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Search Result 4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relation between dielectric strength and supure structure variation of LLDPE/EVA blend films (LLDPE/EVA 블렌드의 고차구조 변화와 절연파괴 특성의 관계)

  • Go, Si-Hyeon;Kim, Hyeong-Ju;Shin, Jong-Yeol;Lee, Chung-Ho;Hong, Jin-Woo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11c
    • /
    • pp.488-490
    • /
    • 2000
  • 폴리에틸렌은 우수한 특성으로 절연재료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지만, 공간전하축적과 트리진전의 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첨가제, 촉매법, 혼합법 등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어왔다. 메탈로센과 같은 촉매법과 첨가제법 등은 고분자의 전기적 특성은 개선되지만 가공성이 어려워지는 둥의 개선점들이 많이 존재한다. 하지만, 혼합법은 고분자 종류의 다양성과 시료 제작의 용이성으로 인하여 성질 개선법으로 자주 연구되고 있다. 혼합으로 인하여 재료의 특성에 따라 원 고분자의 고차구조가 변화되며 이는 원시료의 절연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실에서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중량비에 따라 혼합한 필름의 전기적 특성 고찰을 위하여 이미 전기 전도 특성과 유전특성에 대해 연구하여 혼합비 70 : 30인 시료와 혼합비 50 : 50인 시료의 전기적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한 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절연재료의 수명을 결정짓는 전원인가법에 따른 절연파괴 특성에 대해 물성분석을 통한 고차구조의 변화와의 상관성을 조사하였다.

  • PDF

Morph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aste PVC Blends (I) -Morph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aste PVC/PE Blends (폐 PVC계 고분자 블렌드의 구조 및 물성 연구(I) -폐 PVC/PE고분자 블렌드의 모폴로지 및 물성)

  • 박재찬;원종찬;최길영;이재흥;조성만;김명기
    • Polymer(Korea)
    • /
    • v.26 no.1
    • /
    • pp.37-44
    • /
    • 2002
  • The polymer blends of waste polyvinyl chloride (RPVC) and waste polyethylene(RPE) were prepared by melt mixing, and their morphology and tensile properties were evaluated after the copolymers having an ethylene group in backbone and ester group in side position were added as comptatibilizers. The blend compositions were varied as follows ; RPVC/RPE 85/15 wt%, where RPVC formed a continuous phase : 50/50, mid composition : 15/85, RPE a continuous phase. The blends revealed a very low compatibility between component polymers because they showed domain sizes greater than $10\mu\textrm{m}$ over all compositions, especially the worst compatibility around mid composition. The blends showed higher compatibility when ethylene vinylacetate copolymer(EVA) and ethylene ethylacrylate-graft-methyl methacrylate copolymers(EEA-MMA) were added.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Film due to the Mixture Ratio of Linear Lour Density Polyethylene and Ethylene Vinyl Acetat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의 혼합비에 따른 박막의 전기적 특성)

  • 이충호;박찬원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 /
    • v.14 no.2
    • /
    • pp.83-89
    • /
    • 1999
  • The electrical properties due to mixture ratio of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LLDPE) and ethylene vinyl acetate(EVA) films are studied. An experimental specimen is selected as LLDPE/EVA of thickness 200${\mu}{\textrm}{m}$ produced by mixture ratio of 50 : 50, 60 : 40, 70 : 30 and 80 : 2 wt%. In temperature range from $25^{\circ}C$ to 12$0^{\circ}C$, the measurement of volume resistivity using a highmegohm meter is performed within 10 minutes since each voltage of DC 100 V, 250 V, 500 V and 1000 V is applied, according to the step voltage method. From FT-IR spectrum for an analysis of physical properties, it can be confirmed that LLDPE blended with EVA shows an absence of carbonyl groups(1735 $cm^{-1}$, C=0) and ether groups(1242 $cm^{-1}$, C-O). The peak of LLDPE and EVA made of mixture ratio of 70 : 30 at 2$\theta$ =21.4$^{\circ}$ in the results of XRD is higher than the others. In the experiment for volume resistivity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specimen, it is confirmed that volume resistivity is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the molecular motion and temperature.

  • PDF

Influence of the Dielectric Characteristics due to Mixture Ratio with LLDPE and EVA (유전특성에 미치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혼합비의 영향)

  • Song, Jung-Woo;Sung, Min-Woo;Lee, Jong-Pil;Shin, Hyun-Taek;Lee, Chong-Ho;Hong, Jin-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0.05a
    • /
    • pp.37-40
    • /
    • 2000
  • LLDPE using power cable is used in electric insulators or dielectric materials because it is excellent in thermal properties or friendly environment but has defects of tree and accumulation of space charges. For the reason of that, it is blended with EVA to complement those problems. In this study, We made LLDPE/EVA samples that mixture ratio was 50:50, 60:40, 70:30, 80:20[W%] and studied physical and dielectric characteristics. We investigated the frequency and temperature dependency of tan 0 for mixtured samples in the temperature range of 25~110$[^{\circ}C]$, frequency range of $20{\sim}1\times10^6$ [Hz].

  • PDF

실환경 데이터 기반 태양전지 모듈 Encapsulation용 EVA UV/온도 가속열화 시험설계

  • Jeong, Jae-Seong;Park, No-Chang;Hyeon, Dae-Seon;Byeon, Gi-Nam;Hong, Won-Sik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10a
    • /
    • pp.34.1-34.1
    • /
    • 2011
  • 태양전지 모듈의 25년 이상 보증을 위해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부품 소재의 장기 열화메카니즘 연구가 중요시되고 있다. 그 중 봉지제(Encapsulation) 부품으로 적용되고 있는 태양전지 모듈용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는 셀을 보호하는 폴리머 부품으로 장기 열화특성 연구가 중요하다. 따라서 EVA를 가속열화하여 25년 보증 내구성을 보유하고 있는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재료 중 외부환경에 민감한 폴리머 소재인 EVA의 Ultraviolet (UV), 온도 두 환경스트레스 조건을 적용한 가속수명시험을 수행하고 장기 열화메카니즘을 분석하였다. 시험에 앞서 UV/온도 가속수명시험을 설계하였다. UV/온도 가속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실환경에서 변화하는 UV와 온도를 일정한 값으로 나타낼 수 있는 유효 UV (Effective UV)와 유효 온도(Effective temperature)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UV/온도 가속조건을 설정하였고 1년 및 25년 동안 EVA에 인가되는 stress와 동일한 양을 인가할 수 있는 시험시간을 결정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functional microsphere(II) -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ly(ethylene-co-vinylacetate) Microsphere with Pigment - (기능성 마이크로스피어의 개발(II) - 안료를 함유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의 마이크로스피어 제조와 특성 -)

  • Lee, Shin-Hee;Park, Soo-Min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 /
    • v.17 no.4 s.83
    • /
    • pp.15-20
    • /
    • 2005
  • Poly(ethylene-co-vinylacetate)(EVA) microspheres were prepared by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in toluene. The microsphere formation occurred by the nucleation and growth mechanism in metastable region. The effects of the polymer or pigment weight percentage and cooling rate on microsphere formation were investigated. The microsphere formation and growth were followed by the cloud point of the optical microscope measurement. The microsphere size distribution, which was obtained by particle size analyzer, became broader when the polymer concentration was higher, the pigment concentration and the cooling rate of EVA copolymer solution were lower.

The Volume Resistivity Characteristics of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Ethylene Vinyl Acetate Blend Film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블렌드 박막의 체적고유저항 특성)

  • 이태훈;신종열;오세영;이충호;이용우;홍진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1998.11a
    • /
    • pp.195-198
    • /
    • 1998
  • In this paper, the physical and the volume resistivity properties due to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LLDPE)/ethylene vinyl acetate(EVA) blends are studied. In order to measure the volume resistivity properties. the micro electrometer is used, the range of temperature and applying voltage are 25 to 120[$^{\circ}C$], form 100 to 1000[V] respectively. From FT-IR spectrum, LLDPE blended with EVA shows an absence of carbonyl and ether group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 of the volume resistivity properties, it is confirmed that the volume resistivity is decreased, which was attributed to the increase of molecular motions with the increase of temperature.

  • PDF

태양전지모듈용 EVA의 가속 열화 메카니즘

  • Jeong, Jae-Seong;U, Dong-Jin;Park, No-Chang;Han, Chang-Un;Hong, Won-Sik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5a
    • /
    • pp.49.1-49.1
    • /
    • 2011
  • 태양전지 모듈의 25년 이상 보증을 위해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부품 소재의 신뢰성이 부각되고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태양전지 모듈용 에틸렌 아세테이트 비닐(ethylene Vinyl Acetate, EVA)의 주요 열화 메카니즘은 황변(yellowing)과 박리(delaminaation)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재료 중 EVA 소재의 열화 메커니즘을 도출하기 위해 이미 알려진 스트레스 인자를 이용한 가속 열화시험을 설계한 후 가속열화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이로부터 EVA의 열화 메카니즘을 규명하였다. 열화모드 재현을 위해 소형 태양광 모듈을 제작하였으며, Weather-Ometer를 이용하여 열화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조건은 4종 Phase가 1 사이클이 되도록 실험하였으며, Dark 조건 1 Phase 및 Light 조건 3 Phase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태양전지 모듈의 열화량은 매 500 사이클 마다 Light I-V 변화량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EVA의 물리 화학적 열화분석을 위해 단면분석, 적외선분광기(Fourier Transform-Infra Red, FT-IR) 및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열화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근거로 EVA의 열화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 PDF

태양전지 모듈 Encapsulation용 EVA의 장기 UV/온도 내구성을 위한 가속시험설계 및 열화분석

  • Jeong, Jae-Seong;Hyeon, Dae-Seon;Byeon, Gi-Nam;Park, No-Chang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2.05a
    • /
    • pp.100.1-100.1
    • /
    • 2012
  • 태양전지 모듈의 25년 이상 장기간 정상 발전을 위해 태양전지 모듈을 구성하는 부품 소재의 장기 열화메커니즘 연구가 중요시되고 있다. 결정질 및 박막 태양전지 모듈 내 셀을 보호하기 위한 봉지재(Encapsulation)로 다양한 폴리머 재료가 적용되고 있다. 봉지재 부품으로 적용되고 있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EVA)는 장기 열화특성 및 내구성 개선 연구가 중요하다. 따라서 EVA를 가속열화하여 열화메커니즘 분석과 25년 보증 내구성을 보유하고 있는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EVA의 Ultraviolet(UV), 온도 복합 환경스트레스 조건을 적용한 가속시험을 수행하고 장기 열화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수명 및 손상모델을 이용하여 실환경에서 변화하는 UV와 온도를 일정한 값으로 나타낼 수 있는 UV/온도 가속조건을 설계하였다. 이를 통해 UV/온도 가속조건을 설정하였고 1년 및 25년 동안 EVA에 인가되는 stress와 유사한 양을 인가할 수 있는 시험시간을 결정하였다. 시험 후 전자현미경, AFM, FT-IR, TGA, DSC 등의 분석을 통해 열화메커니즘을 도출하였다.

  • PDF

A Dielectric Characteristics of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Ethylene Vinyl Acetate (Hot Press를 이용한 선형저밀도 플리에틸렌과 비닐아세테이트의 유전 특성)

  • 조경순;오세영;이종필;홍능표;이용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1999.05a
    • /
    • pp.556-559
    • /
    • 1999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n dielectric characteristic due to physical structural change of specimens, we investigated the frequency and temperature dependency of tan $\delta$ for virgin specimen and mixtured specimens in the temperature range of 25[$^{\circ}C$] ~ 120[$^{\circ}C$], frequency range of 300(mv) ~ 1500[mV] An experimenatal specimen is selected as Low Liner Density Polyethylene (LLDPE) and Ethylene Vinyl Acetate(EVA) (thickness 200[$\mu$m]) produced by mixture ratio of 50:50, 60:40, 70:30 and 80:20. From the results of XR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eak of LLDPE and EVA made by mixture ratio of 70:30 at 2$\theta$= 21.4$^{\circ}$is higher and the peak made by amorphous contribution at 2$\theta$= 19.5[$^{\circ}$] is almostly constant without no concer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