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테폰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에테폰의 관주처리와 엽면살포에 의한 콩 잎 중 잔류 안전성 (Residue safety on ethephon in soybean leaf by drenching and foliar application)

  • 공승헌;이득영;송영훈;박기훈;서우덕;이동열;김진효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1호
    • /
    • pp.75-78
    • /
    • 2018
  • 식물생장호르몬인 에틸렌의 전구체인 에테폰은 기체상의 에틸렌을 대신하여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농약 중 하나로, 식물 이차 대사산물의 생산에 사용되고 있다. 최근 콩잎으로부터 식물 이차 대사산물인 이소플라본 생산에 에틸렌 및 에테폰 처리에 관한 연구가 시도되었으나, 에테폰의 잔류안전성에 관한 연구가 보고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콩잎 생산시 에테폰을 경엽과 관주 처리하여 나타나는 잔류 변화를 연구하였다. 경엽 처리시 콩잎 중 에테폰의 잔류반감기는 1회와 2회 처리시 26.6 h과 21.1 h으로 확인되었고, 처리 3일 후 콩잎 중 에테폰은 최대 $60mg\;kg^{-1}$이었으나, 콩잎 건조 후 에테폰은 불검출 되었다. 관주 처리시 20.1 h 후 최대 잔류농도가 관찰되었으나, 관주처리에 의한 Total phenol 함량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단감 '부유'의 과실 비대 및 착색에 대한 에테폰의 영향 (Effect of Ethephon on Fruit Enlargement and Coloring of 'Fuyu' Persimmon)

  • 김호철;김태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5호
    • /
    • pp.757-761
    • /
    • 2010
  • 본 연구는 단감 '부유'를 대상으로 에테폰 처리 농도에 따른 과실의 비대 및 착색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에테폰 처리 7주 후 수확한 과실에서 과중, 과경은 80과 $100mg{\cdot}L^{-1}$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무겁고 길었다. 그리고 과피 경도는 그 농도에서 유의하게 낮았는데, 과피 경도의 감소 폭은 처리 후 초기에는 $40mg{\cdot}L^{-1}$ 이상 처리구에서, 이후에는 $60mg{\cdot}L^{-1}$ 이상 처리구에서 컸다. 과피의 Hunter a값 및 Chroma 값은 무처리구에 비해 $20mg{\cdot}L^{-1}$ 이상의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지만, 그 농도 간에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hroma 값의 증가폭은 처리 후 초기에는 $60mg{\cdot}L^{-1}$ 이상 처리에서 뚜렷하게 컸으나, 이후부터는 20이나 $40mg{\cdot}L^{-1}$ 처리에서 컸다. 과실의 베타카로틴 및 라이코펜 함량은 $40mg{\cdot}L^{-1}$이상의 처리구에 유의하게 높았다. 특히, 처리 7주 후 무처리구에서 수확한 과실과 비교하여 20이나 $40mg{\cdot}L^{-1}$ 처리는 과실 비대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40mg{\cdot}L^{-1}$ 처리는 착색 정도를 2주 정도 촉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에스렐과 탄산칼슘에 의한 하우스 밀감의 착색 촉진 (Ethephon mixed with Calcium Carbonate accelerate Coloration of Satuma mandarin (Citrus Unshiu Marc.) in the Plastic Film House)

  • 김용호;문영일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 발표요지
    • /
    • pp.131-139
    • /
    • 1998
  • 여름철 고온기를 지나는 하우스 밀감은 착색이 되기 전에 과육이 선숙되는데, 일반적으로 착색은 고온에 의해 지연된다(Goldschmidt, 1988). 소비자들은 충분히 착색되지 않고 녹색을 띤 밀감은 성숙이 안된 것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수확 후 에테폰 처리에 의해 착색을 촉진시키고 있으나(Jimenez-Cuesta 등, 1983) 과경부의 꼭지가 쉽게 건조되고 짙은 오렌지색으로 발색되지 않고 연한 노란 색으로 되어 상품성이 높지 못하다. (중략)

  • PDF

지베렐린이 '신고'배의 비대와 성숙촉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Gibberellin Treatment on Enlargement and Mature Promotion in 'Niitaka' Pear (Pyrus pyryfolia L.))

  • 김종국;이창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2호
    • /
    • pp.23-30
    • /
    • 2009
  • 본 실험은 지베렐린이 '신고'배 숙기와 비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과실중 조사에서 모든 Gibberellic acid $A_{4+7}$ 처리구는 대조구인 지베렐린 도포제와 비등한 약효가 나타났으며, 무처리구에 비해서는 증가를 나타내었다. 횡경은 $GA_{4+7}$을 만개후 35일째에 도포한 것이, 종경은 만개후 40일째 도포한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형지수는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한 수치로 나타났다. '신고'배 발달 초기에는 $GA_{4+7}$ 2.4% 처리구가 $GA_{3}+GA_{4+7}$ 2.7% 처리구나 무처리구보다 현저하게 큰 차이로 비대가 되는 것을 볼 수가 있으나, 성숙기에 들어서면 $GA_{4+7}$ 2.4% 처리구와 $GA_{3}+GA_{4+7}$ 2.7% 처리구의 크기와 가시적인 착색도가 거의 비슷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GA_{3}+GA_{4+7}$의 성숙촉진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에테폰 액제와 비교하여 실험한 결과, $GA_{3}+GA_{4+7}$를 만개후 35일째에 어린 과실에 도포한 것이 에테폰과 비슷한 정도로 착색이 되었으며, 무처리구와 비교했을 때에는 모든 $GA_{3}+GA_{4+7}$ 처리구와 에테폰 처리 모두 착색이 6일정도 빨라 착색 속도에 현저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모든 $GA_{3}+GA_{4+7}$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당도는 증가하고 산도는 감소하였으며, 과실의 경도는 무처리구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상기의 결과로 $GA_{3}+GA_{4+7}$ 처리구 모두가 에테폰이나 무처리구보다 과실의 비대에 있어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GA_{3}+GA_{4+7}$를 만개후 35일째에 처리한 것이 횡경 및 종경, 과형지수 모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착색 또한 깔끔하게 되어 상품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Salicylic acid 및 1-MCP 처리가 '캠벨얼리' 포도의 생리장해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alicylic Acid and 1-Methylcyclopropene on Physiological Disorders and Berry Quality in 'Campbell Early' Table Grapes)

  • 김성주;노수인;최철;임병선;안영직;천종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18-224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표 수출 포도 품종인 '캠벨얼리'를 대상으로 에틸렌작용억제제인 1-methylcylopropene(1-MCP)과 에틸렌생합성 저해 효과를 지닌 salicylic acid(SA)를 단독 혹은 병행처리하여 과실의 저장 및 유통환경에서 발생하는 탈립, 갈변 및 부패 등 생리장해의 발생과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에틸렌 발생물질인 에테폰과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1-MCP 1,000ppb 훈증 처리 후 SA $25{\mu}M$을 살포 처리하고 $19^{\circ}C$에서 16일간 저장한 후 조사한 과립경도 및 산함량 수준은 단용처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탈립률은 $100{\mu}L{\cdot}L^{-1}$ 에테폰 처리구 41.7%, SA 처리구 40.8%, 1-MCP 처리구 38.2%로 나타났으나 1-MCP 처리 후 SA를 처리한 경우는 18.7%로 탈립방지 효과가 월등하였다. 브러쉬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 에테폰 처리구는 1mm 미만의 비율이 74.3%로 매우 높게 나타났던 반면, 1-MCP 처리 후 SA를 처리한 경우는 2-4mm의 비율이 22.8%, 4-6mm 비율이 27.9%로 브러쉬 길이가 길게 조사되었다. 과축의 무게는 에테폰 처리구에서 2.3g으로 가장 낮아 감모율의 증가에 미치는 에틸렌의 영향과 1-MCP 및 SA의 감모 억제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MCP와 SA는 저장 중 '캠벨얼리' 포도의 줄기갈변 억제 및 부패 경감에 일부 효과가 있음을 확인되어 추후 수출시 품질유지를 위한 기술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에틸렌 발생 tablet 제조 및 활성 최적 조건 구명 (Fabrication and optimization of ethylene-producing tablet)

  • 박도수;정천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2-165
    • /
    • 2016
  • 본 연구는 에테폰과 부형제를 혼합하여 에틸렌 발생 타블렛을 제조하였고, 에틸렌 가스 활성조건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온도조건별 타블렛의 에틸렌 발생량은 온도가 높을수록 많은 발생을 보였다. Activator pH 조건별 에틸렌 발생량은 pH 7.0 및 9.0 조건에서는 발생량이 약 2 ppm으로 미미하였으나, pH 13.0에서 타블렛의 에틸렌 발생량은 Prosolv 부형제 94.05 ppm, HPMC 부형제 126.28 ppm, Crosscamellose 부형제 100.11 ppm으로 각각 나타났다. 제조된 타블렛의 마손도는 Prosolv 부형제 0.1%, HPMC 부형제 0.3%, Crosscamellose 부형제 54.1%로 나타나 Crosscamellose 타블렛은 부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붕해도의 경우 각각의 부형제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으며, Prosolv 부형제 1분, HPMC 부형제 7분 이상, Crosscamellose 부형제 5분으로 각각 나타났다. 최종 선정된 부형제인 Prosolv 타블렛의 시간대별 에틸렌 발생 측정결과 가스포집 20시간 까지 에틸렌 발생량은 꾸준히 증가하였지만 20시 이후의 발생은 미미하였고 지속적인 가스 발생은 처리 후 20시간으로 나타났다.

에테폰 처리가 자두과실의 성숙과 수확후 유통방법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thphon treatment on the maturation of Plum fruits(Prunus salisina) and changes of the quality as affected by storage conditions)

  • 임병선;이종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55-170
    • /
    • 1996
  • In order to determine the physiolosical characteristics of plum fruits(Oishi wase) during maturation and guilty according to temperature after harvest, (2-chloroethyl) phosphonic acid(ethphon) 390ppm was sprayed on plum tree 11days before commercial matuarity in Suwon area. And also this study was acted to investigate fruits quility(Formosa) influenced by temperature(room, low) and polyethylene films(0.03, 0.06, 0.1mm), 1. Effect of ethphon on the fruits maturation and fruits(Oishi wase) quility according to temperature ofter harvest. Ethephon stimulated fruits ripening but the firmness was reduced rapidly. Soluble solids and titratable acidity was not very different than each treatment. Carbon dioxide and ethylene production were advanced and the production peak were shown earlier by ethephon treatment as compared with control fruit. Anthocyanin development was enhansed rapidly by ethephon treatment but it exerted a bad influence on fruits color after harvest, The soluble sugars in fluits were mainly glucose, sucrose, and fructose. Those content were higher in treated fruit than control. The organic acid was mainly malic acid. The shelf life was less than about 5days at room temperature and about 10 days at low temperature. 2. Fruits(Formosa) quility as affected by polyethylene film bagging. The polyethylene films well maintained the firmness both room and low temperature. Low temperature was more effective in maintaining titratable acidity than room temperature, especially polyethylene films. On the Other hand, soluble solids content was not shown wide differance between room and low temperature. Polyethylene film showed a high resperation rate, the rate was higher at room temperature than low temperature and thicker films revealed higher rate. Otherwise, ethylene production was low in all treatment Polyethylene film inhibited the coloration of fruits, decreased anthocyanin content. Fruits coloration delayed by low temperature in control. The shelf life of plum fruits was about 6 days at room temperature and 13 days at low temperature in control Polyethylene film had no advantage on shelf life both at room and low temperature.

  • PDF

생장조정제 처리에 따른 콩 이소플라본 영향 분석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 Treatment on Isoflavones in Soybean)

  • 서진희;홍서연;박재성;원옥재;한원영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3년도 임시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64-64
    • /
    • 2023
  • 콩은 중요한 식량 작물로 단백질, 기름 및 이차대사산물인 이소플라본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다. 이소플라본은 폴리페놀의 일종으로 일부 암을 예방하며 심혈관 질환을 완화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콩에 인위적으로 식물호르몬인 ABA를 처리할 때 이차대사산물인 kaempferol의 함량이 증가한다고 보고 되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식물 생장조정제 처리가 콩잎의 이소플라본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는 밀양 남부작물부 유리온실에서 수행되었으며, 콩(품종:선풍)은 와그너포트 1/2000에 1주 2본 파종하여 재배하였다. Ethephone(500, 1000, 2000 ppm)과 ABA(100, 200, 400 ppm)를 사용하였으며 각각 R2, R5, R7기에 처리하였다. 처리 후 잎을 5일 간격으로 3회 채취하여 이소플라본 6종과 쿠메스트롤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초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Acquity UPLC H-Class system, Water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소플라본 함량은 R5 단계에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R2 및 R7 단계에서는 무처리와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ABA를 처리하였을 때 생장조정제 간의 차이가 에테폰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쿠메스트롤 함량은 처리시간에 따라 R7, R5, R2 순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처리시간이 지날수록 함량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생장조정제 처리에 쿠메스트롤 함량은 ABA보다 에세폰 처리 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