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성의 신체 이미지

Search Result 5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Relationship of Clothing Behavior to Body Image and Self-Esteem of Older Men and Women (노년층 남녀의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의 관계)

  • 황진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4 no.8
    • /
    • pp.1187-1196
    • /
    • 2000
  • 본 연구는 노년층 남성과 여성의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노년층 남성과 여성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둘째, 자아존중과 의복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며, 끝으로 의복행동에 대한 신체이미지와 자아존중과의 관계에 있어서 남녀간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규명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은 나이 55세 이상의 미국 남부와 거주하는 남성과 여성으로 302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108부를 자료분석에 이용하였다. 신체이미지는 신체 18부분에 대한 만족도로 측정하였고, 자아존중은 Rosenberg의 자아존중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의복행동은 의복태도, 유행의견선도력, 쇼핑에 대한 만족, 상점충성도, 의복비 지출을 포함하였다. 결과로 남녀 노년층에게 있어 신체만족도는 대부분의 의복행동과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유행선도력과 상표충성도에 대한 상관관계가 있어서만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자아존중은 남녀 모두에게 있어 대부분의 의복행동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유행선도력과의 관계에서만 남녀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lationship of Rhythmic Exercise Participation, Physical Image and Self-Esteem among Women (여성의 리듬운동 참가와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 Song, Kang-young;Koo, Kyoung-ja;Kim, K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8-160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 리듬운동 참가와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2009년 서울 경기도 지역 2009년 서울 경기도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스포츠센터, 일반동호회, 지역동호회, 댄스학원, 일반인을 대상으로 리듬운동에 참여하고 있는 20~50대 성인여성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집락무선표집법을 이용하여 300명을 추출 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리듬운동 참가여성은 비참가여성에 비해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둘째, 리듬운동 참가기간은 체형, 만족, 유연성요인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참가강도는 체형과 근력요인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리듬운동참가기간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며, 참가빈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성의 리듬운동 참가정도는 신체이미지 그리고 자아존중감에 인과적 영향을 미친다.

  • PDF

A Study on Body Image Satisfaction in Femal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여성 구급대원의 신체이미지 만족에 관한 연구)

  • Ra, Hyean-Sook;Park, Jeong-M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8
    • /
    • pp.3824-383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what baseline characteristic is most related with body image satisfaction and identify which items are the lowest score on body image and their related behaviors in femal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EMTs). Female EMTs(n=96) working in the G provence completed a battery of questionnaire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body imag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p=.007, 95%CI: 2.937~19.180) in female EMTs. Subjects were most satisfied with their sex(male or female)(M=3.34, SD=0.72) and they were most dissatisfied with sleep(M=2.61, SD=0.85). The skin protective behavi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kin concerns(p<.05).

Relationship of Leisure Dance Participation, Physical Image and Self-Esteem among Women (생활무용 참가가 여성의 신체이미지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Kwak, Han-Pyong;Koo, Kyong-J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8
    • /
    • pp.407-41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women's leisure dance participation, physical image and self-estee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0 female adults who were selected by cluster sampling from the population that consisted of women who were in their 20s to 50s. In the population, some women got leisure dance at fitness clubs, sport lovers' clubs and dance academies in Seoul and Gyeoggn Province as of 2009, and the others didn't. As for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e study,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 of the questionnaires was above .70. The major statistical methods utilized in this study were Frequencies, reliability factor analysis, analysis covariat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women who got leisuer dance evaluated their own physical image and self-esteem more favorably than the others who didn't. Second, the length of participation affected the body shape, satisfaction level and flexibility, and the intensity of participation impacted on the body shape and muscular power. Third, the length of participation had an impact on self-esteem, and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exerted a negative influence on that. Fourth, the degree of participation had a causal impact on physical image and self-esteem. In other words, the degree of getting leisure dance affected self-esteem in a firsthand manner and exerted a secondhand influence on that through physical image as well.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physical image was one of major parameters to link participation in rhythmic exercise and self-esteem.

Body Image I: A Comparison of Ideal Beauty, Body Image,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mong Korean and American Women (바디이미지 연구(제1보): 한.미 여성의 이상적 미, 바디이미지와 외모행동에 관한 연구)

  • ;Nancy A. Rudd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5
    • /
    • pp.969-980
    • /
    • 2001
  •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한.미 여성의 이상적인 미, 바디이미지, 그리고 외모행동을 비교조사 하는데 있다. Open-Ended Questions에 의한 연구 결과, 이상적인 미로 미국여성이 \"키크고 마른 신체 매력성\"을 추구한 반면, 한국여성은 \"내적인 미\"와 \"서구적인 신체 매력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적인 미를 추구하기 위해 미국여성은 주로 신체의 하체부분, 한국여성은 얼굴부분을 많이 가꾸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행동으로는 한국여성은 화장이나 피부관리 등에, 미국여성은 excercise나 다이어트 등을 많이 하고 있었다. 사회.문화적 이상적인 미에 비교해 볼 때 두 집단 모두 자신의 외모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는 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두 나라 집단의 여성들은 각 나라마다 사회.문화적 이상적인 미가 각각 존재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에는 이상적 미의 기준이 문화에 관계없이 동일한 편이라고 응답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문화적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개념을 토대로 이러한 연구결과들이 논의되어 진다.주의 개념을 토대로 이러한 연구결과들이 논의되어 진다.

  • PDF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 연구 - 1990년대 여성복을 중심으로 -

  • 이화정;채금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1.04a
    • /
    • pp.41-41
    • /
    • 2001
  • 본 연구는 1990년대 밀리터리 패션에서 성적 이미 지의 표현양상을 살펴보고 각각의 미적 특성과 형성 요인을 분석하여 현대 여성의 다양한 미적 가치와 미의식을 이해하고자 한다. 1, 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자연스럽게 등장한 밀 리터리 패션은 20세기 초반에 여성의 사회참여와 지 위 향상으로 인해 실용성과 기능성을 추구하였고 중 반에 들어서면서 히피와 젊은 세대들에 의해 반전운 동의 일환으로 입혀져 안티패션의 의미를 내포하게 되었으며 후반에는 포스트모더 니즘으로 인해 다양성 을 추구하는 복고풍의 패션 트랜드로서 각종 컬혜션 에서 부각되었다. 그 결과 밀리터리 패션은 기존의 남성적 이미지뿐만 아니라 여성적 이미지도 표현하 게 되었다. 이러한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 미지는 권위적 이미지와 공격적 이미지의 남성적 이 미지와 보수적 이미지와 과시적 이미지, 관능적 이미 지의 여성적 이미지로 표현되어 나타났다. 남성적 이미지는 자유주의 페미니즘과 관련하여 남성 중심적 사고 방식에 도전하고자 하는 여성들의 자아의식이 한층 강하게 작용한 일종의 반 패션 현 상으로 권위적 이미지와 공격적 이미지로 특정지을 수 있다. 첫째, 권위적 이미지는 주로 고전적 군복과 제복의 이미지를 차용해 군복이 가지는 권위와 위엄을 표출 하였으며 남성 우월주의에 기초한 영웅주의를 가시 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떳떳하게 자신의 위치를 세 우고자 하는 여성들의 욕구를 대변하였으며 영웅주 의와 가부장제도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공격적 이미지는 권위적 이미지에 대한 저 항과 기존의 성 정체성에 대한 저항으로써 전위적인 형태와 해체적인 표현으로 본래의 위엄있는 군복의 이미지를 무너뜨려 남성다웅의 표면적인 메시지를 약화시키고자 하였으며 반체제 정신, 성 정체성에 대 한 저항, 해체주의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여성적 이미지는 급진주의 페미니즘과 관련하여 여성 본래의 성을 부각시키고 여성이 주체가 된 여 성중심적 사고로 여성의 감성적 심리를 패션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보수적 이미지, 과시적 이미지, 관능적 이미지로 특징 지을 수 있다. 첫째, 보수적 이미지는 남성적 영역이라고 믿어왔 던 군복에 여성성을 강조하여 가늘고 유연한 실루엣 과 곡선적인 라인, 색채. 심플한 디테일만으로 밀리 터리 패션을 표현하여 남성중심의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여성도 사회의 중심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 였으며 남성 권위의 추락이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 였다. 둘째, 과시적 이미지는 전통적 군복이 과거의 상 류층 엘리트들만의 아이템이었듯이 현대의 여성들은 신분과 매력의 과시를 표현하고자 금속 단추나 벨트 등 기타장식을 부각시킨 밀리터리 패션을 착용하였 으며 엘리트층에 대한 동경이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관능적 이미지는 신체의 간접적인 노출과 직접적인 노출을 통해 여성의 신체에 의한 에로틱한 관능미를 부여하고자 하였으며 나르시시즘과 보이고 자 하는 욕구, 성적 유희가 그 형성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그러므로 밀리터리 패션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에 관한 연구는 패션을 통해 자아를 표현하고 미적으로 자기완성의 방편을 삼으려고 한 현대 여성들의 가치 관과 미의식을 이해하며 이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패 션 트랜드와 디자인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Image Pursuit Behavior according to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of Women using Image-Based SNS (이미지 기반 SNS 사용 여성의 신체감시성, 신체수치심에 따른 이미지추구행동 연구)

  • Hyunok, Lee
    • Journal of Fashion Business
    • /
    • v.26 no.5
    • /
    • pp.22-35
    • /
    • 2022
  • This study examines the image pursuit behavior according to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of image-based SNS-used women.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215 SNS-used women aging between 20 to 30 years old. The SPSS 25.0 package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which includ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surveillance, body shame single factor, and subfactors of image pursuit behavior(conformity, instrumentality, fashion pursuit, attractiveness pursuit, ostentation pursuit, interpersonal). It was observed that body surveillance and body sham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all the factors of image pursuit behavior. Body surveillance demonstrated a high influence on attractiveness pursuit while body shame demonstrated a high influence on ostentation pursuit. Body surveillan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ody shame.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social media on the psychological attitude and consciousness of women with regard to their body and image pursuit behavior. In addition,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help to systematize women's theoretical physical consciousness, establish product strategies for physical appearance-related industries, and set marketing directions.

A study on the attitude of make-up according to Women's body image & self-image (여성의 신체이미지와 자아이미지에 따른 화장태도 연구)

  • Seo, Ran-Su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2 no.1
    • /
    • pp.475-489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make-up culture of women by disclosing attitudes of make-up as to whether there will be differences or not according to personal weight interests & self-image. The study was performed with 218 consecutive women between the ages of 30 and 50 over 2 months from April 10th, 2012 till May 30th, 201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make-up attitudes according to concerns of weight interests and self-image, there is no difference of make-up attitude by sophisticated image and pure image in case of weight concern. Bu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make-up attitudes by concerns of weight interests in activities image. Second, highly populated group of sophisticated image, pure image, and active image has more activities of make-up attitudes. The higher concerns of appearance and the higher self-image, there was more positive attitude of make-up. Third, highly populated group of pure image and active image has more positive attitude of make-up in case of higher physical attractiveness.

The Study of Ideal Body Images based on the Product Types in Fashion Magazine Advertisement (패션잡지 광고상품의 유형에 따른 이상적인 신체미에 대한 연구)

  • Kwon, Gi-Young;Helvenston Sally 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30 no.12 s.159
    • /
    • pp.1672-1682
    • /
    • 2006
  • Attitudes about the ideal body are influenced by media, including fashion magazine advertisements. The purpose of our study was to analyze the ideal body image for males and females in contemporary society. We analyzed the contemporary ideal gender image through the examination of physical characteristics(body type, age), and fashion styles(hair, make up, supplements, clothing styles, body exposure) in fashion advertisements published in Gentlemen's Quarterly(GQ) and Vogue issued during 2002. The results indicate some blurring in masculinity and femininity resulting in gender neutralization and naturalness pursuing natural appearances. But, some previous beauty norms related to masculinity and femininity remained.

Study on the Apparel Shopping Behavior of Obese Women in Relation to Interest in Weight Control (성인비만여성의 체중조절행동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최영순;권순기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1 no.7
    • /
    • pp.135-145
    • /
    • 2001
  • 현대사회에서는 시각적 이미지를 표현수단으로 하는 대중매체의 등장으로 자기 신체에 대한 미의식이 고조되어 있으며 체형의 불균형으로 인한 신체적 불만족을 보상하기 위해 여성복은 이미 여성의 신체를 사회적 이상에 맞게 수단으로 이용되어 과거 어떤 시기보다도 신체이미지를 바꾸기 위해 옷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반해 비만체형의 소비자들은 자신의 외모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의복구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들에게 잘 맞는 의복을 선택할 기회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의류시장에서 소외되어온 비만 체형 소비자를 대상으로 첫째. 체중조절행동과 의복쇼핑행동간의 상관성을 규명하고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쇼핑행동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조절 행동에 따른 쇼핑행동 요인과의 관계에서 다이어트 경험의 유무, 자기지각체형, 체중조절 관심정도, 체중조절 동기에 있어서 부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쇼핑행동의 차이를 파악해 본 결과 연령, 결혼여부, 학력, 직업, 가계수입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관련업계에 잠재된 중요한 여성복 시장임을 인식시킬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함과 아울러 침체된 패션산업의 새로운 틈새시장으로서의 여성복 시장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