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프티씨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저 맥동 연동 펌프 기반 플로우 스루 셀 방식 용출 장치 설계 (Design of Dissolution Apparatus for the Flow-through Cell Method Based on the Low Pulsation Peristaltic Pump)

  • 조준성;정석;박상범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18
    • /
    • 2020
  • The emergence of the flow-through cell (FTC) method has made up for the limitations of previous dissolution test methods, but the high cost of the FTC dissolution devices have seriously hindered the progression of research and application of the FTC. This new design uses a peristaltic pump to simulate the sinusoidal flow rate of a piston pump. The flow profile of each peristaltic pump was sinusoidal with a pulsation of 120 ± 1 pulses per minute, and the flow rate ranged from 1.0 - 36.0 mL/min. The flow control of each channel was adjusted independently so the flow errors of the seven channels were close to 2%. The structure of the system was simplified, and the cost was reduced through manual sampling and immersing the FTC in a water bath. The dissolution rate of the theophylline and aminophylline films was determined, and good experimental results were obtained.

머신러닝을 활용한 자동차 시트용 폴리우레탄 발포공정의 불량 예측 모델 개발 (A Development of Defeat Prediction Model Using Machine Learning in Polyurethane Foaming Process for Automotive Seat)

  • 최낙훈;오종석;안종록;김기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36-42
    • /
    • 2021
  • 최근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제조업계에서는 제조업의 인공지능을 접목시켜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스마트 팩토리 붐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부품 제조 및 생산에 널리 적용되어 불량을 낮추는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머신러닝을 통한 불량예측을 시트 폼 발포공정에 접목시켜 발포공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동차 시트폼 에서 주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polyurethane foam)은 폴리올(polyol, 이하 POL)과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 이하 ISO)를 혼합 및 발포하는 공정으로 제조되며, 각 원료의 혼합비율과 온도의 변화에 따라 제품의 특성이 변화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발포공정에서 수집되는 인자별 데이터값을 머신러닝에 적용하여 불량을 예측하고자 한다. 머신러닝에 사용되는 알고리즘으로는 의사결정트리, kNN, 앙상블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학습은 5,147개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학습된 결과를 1,000개의 검증용 데이터에 적용한 결과, 세 알고리즘 중 앙상블 알고리즘에서 최대 98.5 %의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발포공정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데이터를 통해 현재 생산되는 부품의 불량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각 인자를 조절하여 불량률을 개선할 수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