 중의 하나인 cdma2000의 모체가 되는 시스템으로 역방향 링크의 확산이득과 왈쉬-직교화 변조 이득(Walsh-Orthogonal Modulation Gain)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그러나 역방향 링크 전송의 경우, 사용자들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신호들 간에 동기를 이루기 어려우며, 따라서 더 이상 사용자간에 직교성을 보장할 수 없다. 결국, 캐리어간에 동기 화되지 않는 MC-CDMA는 심각한 성능 저하를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스마트 안테나 환경에서의 MC/DS-CDMA은 역방향 링크에서 사용자간 비동기에서 초래되는 간섭을 시간 평면에서 데이터를 직접 확산으로 보상한다는 개념으로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 채널 환경에서 주파수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배열 안테나의 증가 없이 사용자간의 협대역 간섭량을 줄일 수 있었다.

DS-CDMA 역방향 링크에서의 Zone-based 전력제어 방식 (Zone-based Power Control Scheme for DS-CDMA Reverse Link Systems)

  • 윤승윤;임재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8A호
    • /
    • pp.868-878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서비스하기 위해 CDMA 순방향 링크에 제안되었던 Zone-based 전력제어 방식(1)의 역방향 링크 적용 타당성을 검증 및 분석하였다. Zone-based 전력제어 방식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각 트래픽 채널에 할당되는 최대 전력량이 결정되어야 한다. 순방향 링크에서는 기지국의 전력 자원을 다수의 트래픽 채널이 공유하기 때문에 각 트래픽 채널에 할당 가능한 최대 전력 자원을 결정하는 메커니즘이 요구되지만, 역방향 링크에서는 서비스 단말별로 전송되는 트래픽 채널에 할당 가능한 최대 전력 자원이 결정되어져 있는 특성으로 인해 Zone-based 전력제어 방식이 쉽게 구현될 수 있다. 실험 결과는 Zone-based 전력제어 방식이 기존의 전력제어 방식에 비해 전력 소비량과 이동국의 트래픽 성능에 있어서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결국 Zone-based 전력제어 방식은 멀티미디어 트래픽 환경에서 고속 데이터호의 서비스 반경을 셀의 전체 서비스 반경으로 확보할 수 있게 하고, 시스템 내에 생성되는 간섭 량을 억제하여 저속 음성호의 QoS도 적절히 보장해줄 수 있는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고속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부하 예측에 의한 역방향 전송속도 제어 (Reverse link rate control for high-speed wireless systems based on traffic load prediction)

  • 여운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11호
    • /
    • pp.15-22
    • /
    • 2008
  • 1xEV-DO 시스템의 각 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이진(binary) 제어정보와 고유한 확률모델을 기반으로 자신의 전송속도를 결정한다. 하지만, 이 전송속도 제어방법은 확률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동작을 예측하기 어렵고, 역방향 링크의 과부하를 억제할 수 있는 확실한 수단이 없기 때문에, 간섭 제한(interference-limited) 용량을 갖는 CDMA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지국이 역방향 트래픽 부하를 예측하고, 순방향 제어채널을 통해 단말의 전송속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제안한 방법을 다차원 마르코프 프로세스로 모델링하고 기존 방법들과 성능을 비교한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방법들과 비교하여 셀에서 지원할 수 있는 최대 전송효율(throughput)을 크게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