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여성복지 정책

Search Result 26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노무현 정부 여성복지정책 - 사회복지학회 자유발표 논문 초안 -

  • Jung, Jae-Hun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5a
    • /
    • pp.377-38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여성복지정책 개념이 갖는 지향성에 따라 노무현 정부 여성복지정책과 김대중 정부 여성복지정책을 비교함으로써 노무현 정부 여성복지정책의 성격 규명을 시도하였다. 부녀복지정책에서 여성복지정책으로 개념이 진일보한 1990년대 이후 여성복지정책은 일반 여성을 대상으로 한 정책이라는 막연한 이미지 전달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이같은 여성복지정책 개념은 여성복지정책이 추구하는 사회적 기능의 회복, 인간다운 삶 등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추상적인 나열을 하는 데 그침으로써 성차별 문제를 희석시키는 한계를 보인다. 따라서 김대중 정부 이후 대중적 차원에서 자리매김을 확고히해 가고 있는 여성복지정책의 성격이 좁은 의미에서 복지 문제와 넓은 의미에서 성차별 문제 중 어느쪽에 비중을 두면서 변화해 가고 있는지 혹은 변화해 가야 하는지 등에 대만 분석과 전망을 제대로 제시할 수 없는 제한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정책의 한 영역으로서 '여성복지'를 보는 여성복지정책과 '여성정책'의 한 영역으로서 '여성복지'를 보는 여성복지정책의 차원에서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 여성복지정책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였다.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여성복지정책의 변화 양상은 어떠한가? 여성복지정책과 여성복지정책 중 어떤 차원으로의 변화가 두드러진다고 볼 수 있나? 김대중 정부 여성복지정책 기조가 노무현 정부에서 계승되는 양상은 어떠한가? 노무현 정부 여성복지정책 기조는 여성복지정책과 여성복지정책 중 어느 것이 될 것인가? 김대중 정부 출범 이후 사회보험을 중심으로 일어난 변화는 여성복지정책이 전통적인 부녀복지정책 개념에서 탈피하는 양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고 알 수 있다. 또한 여성의 소득 수준 향상 등 여성복지정책적 측면에서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그러나 여성복지정책적 성격을 드러낼 만큼 여성복지정책이 성차별 문제 해소에 중점을 두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게다가 공공부조에서는 성차별 문제나 복지 문제 중 어느 것에 초점을 둔 정책 방향의 일관성을 발견하기 힘들다. 대통령 공약 사항을 중심으로 살펴본 노무현 정부 여성복지정책은 사회보험 대상자 확대라는 측면에서 여성복지정책적 차원의 단초를 보이고 있으니, 정색 기조는 김대중 정부의 여성복지정책 흐름을 계승하고 있다. 그러나 노무현 정부 출범 이후 관찰할 수 있는 정색 환경의 변화로서 여성부 기능 강화와 급격한 인구학적 변동을 고려할 때 정책 추진 주체 변화를 전제로 한 여성복지정책 강화를 예측해 볼 수 있다.

  • PDF

5월 여성가족부 발족, 보건복지업무 일부 이관

  •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 Social Workers
    • /
    • no.4 s.36
    • /
    • pp.4-13
    • /
    • 2005
  • 2004년 12월 17일, 정부혁신위원회는 가족정책을 기존 보건복지부에서 여성부로 이관 할 계획이라고 밝혔는데, 지난 3월 2일 국회 본회의에서 이와 관련된 '정부 조직법'이 통과됨으로써 오는 5월부터 본격적으로 가동되게 된다. 이는 여성부가 여성가족부로 확대, 개편됨에 따라 앞으로 가족정책을 모두 총괄하는 기능을 갖는 다는 의미인데, 작년 사회복지제도가 격렬하게 반대의견을 내건 '건강가정기본법'과 '모.부자복지법이 이관된다. 이 같은 변화는 지난 2001년 여성의 권익증진, 차별개선 등 여성정책 시행을 위해 여성부가 출범하여 지난해 '영유아보육 업무'를 이관 받은 뒤 5년도 체 안되어 가족업무까지 맡겨져 여성부의 어깨를 한층 더 무겁게 하는 것이다. 정부혁신지방분권위는 작년 말 이 같은 계획을 발표하여 전통적 가족구조가 무너져 가족해체 현상이 크게 나타나며, 이에 대한 국가차원의 종합적인 예방정책의 1단계로 이같이 조정했다고 밝혔다. 그리고 이전부터 여성청소년가족부를 만들어 통합관리하자는 주장을 제기해 온 여성부도 이번 변화에 대해 굳은 의지를 보였다.

  • PDF

Study on Integrating Women's Policies in Unified Korea : Social Welfare Policy (통일한국의 여성정책 통합방안에 관한 연구 : 사회복지정책 부문)

  • Kim, Young-La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36
    • /
    • pp.39-69
    • /
    • 1998
  • The study is to grope for the unified device of the women's welfare policy in the United Korea by considering and comparing with the women's welfare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centering on the women's welfare law and system among the social security laws and systems in the present both countries. The both Koreas have enforced the different women's welfare polici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ideologies and constitutions. But in the welfare policy women are in the secondary stage by means of the ideology of sexual devision. It, therefore, is clear that the position of the North Korean woman goes in advance of the South Korean woman in the law and system. However, they are similar to the North Korean women in the aspects of the application of law and system. That is, both of them are discriminated not only in home and labor participation, but also in social welfare. There are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and sexual devision of labor under the discrimination against woman. As though the both sexes are equal in law, the welfare law and system are applicated unequally to woman because of the ideology of sexual devision and familism which family should take the primary responsibility of welfare. From this perspective the women's welfare policy of the United Korea is not just to unify both laws and systems related women's welfare, but to search for the convergence on the higher level of quality and to make the real gender-equal society. The study suggests as the women's welfare the spread of the application of social welfare system, and social security network constructed through the mother protection policy, women's poverty and social security on basis of the primary principles such as the gender equal right as civil right, benefits of social welfare as social right, escape from the patriarchal familism, strengthening of resposibility of state and the principle of women participation in process of social welfare management. The device of women's welfare means building the social welfare system based on the real gender equality, so the unification will be the important turning point for the gender-equal society to the South-North Korean women.

  • PDF

Women's Welfare and Social Welfare Policy in Korea (한국의 여성복지와 사회복지정책)

  • Dong-Hwa, Aan
    • Journal of Advanced Technology Convergence
    • /
    • v.1 no.2
    • /
    • pp.49-55
    • /
    • 2022
  • Women's welfare needs to claim a women-centered and independent welfare implementation line rather than simply staying within the framework of overall social welfare. A significant number of existing women's welfare programs have shown a tendency to protect women under the patriarchal premise. However, women's welfare in the future should go in the direction of helping wome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s an individual out of the limited frame of family. Providing compensation for protecting dependent families is also an important aspect of women's welfare.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he government provides economic direct and indirect compensation to women who have lost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labor because they have to take care of children, the disabled, or the elderly.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welfare can be improved by inducing men's participation in reproductive activities through social education and relieving women's obligations to their families.

Global Standard에서 본 한국의 출산복지와 출산위기

  • Park, Seon-Suk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4a
    • /
    • pp.423-444
    • /
    • 2005
  • 본 논설은 1960년대 초 이래로 강력히 시행되었던 만국의 출산억제 정책이 여성들의 삶과 새로운 가족규범 및 사회 전반에 미친 영향력에 관하여 Global Standard의 출산복지라는 잣대에 준거하여 검토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연구 방법론으로는 문헌조사 및 인터뷰를 사용한다. 문헌조사를 통하여 한국 정부 및 국내외관련기관들에 남겨진 기록들을 검토하고 인터뷰를 통하여 산아제한운동에 직접 관여하였거나 깊은 관심을 갖었던 주요 인사들의 증언을 수집한다. 구체적으로 1961년부터 1992년까지 시행된 한국의 출산율 감소정책에 대한 사례연구를 Global Standard의 출산복지에 비추어 검토한다. 한국의 인구통제정책의 근원을 밝혀내고 만국의 출산율 감소정책이 공식화되고 시행되는데 관련되었던 국내외의 세력들을 탐색해 본다. 특히 주요 정치인들과 정책 결정자들이 여성의 자율적 출산권(出産權)을 통제하게 된 동기, 철학 그리고 배후의 이익 등을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정책의 여러 측면들을 탐구한다.

  • PDF

Nursing in Family and Welfare: Political Meanings of the 'Pflegeversicherung' (가족내 간병과 간병보험의 복지정책적 함의)

  • 이진숙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4 no.1
    • /
    • pp.183-202
    • /
    • 2001
  • Traditionally the women have had responsibility for homework, blinding-up of the children and caring of the aged in the family. But in models society the women would like to take jobs much more than in the past, and therefore women who have jobs are in the condition of mental and physical stress very heavily. So it is urgently needed of the social-political arrangements for caring-worker in the family (generally the women). This paper examines this problem, especially problem of the nursing of the aged in the family, and compares the political arrangements between in Korea and Germany.

  • PDF

Gender Perspective and Women's Welfare Policies in Korea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a Survey on the Degrees of Perceptions of Women's Welfare Policies, Needs, and Satisfactions- (성인지적 관점과 한국의 여성복지정책 -여성복지정책인식, 요구도, 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

  • 박미석;송인자;한정원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2 no.2
    • /
    • pp.195-212
    • /
    • 2004
  •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survey of welfare beneficiaries, aiming to set up the gender-equal welfare policies. Through the survey, this research examines status of women in the family and society and also examines, the degree of perception of women's welfare policies, needs, and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e current welfare policies that are limited to needy women should expand its range, enforcing the infra structure. That employment policy for women turned out to be very important in welfare policies. Demand for more enlarged welfare policies is quite high, especially in housing, employment and elderly care. On the contrary, the degree of satisfaction degree appears quite low because of unrealistic welfare program and benefits. In order to improve the welfare policies, more active and realistic employment policies should be emphasized with the proper support for family life. To raise the status of women, proper policies for women's economic independence should be set up. In addition,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should be encouraged in the whole society. Also, women's participation in politics and decision-making process is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