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성청년

Search Result 123,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A Study on Multi-dimensional Poverty of Female Youth in Korea (우리나라 여성청년의 다차원적 빈곤에 관한 연구)

  • Yoo, Ji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0
    • /
    • pp.85-91
    • /
    • 2019
  • Present study notes that youth poverty is not only an income deficit, but also a deficit in various dimensions of life such as housing, work and health deficit. Multidimensional poverty is measured by four dimensions: income, work, housing and health. The sample is a 2630 one-person household female youth pooled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10-Year Data. The analysis tool used SPSS statistical program, and the analysis framework was the deficiency rate by dimensio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eficiency dimension, and the overlapping rate of N dimension poverty. As a result, women's youth in Korea had higher deficit rate in terms of work and housing than other dimensions, and the proportion of women youth who were both poor in work and housing at the same time was also relatively higher than in other cas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poses the construction of customized job services, job matching with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allocation of one young woman's household among the targets of long-term chartered housing. Female youth's sharing-economy associ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lternatives.

인터뷰 - 이용욱 청년분과위원장

  • 한국낙농육우협회
    • 월간낙농육우
    • /
    • v.34 no.7
    • /
    • pp.130-131
    • /
    • 2014
  • 지난 5월 협회 청년분과위원장으로 추대된 이용욱 위원장으로 후계낙농인들의 어려움이라면 발 벗고 뛰어다니느라 여념이 없다. 6월 18일 충북농업기술원에서 개최된 여성낙농인 홍보요원화 교육에도 참석해 우유홍보요원화 교육을 받고 있는 여성낙농인들을 격려했다. 이용욱 청년분과위원장을 만나 청년분과위원회 운영과 미래 낙농업에 대해 들어봤다.

  • PDF

A Study of Work Transition Form of Female Youth (여성 청년층 집단의 취업이행 형태 연구)

  • 김태홍;김종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5 no.2
    • /
    • pp.41-68
    • /
    • 2002
  • This study explores school to work transition of female youth. Particularly, the analyses focus on a transition to the first job from the graduation, and exits of irregular employees from their first occupational status. Data used for the analysis are “The 4th Survey on Women's Employment”, collected by KWDI in 2001. The results show that it takes 1.54 years on average for transition.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 the probability of transition to the first job include economic situa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major at college education. The general high school educated are less likely to move into the labor market. Only a half percent of irregular employees at their first jobs exits to regular employees or non-economically active status, and education levels and age cohorts have clear impacts of those exits. Majors in college education and holding irregular jobs before the graduation significantly affect the probability of being regular employees, while industry influences the exits to be non-economically active status.

여성보다 아름다운 청년의 목소리 - 카운터테너 이동규

  • Yu, So-Ra
    • 주택과사람들
    • /
    • s.190
    • /
    • pp.30-30
    • /
    • 2006
  • 여성보다 아름다운 목소리로 세계 음악계의 주목을 받은 청년이 있다. 지난 1월 말, 프란시스코 비냐스 국제 성악 콩쿠르에서 대상을 비롯해 5개 부문을 수상한 카운터테너 이동규. 콩쿠르 이후 계속 유럽에 머문 그와 주고 받은 메일과 전화 한 통의 기록.

  • PDF

Youth Poverty and Employment (청년 빈곤 및 고용실태 분석)

  • Kim, Anna;Hong, Hyunwoo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9 no.2
    • /
    • pp.93-124
    • /
    • 2018
  • Using the Korean Survey of Household Finances and Living Conditions panel data from 2012~2016, this study analyzed youth (19~34 years) poverty and employment and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employment status. The analysis revealed an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young people who are students or jobless; the economic conditions of the young people varied by factors such as marital status, education, job status, and loans; and the government public transfer policy had little impact on reducing the relative poverty rate of the youth. We also examined the factors affecting the youth's employment status and the risk of being employed in low-paid jobs, using multi-logit and logit regression model respectively. Considering employment status, the older and more educated the youth were, the less frequently they were employed in temporary or daily jobs instead of regular one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genders in terms of having temporary or daily jobs. A logit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low-paid jobs demonstrated that women, the less educated, spouses or children of the household, and temporary or daily workers have a greater probability of working at low-paid jobs. As women became older, their risk of having low-paid jobs increased, which demonstrated the phenomenon of "lock-in" at low-paid jobs. Temporary or daily workers of all age groups faced a higher risk of lowpaid employment, which stood out for the youth.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government employment and welfare policies should consid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and their life cycle, along with efforts to supply decent jobs, continuously and stably.

대학생의 촉진초점 및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 Bae, Byeong-Yun;Lee, Ju-He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195-199
    • /
    • 2018
  • OECD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청년실업문제는 매우 심각하다. 높은 청년실업문제는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출산, 범죄 등의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창업은 단순히 청년들의 단기적 직업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미래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적자원을 개발시키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즉, 청년층인 대학생들의 창업을 북돋울 수 있는 방안과 연관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관계에서조절초점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강원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342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분석을 통해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은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했으며 실증연구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기업가 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성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기업가정신이 남녀 모두에 있어 창업의도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그 영향력은 남성에 비해 여성이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촉진초점이 남녀 모두에 있어서 창업의도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그 영향력은 남성에 비해 여성이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Tie-dyed Fashion Appeared in the American Women′s Costume of the Late 196o′s - Using a content analysis method - (1760년대 말 미국여성복식에 나타난 홀치기염 패션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 Kim, Hy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10
    • /
    • pp.1728-1737
    • /
    • 2001
  • 1760년대 말의 미국문화는 전통적인 가치관에 반발하는 청년문화운동의 화산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데 이러한 사회적인 변화는 복식에 새롭고 혁신적인 스타일을 가져오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특히 이 시기의 미국의 청년층에 의해 일어난 반문화적인 현상으로 인식되어 온 동앙문화의 도입은 미국의 여성복식에 tie-dyeing(홀치기염)패션의 출현으로 복식에 반영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까지 복식 학자들에 의한 단편적인 추론으로만 설명되어 왔던 1960년대 말 미국여성복식에 나타난 홀치기염 패션의 특성에 관하여 문화적인 배경에 관한 고찰과 함께 이 시기에 출판된 정기 간행물을 연구의 일차자료로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1955년부터 1975년 사이에 출판된 Vogue와 Mademoiselle 잡지에 실린 홀치기염 패션 사진자료를 내용분석법을 이용하여 수집하여 의류품목, 소재, 기법, 디자이너 및 제조업 체에 관한 내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두 종류의 잡지 모두에서 다양한 소재로 만들어진 여러 의류품목에 각종 기법으로 적용되었던 홀치기염 패션이 이 시기에 나타나, 청년층에서 시작되었던 이 패션이 미국의 대중 및 상류층의 복식에도 확산되었음이 밝혀졌다. 나아가 홀치기염 패션스타일이 가장 많이 보여졌던 1969년에서 1971년 사이의 기간은 청년층의 반문화적 현상이 절정을 이루었던 시기와 일치하고 있어서 이러한 급진적인 사회 현상이 그대로 패션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Critique of Hallyu, or K-Entertainment as a Gendered Meta-narrative -Focusing on Female Fans, Girl Groups, and Young Women (젠더화된 메타서사로서 한류, 혹은 K-엔터테인먼트 비판 -여성 팬, 걸 그룹, 그리고 여성 청년을 중심으로)

  • Ryu, Jin-Hee
    • Journal of Popular Narrative
    • /
    • v.26 no.2
    • /
    • pp.9-37
    • /
    • 2020
  •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transnational "Hallyu" (the Korean wave) phenomenon after the 1990s in the context of a solidarity movement of East Asian women. It also focuses on the passion for the world stage given the cultural industry wa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as a "chimney-less factory" during the IMF financial crisis. Over the past twenty years and through Hallyu 1.0, Hallyu 2.0, and Hallyu 3.0, "K-entertainment" has been advocated, as a concept that encompasses K-drama, K-pop, etc. in the cultural industry. Furthermore, everything Korean, through K-culture, is being put at the forefront.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discussion regarding the actions of the women who led the Korean wave. This paper examines the female fans and girl groups who played leading roles in the rise of popular culture and its transnational prominence within the context of the female agency and female labor involved. The lack of acknowledgment of their roles is linked to the current erasure of the discussion on the female youth. Discussion on "woman" is still limited to the domain of reproduction in the generational discussion that has replaced the existing nation-state or class led discussions in the current era of neoliberalism. However, since The reboot or the popularity of feminism in recent years, the interest in the female narrative, in works such as 'Kim Ji-young, Born 1982' has been expanding beyond East Asia to the rest of the world. Just as Hallyu was created by women in the beginning, there is a new trend in which women across national borders are joining in solidarity. As such,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prove that the female fan, girl group, and female youths must be one meta-narrative through a feminist reading, rather than individuals with separate identities.

A Study on the Regional Labor Market Experiences of Young Women in Jeollanam-do Province: Focusing on the Labor Mobility (전남지역 대졸 청년여성의 지역노동시장 경험연구: 노동이동을 중심으로)

  • Jun, Myung-Sook
    • Korean Journal of Labor Studies
    • /
    • v.24 no.2
    • /
    • pp.215-24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on the settlement of regional labor market of young women through detailed study on the experience of regional labor market in Jeollanam-do Provin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labor mobility experience in the regional labor market of young women, which lacked specific case studies. In this study, we have identified the causes of job changes by dividing the labor mobility of young women into intra-career moves and inter-career moves. For the causes of labor mobility we divided into two aspects: problems in preparation for employment and employment conditions. The inter-career moves included more diverse factors than intra-career moves. In the inter-career moves, problems in preparation for employment were highlighted as the causes of job changes. In the case of moving within the career, young women would leave because of the employment conditions such as the expiration of the employment period, but the turnover appears to be the way of retaining their previous caree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intra-career moves, the strong desire to maintain the career was shown, and at the same time, the possibility of leaving the region was also high. Based on the case study, this study proposed systematic career counseling for career match, and construction of career management system to support continuous career development.

The Countercultural Influence on American Youth Fashion - Indian Styles Appeared in American College Fashion - (미국청년 복식에 나타난 반문화의 영향에 관한 연구 - 미국대학 복식에 나타난 인도스타일을 중심으로-)

  • 김혜경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1 no.7
    • /
    • pp.1236-1246
    • /
    • 1997
  • 본 연구는 1960년대 미국의 청년층에 의해 일어난 반문화적인 현상으로 인식되어온 동양문화의 도입, 특히, 인도문화가 청년문화 전반에 끼친 영향과 더 나아가 이러한 환경변화가 미국대학복식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960년대 미국청년문화에 나타난 인도 문화의 영향은 철학, 종교 대중음악 등 다방면에서 보여졌으며, 또한 복식의 형태에도 반영되었다. 복식학자들에 의한 단편적인 추론에만 그쳤던 이러한 복식의 현상을 본 연구는 문헌조사에 의한 객관적이고 과학적인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입증하고자 시도하였다. Washington, D.C.와 San Francisco/Berkeley 지역에 위치한 7개의 대학교에서 1960년 부터 1975년 사이에 발행한 대학신문에서 연구자료를 수집하여, 체계적인 자료수집 및 분석을 위한 연구방법으로 사회과학분야에서 주로 사용되어 온 Content Analysis Method를 이용하였다. Content Analysis Method는 예비연구(preliminary study)의 결과를 기초로 인도 복식의 영향을 받은 미국대학복식의 형태를 크게 의복(clothes), 장신구(accessories), 직물(fabrics) 등의 3개 category로 분류하여, 다시 13개의 subcategory(kurta, midriff top, Nehru jacket/suit, Indian shirt/blouse/smock/dress, sari, Indian jewelry, Indian sandal, Indian urn, Indian bedspread. Indian embroidery, Indian print, madras, tie-dye)로 세분하였다. 복식의 형태에 의한 분류외에도, 대학신문의 광고나 기사에 실린 내용을 인도복식이 미친 엮향의 정보를 알아보기 위하여 Attribution information을 3 category(originated, attributed, connotated)로 분류하여 조사하였다. 더불어, 같은 문헌에 나타난 인도에서 도입된 4개의 주된 종교(Transcendental Meditation, Hare Krishna, Yoga. Divine Light Mission)의 빈도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13개의 가인도복식스타일(Indian style)의 Frequency(빈도), Attribution, Duration(기간)의 내응을 포함하는 표로 요약되었다. 또한, 연도별로 Indian style이 나타난 빈도의 Duration(기간)의 내용을 포함하는 표로 요약되었다. 또한, 연도별로 Indian style이 나타난 빈도의 합계와 연도를 축으로 하는 막대그래프를 작성하고 이 그래프에 Attribution Category의 내용도 함께 볼 수 있도록 정리하였다. 대학복식에 나타난 인도의 영향은 여성복식과 남성복식에 있어서 서로 유사점과 차이점이 보이는데, 인도의 영향이 여성복식에 있어서 그 빈도가 더 높고, 종류가 더 다양함을 볼 수 있다. 여성복식에 있어서는 12가지의 다양한 인도복식스타일이 나타났으며, 그중 가장 많이 보이는 스타일은 Indian Shirt/Blouse/Smock/ Dress이며, 그 뒤를 이어 Madras, Indian lowery등을 볼 수 있다. 남성복식애 나타난 7가지의 스타일 중에는 Madras가 가장 빈도가 높으며 그외의 스타일들은 그 빈도가 매우 낮음을 볼 수 있다. 인도의 영향의 정도 (Attribution Categories) 있어서는 여성과 남성복식 모두에 있어서 인도에서 직접 수입된(originated) item이 각각 전체의 90%와 81%를 차지하여, 인도복식의 영향은 받았으나 미국내에서 제작된(attributed and connotated) item 보다 휠씬 더 많은 수를 보였다. 인도복식스타일이 가장 많이 보여지는 시기(Peak period)는 여성과 남성복식에 있어 모두 1968년에서 1971년 사이로 공통점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미국 청년 문화에 전반적으로 나타났던 반문화적 현상과 동일한 시기로서, 이는 사회 현상이 복식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같은 시기의 대학신문에 나타난 인도에서 도입된 4 개의 종교 역시 1960년대 후반 부터 그 빈도가 증가하여 1970년에 리고의 빈도가나타낭으로서 앞의 결과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Washington,D.C.와 San Francisco/Berkeley 지역의 대학신문만을 연구자료로 사용하였으나 앞으로는 새로운 연구 자료의 발굴과 연구대상을 타 지역으로 확대시키므로서 미국내 전체의 청년복식에 대한 이해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