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스닉 스타일 디자인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21세기 복식에 표현된 에스닉 스타일 디자인 연구 - 몽고 노인우라의 직물 문양을 응용한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thnic Style Designs which is Expressed in 21th Century Fashion - Focused on the Fashion Design Applying the Mongol Noin-ula′s Textile Pattern-)

  • 안소영;유송옥
    • 복식
    • /
    • 제53권8호
    • /
    • pp.137-148
    • /
    • 2003
  • The culture interest regarding the new area causes an effect even in change of fashion and that result Mongol area where it is area other than Japan, China and India and it is having compromised beauty raised it's head. Mongol is in Noin-ula area which is a it's former self of the Hun's. There is to a textile pattern which was used not only the textile pattern which has the feature of Scythian system but also the textile pattern which has the feature of China was used. The feature of Noin-ula's the textile pattern is as follows. Noin-ula's textiles used Scythian system of animal pattern, vine pattern, palmette pattern, thunder pattern, spiral pattern, shape of diamond pattern. Scythian system of animal pattern and vine pattern proves the interchange with the countries to the west of China. Noin-ula's textile pattern is applied to the designer's work of art. The designers are John Galliano, Etro, Chloe, Emmanuel Ungaro and so on, who express the modern ethnic style design. Because the more developed the modern society is the more embossed feature of intention for the race and the fork art, I think that Ethnic style design is applied to modern sensitive and ethnic style in the future.

에스닉 테마를 주제로 한 유행경향 예측에 관한 연구-‘97 F/W 로스엔젤레스 시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rend Forecasting of the Ethnic Theme-Concentrating on Los Angels Market in '97 F/W-)

  • 김혜영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99-208
    • /
    • 1998
  • 본 연구는 Los Angels 중심의 서부지역 시장을 중심으로 에스닉 테마의 유행정보를 시장조사를 통해 예측한 연구이다. 연구의 진행은 먼저 에스닉 테마의 출현 배경을 고찰하고 전문점과 백화점 그리고 hadquarter의 현황을 조사한 수, Zip code를 통한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의 분석을 통하여 시장에 적합한 패션경향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1997년 가을.겨울 소매 상가들에서 두드러진 경향은 에스닉이다. 이는 복잡한 현대 생활에 대한 반동으로서 기본 생활의 단순성, 자연에 대한 올바른 평가로 되돌아가는 것을 상징한다. 이런 에스닉한 민속 디자인들의 전형은 자연의상, 원시예술, 동족문화와 아프리카 테마주변에서 확인된다. 이런 에스닉 패션을 요약하자면 단순성, 자연성, 편리성, 자유로 나타내진다. 한편 이런 경향의 hadquarter라 할 수 있는 Broadway와 Robinsons-May와 같은 일반 백화점에의 기준은 다양한 스타일로 다양한 고객들을 충족시켜야 하는 것이다. Broadway의 에스닉 성향의 상품은 아직 도입단계로 정상에 오르지 못한 상태이다. 이 상품의 판매를 높이려면 VMD를 통한 판매 홍보와 다양한 에스닉 성향의 상품제시, 노력이 필요하다. 이 밖에 대표적인 상가 중심지인 Beverly Center Broadway의 고객을 분석했을 때 이 상품을 살만한 고객은 25-34세와 35-44세의 나이 분포를 지닌 대부분의 전문 직종의 젊은층과 사회적 지위를 성취하고자 하는 이들이었다. 이들의 라이프 스타일은 직업 지향의 활동들, 유행에 뒤지지 않은 복장, 모든 면에서 세련된 생활을 강조한다. 이 중 특히 중요한 것이 있다면 이미지이다. 그들은 남과 구분되는 개성을 원한다. 이미지들은 이국적인 것에서부터 단순함, 순박함과 섹시함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따라서 이상의 시장조사를 통한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킨 유행경향 제시는 패션시장에서 그 무한한 가능성을 창출하도록 할 것이다.

  • PDF

비엔나 공방의 텍 스타일 디자인 특성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Textile Designs of the Wiener Werkstatte)

  • 차임선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
    • /
    • pp.293-304
    • /
    • 1997
  • 본 연구의 목적은 19 세기말에서 20세기초로 접어드는 시대에 유럽의 전위적인 텍 스타일 디자인을 창조하였던 비엔나 공방의 형성과 쇠퇴 동기를 규명하고 텍 스타일 디자인의 특성을 분석하여 이 시대의 시대적 경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내용은 첫째, 비엔나 공방의 형성과정과 비엔나 세세션(Secession)과의 관계를 밝히고, 둘째로, 비엔나 공방의 전반기와 후반기의 텍 스타일 디자인의 변천과정을 고찰하며, 이의 텍 스타일 디자인 특성을 디자이너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으로, 비엔나 공방의 텍 스타일 디자인 특성의 변화 분석을 소재, 레이아웃, 색상, 용도, 디자인 특성적인 면에서 요약하고 공방의 텍 스타일 디자인 성격의 변천요인에 대해 결론을 내렸다. 비엔나 공방의 전반기의 텍 스타일은 홈 퍼니싱 용도로 직조직물로 제작되었고, 호프 만과 비엔나 공방이 건축한 빌딩들이나 저택들에 사용되었다. 전반기의 디자인 특징은 올 오우버 레이아웃을 지니며, 삼색 상 미만의 단순하며 그래픽 적이며 대담한 디자인이다. 소재로는 동물이나 식물의 양식화와 건축 적 요소에서 유래된 기하학 모티브가 사용되었다. 후반기의 텍 스타일은 직조보다는 프린트에 중점을 두었고, 이들은 여성용 어패 럴에 사용되었다. 후반기에 디자인 특징은 올 오우버(All Over) 레이아웃, 줄무늬(Stripe) 레이아웃, 오지(Ogee) 레이아웃을 지니며, 자연을 양식화한 디자인, 전통적인 디자인을 해석한 디자인, 에스닉 디자인, 아프리카와 아즈텍 문명의 영향을 받은 기하학적 아르데코 디자인의 네 분류되며, 색상은 6,7도까지 사용되었다.

  • PDF

2000년 이후 매선 디자인에 나타난 아프리칸 스타일 (The African Style in Fashion Designs in 2000's)

  • 최호정
    • 복식
    • /
    • 제57권3호
    • /
    • pp.150-164
    • /
    • 2007
  • For the study on the African style reflected in fashion designs since 2000, the applications of African style shown in the four major collections from 2000 S/S to 2005 F/W and some African designers' collections have been analyzed and compared. In this study, 218 pieces of fashion design from the four major collections and 80 pieces from the African designers' collections have been analyzed in three categories - traditional clothes, traditional textile design and accessories. First, in the formal application of traditional clothes, the western clothes seasoned with the traditional images takes the majority of the cases in both the four major collections and the African designers' collections by 89.4% and 77.5%, respectively. However, the African designers have a tendency to actively receive modernism on the traditional clothes, while most of the western designers in the four major collections re-explain and distort the natural and primitive images of Africa into the ones longed for by the westerns. Second, in the textile design, the African designers adopt colorful and geometrical patterns of traditional textile designs of West Africa, while various animalistic patterns (36.2%) are used in the four major collections. The western designers mistakenly mix these patterns with those from the West or other traditional patterns from different cultures, obstructing proper understanding of the African culture. Third, accessories are the cultural elements most widely utilized by the African designers. In the African designers' collections, they are simplified to provide the functions well-matched with the modern clothes. In the four major collections, however, the primitive and colorful accessories found in African tribal culture are used in an exaggerated man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