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여가활동 경험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1초

직장 내 여가경험이 직무태도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긍정정서의 매개효과 검증)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Experience and Job-attitud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Emotion)

  • 이호건;전병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1188-1196
    • /
    • 2011
  • 최근 많은 기업들이 즐겁게 일할 수 있는 조직분위기를 조성하여 조직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Fun경영'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업무활동과 관계없는 여가활동을 지원하고 활성화함으로써 조직분위기를 고취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성과를 향상시키려고 한다. 본 연구는 국내 기업에서 실시하고 있는 직장 내 여가활동에 대해 참가자들이 느끼는 여가 경험을 확인하고, 여가경험이 구성원 정서 및 직무태도,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여가경험과 직무태도,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의 매개 효과에 대해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직장 내 여가경험은 조직구성원의 긍정정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성원의 긍정정서는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정서는 여가경험과 직무태도 및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직장 내 여가경험에 대한 본 연구는 Fun경영 활동 중 업무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여가활동이 구성원의 정서관리에 효과적인 수단임을 확인한다. 연구결과는 Fun경영 설계 시 여가활동 자체보다는 여가경험을 통한 긍정정서의 유발이 더 중요함을 시사한다.

여가활동이 수면장애 노인의 우울, 자존감,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isure Activities on Depression, Self-Respect and Sleep Quality in the Elderly with Sleep Disorder)

  • 김동현;김형민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4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여가활동을 통한 수면장애노인의 여가경험, 여가정체성, 우울, 자존감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2018년 3월부터 동년 7월까지 수면장애가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여가활동을 4주 이상을 적용하였다. 여가활동 적용 전과 후의 우울, 자존감, 수면의 질은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여가활동에서 여가경험, 여가정체성 그리고 변화는 확인적요인분석을 통한 구조방적식모델분석(SEM)을 실시하였다.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 전, 후의 우울 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0). 둘째, 여가활동 전, 후의 자존감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p=.182). 셋째, 여가활동 전, 후의 수면의 질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00). 넷째, 여가활동에서 여가경험, 여가정체성, 변화에 대한 영향은 여가경험이 여가정체성과 변화에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가정체성은 변화의 요인 중 우울과 수면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노인에게서 나타날 수 있는 수면의 질 저하는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수면장애를 가진 노인들의 여가활동적용이 노인의 우울 수준과 자존감 그리고 수면의 질에서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도시 여가활동의 참여행태 및 요인분석 (Analysis of Participation Behavior and Factors of Urban Leisure Activity)

  • 김상황;윤대식;김갑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1-48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여가활동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비통근통행에 대한 연구가 통근통행에 대한 연구에 비해 극히 부진하였다는 점을 감안하여 도시민의 여가활동을 위한 통행행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여가활동 유형을 6개의 범주로 구분하여 도시민의 여가활동 유형별 참여요일과 참여시간대에 대한 선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03년 4월에 대구 및 포항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를 실시하였고, 이 자료를 이용하여 네스티드 로짓모형을 추정하고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시민의 여가유형별 참여요일 및 참여시간대 선택행태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참여시간대 선택모형(조건부 모형)의 추정결과를 보면 나이, 성별, 소득, 여가 유형별 1회 평균 소요시간, 여가활동 소요시간(1주일), 주5일 근무제 시행에 따른 여가시간의 증가가 도시민의 여가활동 참여시간대 선택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참여요일 선택모형(한계 모형)의 추정결과를 보면 나이가 많을수록, 주중에 여가시간이 많을수록 주중에, 그리고 남성일수록, 소득이 많을수록(레저스포츠 활동은 제외), 여가 유형별 1회 평균 소요시간이 많을수록 주말에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경향이 있음을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아울러 모형의 경험적 추정결과는 본 연구에서 가설화된 네스티드 로짓모형의 타당성을 입증케 한다. 즉 도시민의 여가활동 참여시간대 선택은 참여요일 선택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면서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스마트폰 기반 경험표집법을 통해 수집된 작업균형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몰입과 정서경험 분석 (Analysis of Flow and Emotional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 Among Type of Occupational Balance Using Experience Sampling Methods Based on Smart Phone)

  • 홍승표;유연환;권재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227-23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경험표집법을 통해 학생들의 작업균형 유형을 구분하고, 그에 따른 몰입과 긍정 부정정서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대학생 12명에게 하루 8회, 5일간 경험표집법을 시행하였다. 경험표집법을 통해서 외적경험으로는 주활동을, 내적경험으로는 몰입과 긍정 부정정서 상태를 파악하였고, 주활동의 빈도수에 따라 작업균형유형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작업균형유형으로는 일상생활군 3명, 노동과다군 8명, 작업균형군 1명이었다. 일상생활군에서는 무관심을 경험한 활동이 34%로 가장 높았고, 노동과다군에서는 노동활동에서 몰입을 경험한 활동이 41%로 가장 높았다. 작업균형군에서는 노동과 여가활동의 빈도가 높았지만, 여가활동에서 지루함을 많이 경험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주활동 시 몰입을 경험할 때 긍정정서의 평균값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작업균형유형에 따른 작업수행영역별 몰입경험에 차이가 있음과 몰입을 경험하는 활동 시 누적된 긍정정서가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경호.경비요원의 여가 유형과 여가 태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guard Leisure Types and Attitude toward Leisure)

  • 정주섭;박정훈
    • 시큐리티연구
    • /
    • 제31호
    • /
    • pp.101-123
    • /
    • 2012
  • 경호 경비요원의 삶과 생활은 일반인들과는 확연히 다르다. 현재 일반 산업현장에서는 이미 주 5일 근무가 현실로 다가왔고 현재 일부 사업장의 주 40시간 근무제의 단계적 적용에 따라, 2012년 모든 사업장의 주 40시간 근무제 실시가 가능할 것으로 보여 진다. 멀지 않은 앞날에 우리는 노동시간보다 개인시간이 많아져 여가를 고민해야하는 시대를 경험하게 될지도 모른다. 개인의 성향 및 가치관의 변화 등의 여러 가지 이유에서 발생되고 요구될 만족스러운 여가활동 문화가 충족 되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경호 경비요원의 생활 중 약간의 개인 시간 활용이 주어질 경우 경호 경비요원 자신의 충전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Bagozzi(1981)는 태도, 의도 그리고 행동 모델에서 태도는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행동의도는 다시 행동으로 영향을 준다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와 같이 여가태도의 행동적 태도는 행동의도와 관련이 깊으므로 여가 만족감에 따른 참여의도는 여가활동 참여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스포츠활동과 취미 교양활동이 높은 참여를 나타났는데 이것이 바로 행동적 태도에 반영된 것으로 보여 진다. 행동적 태도는 여가활동과 경험에 관하여 개인의 과거의 경험, 현재의 의도 및 행동 패턴 등의 활동적인 면을 말한다. 따라서 행동적 태도는 행동의도와 깊은 관련이 있으므로 여가활동 참여가 높은 사람이 그 만큼 여가태도의 행동적 태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여 진다. 여가 유형 중 스포츠 활동이 다른 여가 유형에 비하여 여가태도가 긍정적이다. 한편 여가 유형에 따른 여가태도의 하위 변인에 있어서 여가태도의 차이는 모두 스포츠 활동이 높다.

  • PDF

청소년의 적극적 여가활동 시간가용성과 투자시간 관계 연구 (Relationship between time availability and time invested in leisure activities in adolescents)

  • 유비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60호
    • /
    • pp.25-57
    • /
    • 2017
  • 청소년들의 성장과 발달에 있어 정기적이고 적극적인 여가활동이 미치는 긍정적 영향은 널리 알려진 것이다. 그러나 우리사회 전반이 경험하고 있는 부족한 여가의 양과 이를 필두로 야기되는 다양한 여가제약 속에서, 그러한 활동의 영위 혹은 확대는 쉽게 확신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적극적 여가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 중 하나로, 여가활동의 자유로운 수행을 의미하는 시간가용성의 적용을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들의 여가활동을 지원하는 공공시설인 청소년 수련시설 이용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청소년 개인적 차원의 시간가용성과 시설이 가진 구조적 차원의 시간가용성이 해당 여가활동에 대한 개인들의 투자시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적 차원의 시간가용성은 물론, 여가활동이 발현되는 구조적 차원의 시간가용성이 높을수록 청소년들의 여가활동 투자시간의 양 역시 많았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원활한 여가활동 지원에 관한 정책적 실천적 함의 등을 논의하였다.

은퇴 후 부부의 여가활동 경험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생성감과 자아통합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Couple's Leisure Activity Experience on the Life Satisfaction after Retirement: Focusing on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Generativity and Ego Integration)

  • 주용국;이양희
    • 한국노년학
    • /
    • 제38권4호
    • /
    • pp.905-922
    • /
    • 2018
  • 본 연구는 은퇴 후 부부를 대상으로 여가활동 경험, 생성감, 자아통합감, 생활만족 간의 관계에서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생성감과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은 SPSS for window 21.0프로그램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먼저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요 변인들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확인적 요인분석과 가설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 절차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 경험과 생활만족, 생성감, 자아통합감은 각각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연구모형에서 은퇴 후 부부의 여가활동 경험과 생활만족에서 생성감 및 자아통합감이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은퇴 후 부부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주는 직접효과보다 생성감과 자아통합감의 매개를 통해 생활만족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은퇴 후 부부를 같이 조사한 것이 아니라 은퇴 경험이 있는 당사자나 은퇴한 남편을 둔 부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함에 있어 한계가 있다. 이에 부부와 각자의 배우자가 생활만족을 느끼는 데 차이가 있고 이에 따른 변인 간의 경로 간 유의성에도 차이를 보일 수 있어 후속연구에서는 아내와 남편으로 해서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예비유아교사의 여가활동 실태와 스트레스 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isure activities and the level of stress for pre-service preschool teachers)

  • 강신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95-11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의 여가활동 실태와 스트레스 수준을 알아봄으로써 예비유아교사의 생활지도를 위한 참고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하여 557명의 유아교육과, 아동복지학과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인구학적 변인, 여가활동, 스트레스수준으로 구성되었다. 분석은 spss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은 여가활동이 제한적이며, 학업수행에 대해 스트레스 수준이 높고, 수입과 지출의 불균형을 경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에 대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의 여가활동을 다양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어야 한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의 학업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의 건강한 생활패턴과 건전한 경제생활을 위한 생활지도가 요구된다.

여가활동, 여가동기, 자기효능감 및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 (The relation of Leisure participation motivation, Activity, Self efficacy and Subjective well-being)

  • 채선애;한성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8권2호
    • /
    • pp.17-31
    • /
    • 2002
  • 본 연구는 지금까지 여가현상 규명의 영역이 체육학이나 관광학등에 편향되어왔음을 지적함과 동시에 여가 활동, 여가참여동기, 자기효능감 및 주관적 안녕감간의 관계를 통해 한국문화권에서의 여가 현상을 이해해보기 위해 수행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 1) 한국의 여가동기와 여가활동의 양상, 2)각 여가동기와 자기효능감간의 상관관계 그리고 3)각 여가동기와 주관적 안녕감간의 상관관계를 설정하였고, 대학생 270명을 통해 연구결과가 크게 3가지로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여가동기는 자기개발 및 자기향상동기와 정서 및 심리적 안정추구동기로 나누어지며, 전반적인 여가활동은 소위 정적이며 소극적이라고 불리어지는 활동들이 나타났고 둘째, 분류된 두 동기에 따른 개개인의 자기효능감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셋째, 정서 및 심리적 안정추구동기로 여가를 경험한 개인이 자기개발 및 자기향상동기로 여가를 경험한 개인보다 주관적 안녕감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들은 여가활동과 여가동기에 대한 문화적 인식에 따라 여가현상에 대한 이해 및 인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함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 PDF

여가활동이 노인의 우울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f Leisure Time Activities on Depression among Elderly)

  • 조인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69-282
    • /
    • 2020
  • 본 연구는 고령자연구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노인들의 신체적 운동과 사회적 네트워크 참여가 우울증상 경험 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본 연구는 로지스틱 모형을 기반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통제변수들을 분석모형에 포함시켜 누락변수편이를 최소화 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여가활동 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실증분석 결과는 신체적 운동과 사회적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인은 그렇지 않는 노인들에 비해 우울증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낮음을 보인다. 본 연구는 신체적 운동이나 사회적 네트워크가 노인들의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여가활동이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연구에 기반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