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에너지 이용 효율화 설비

Search Result 6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대기환경 청정화 다공성 세라믹스

  • Park, Yeong-Jo;Song, In-Hyeok;Yun, Hui-Suk
    • 기계와재료
    • /
    • v.22 no.4
    • /
    • pp.22-35
    • /
    • 2010
  • 저에너지 소모를 위한 대책으로 장치설비의 고효율화를 이루어 나가고 있으나, 고온 고압 등의 극한환경 하의 공정이 증가하면서 상기의 조건 하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 가능한 다공질 세라믹스를 이용한 촉매기술 또는 포집 분리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다공성 세라믹 소재가 특별히 유효하게 대응 가능한 대기오염과 관련하여 오염원 물질 및 오염의 실태를 살펴보고, 각종 다공성 세라믹스의 제조방법과 이에 따른 소재특성을 소개하고 시장의 현황과 전망을 정리하였다. 또한 다공성 세라믹 소재의 가장 대표적인 활용 형태인 하니컴 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특성에 대하여 기술하고, 다공성 세라믹 소재의 실제 활용과 관련해서는 오염물질을 입자상물질과 가스상물질로 대별하여 대표적인 사용처와 소재를 수록하였으며, 차세대 신개념 필터로 연구 중인 반응소결 질화규소에 대해 언급하였다.

  • PDF

Si 박막태양전지용 스퍼터링 증착 기술 현황

  • Lee, Seong-Hun;Kim, Dong-Ho;Yun, Jeong-Heum;Kim, Do-Geun;Kim, Jong-Guk;Lee, Geon-Hwan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1-23.1
    • /
    • 2011
  • 최근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신에너지에 대한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태양광 발전에 대한 연구도 폭발적으로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태양광이 화석연료 대체에너지로 실효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발전효율을 높이고 생산 비용을 저감하는 문제가 선결되어야 한다.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 시스템 설비 비용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모듈의 제조과정에서 소재 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저가격화를 실현하고자 박막형 태양전기 기술이 태동되었다. 현재 박막 태양전지와 관련하여 활발한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상당한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박막 태양전지 분야에서 CIGS와 같은 화합물 반도체 박막 태양전지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을 고려한다면 실리콘 박막 태양전지의 경우 고효율화 저가격화 달성은 더욱 절실한 문제이다. 실리콘 박막의 경우 독성이 없으며 고갈 우려가 없는 소재이면서 기존의 직접회로 산업의 인프라 구조를 활용할 수 있어 많은 기대와 관심을 끌고 있는 박막 태양전지 후보이다. 박막 태양전지 제조에 있어서 핵심기술은 도핑된 실리콘층과 광흡수를 위한 진성 실리콘층을 합성하는 공정 기술이다. 현재 박막 태양전지 산업에서 실리콘 박막 소재의 합성은 주로 PECVD법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스퍼터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박막 합성 연구 또한 20년 이상의 오랜 기간 동안 연구되어 오고 있다. 스퍼터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박막합성는 독성 가스를 사용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와 같은 기존의 소자 공정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주목 받고 있다. 실제로 반응성 마그네트론 스퍼터링에 의해 제조된 실리콘 박막은 PECVD공정에 의한 실리콘 박막에 상응하는 우수한 광전자적 특성을 보인다. 스퍼터 공정에서는 박막 성장을 위한 수송 물질들이 열적 평형 상태에 근접한 라디칼들이라기 보다 대부분 고에너지 원자종과 이온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합성된 실리콘 박막의 결함 제어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박막 합성 기구의 규명을 통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들이 이루어 지고 있으며, 본 발표를 통하여 스퍼터 공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실리콘 박막 합성기술에 대한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Present Status of Hydrogen Refueling Station in KIER (KIER 수소충전소 구축 현황)

  • Seo, Dong-Joo;Seo, Yu-Taek;Seo, Yong-Seog;Park, Sang-Ho;Roh, Hyun-Seog;Jeong, Jin-Hyeok;Yoon, Wang-Lai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21-24
    • /
    • 2006
  • 수소의 소규모 분산 생산 기술은 본격 적 인 수소 인프라가 도입되기 전에 연료전지 자동차의 수소 충전용이나 분산 발전형 연료전지의 수소 공급을 위해 필요하다. 생산 용량은 수소 기준으로 $20{\sim}100 Nm^3/hr$ 정도로 현재로선 천연가스의 수증기 개 질법이 가장 경제적인 공정으로 알려져 있다. 소규모 생산에 따른 열효율 저하를 줄이 기 위해 단위 공정들이 통합된 컴팩트 개질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연료전지 자동차용 수소 인프라 조기 구축을 위하여 수소충전소 구축과 국산화 천연가스 수증기 개질기 개발을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수소 충전소 구축 부분은 충전소 부지 확보, 건물 건축, 각종 유틸리 티 설치의 토목 부분과 천연가스 개질형 수소 제조 유닛 설치, 수소 압축, 저장, 디스펜싱 시스템 설치를 포함하고 있으며 고압 설비에 대한 인허가 대응 및 안전대책 작업도 진행하였다. 구축된 수소충전소는 향후 연료전지 자동차 연계 실증 프로그램에 활용할 수 있다. 국산화 핵심 기술 개발을 위하여 열 및 시스템 통합 설계에 의 해 천연가스 수증기 개질기를 제작하고 내부 열교환 구조에 따른 개질기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개발된 개질기는 개질온도 $720^{\circ}C$, 수증기 대 카본 비 2.7의 운전조건에서 $23Nm^3/h$ 이상의 수소 생산이 가능하였으며 73% 이상의 개질 효율을 나타내었다. 개발된 천연가스 수증기 개질기는 향후 수소 정제용 PSA(Pressure Swing Adsorption) 시스템과 연계하여 수소충전소 국산화 엔지니어링 설계 패키지 개발의 핵심 기 술로 사용할 계획이다.시간 정도 운전한 후 시스템을 정지하였다 메탄 전환율과 일산화 탄소 농도, 열효율을 모니터링 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초기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앞으로 일일시동-정지 운전 시험을 지속하면서 초기 시동 특성 및 부하 변동에 따른 응답 특성 개선, 그리고 연료전지와의 연계 운전을 실시할 예정이다 한다. 단위 전지 운전 온도 $130^{\circ}C$, 상대습도 37%의 운전 조건에서도 상당히 우수한 전지 성능을 보임에 따라 고온/저가습 조건에서 상용 Nafion 112 막보다 우수한 막 특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소/배후방사능비는 각각 $2.18{\pm}0.03,\;2.56{\pm}0.11,\;3.08{\pm}0.18,\;3.77{\pm}0.17,\;4.70{\pm}0.45$ 그리고 $5.59{\pm}0.40$이었고, $^{67}Ga$-citrate의 경우 2시간, 24시간, 48시간에 $3.06{\pm}0.84,\;4.12{\pm}0.54\;4.55{\pm}0.74 $이었다. 결론 : Transferrin에 $^{99m}Tc$을 이용한 방사성표지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고, $^{99m}Tc$-transferrin의 표지효율은 8시간까지 95% 이상의 안정된 방사성표지효율을 보였다. $^{99m}Tc$-transferrin을 이용한 감염영상을 성공적으로 얻을 수 있었으며, $^{67}Ga$-citrate 영상과 비교하여 더 빠른 시간 안에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그러므로 $^{

  • PDF

Engineering Status of Gasification Plant in 300MW IGCC and Performance Prediction of Gasification Block (300MW급 IGCC 가스화 플랜트의 엔지니어링 현황 및 가스화 블록 성능예측)

  • Kim, Youseok;Kim, Bongkeun;Paek, Minsu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30.1-130.1
    • /
    • 2010
  • 미국과 유럽에서는 이미 10여 년 전부터 250MW급 이상의 대용량 석탄IGCC 플랜트를 상업운전 하고 있으며, 일본과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서도 대용량 플랜트를 시운전하고 있거나 건설 중에 있다. 한국에서는 제4차 전력수급계획에 의거 태안화력 부지 내에 300MW급 IGCC 플랜트 건설을 추진 중이며, 두산중공업은 '10년 상반기에 IGCC 가스화 플랜트에 대한 FEED 설계 (Front-Eng Engineering Design)를 완료하였다. 그 과정 중 설계조건에 의한 기본 엔지니어링 사항과 석탄 가스화 플랜트에 대한 성능예측 결과를 본 연구에서 소개한다. 가스화 플랜트의 엔지니어링은 가스화 블록과 가스정제 블록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Process Data를 이용하여 PFD Development, P&ID Generation, Equipment Specification 개발, HAZOP 수행, Architecture Engineering 등의 순으로 FEED 설계를 진행하였다. BOD (Basis of Design)를 기준으로 운전조건별 Heat & Mass Balance와 Process Flow를 재검토하고 각 기기별 운전개념을 반영하여 P&ID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배관, 전기 및 제어에 대한 각종 Diagram 개발과 HSE (Health, Safety and Environment) 관련 설계를 수행하였다. IGCC 1호기의 엔지니어링 수행과 함께 Next 호기 자체설계 역량 확보를 위해 두산중공업은 'DIGITs'로 명명된 개념기본설계 Tool을 개발하고 있다. DIGITs는 공정모델링, 단위기기 개념설계, 공정구성 (Process Configuration) 및 종합 Database Package 형태로 구성된다. DIGITs에 의한 계산 결과 공정사 Process Data 기준시 가스화 블록 출구에서 Syngas HHV와 Syngas 현열은 각각 약 $636MW_{th}$와 약 $18MW_{th}$로, Plant 설계조건 $630MW_{th}$를 만족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향후 DIGITs는 가스정제 블록 및 주변 BOP 설비 등과 연계한 종합 개념기본설계 Tool로써 개발 진행 중이다.

  • PDF

Implementation of Incoming Panel Monitoring System using Open Source Platform and Wi-Fi Networks (오픈소스 플랫폼 및 Wi-Fi를 이용한 수배전반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 Kang, Jin-Young;Kang, Hag-Seong;Jeong, Sung-Hak;Park, Mi-Young;Lee, Young-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886-887
    • /
    • 2015
  •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and demand for power industry acceleration and energy efficiency due to the increased energy consumption, environmental issues. Electronic power IT convergence industries such as intelligent power system has attract attention as new growth engine industry. A large number of sensors and motors are being installed following unmanned, automated in existing incoming panel management system. Observe the operating conditions and rapid response is essential. Despite the need for immediate action to be taken in the event of various later failed to recognize the emergency power can lead to accid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rchitecture of the implementation of incoming panel monitoring system for power monitoring, fault detection, maintenance and system control using open source hardware platform and Wi-Fi networks.

  • PDF

Gas-Phase Mercury Control Technology from Flue Gas (연소배가스로부터 가스상 수은 처리기술)

  • 이시훈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2 no.2
    • /
    • pp.65-73
    • /
    • 2003
  • In Korea, not much interest has been paid yet to mercury among flue gas HAPs (Hazardous Air Pollutants), but mercury is expected to become a major problem in the near future. The present paper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 of mercury emission and control technologies. Interest of the U.S. and European countries in the area of air pollution has been recently directed to mercury emitted from power plants. There are largely two mercury removal technologies applied to power plants. One is removing mercury by oxidizing elemental mercury in WFGD (Wet Flue Gas Desulfurization), and the other is spraying an adsorbent such as activated carbon or other novel sorbents (low-cost sorbents). Developed country is requiring that all power plants be equipped with mercury control facilities by 2007. This paper aims at contributing to the establishment of future strategies in response to the problem.

Cloud-based Intelligent Management System for Photovoltaic Power Plants (클라우드 기반 태양광 발전단지 통합 관리 시스템)

  • Park, Kyoung-Wook;Ban, Kyeong-Jin;Song, Seung-Heon;Kim, Eung-K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7 no.3
    • /
    • pp.591-596
    • /
    • 2012
  • Recently, the efficient management system for photovoltaic power plants has been required due to the continuously increasing construction of photovoltaic power plant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loud-based intelligent management system for many photovoltaic power plants. The proposed system stores the measured data of power plants using Hadoop HBase which is a column-oriented database, and processes the calculations of performance, efficiency, and prediction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by parallel processing based on Map-Reduce model. And, Web-based data visualization module allows the administrator to provide information in various forms.

A Study on the GHG Reduction Newest Technology and Reduction Effect in Power Generation·Energy Sector (발전 에너지 업종의 온실가스 감축 신기술 조사 및 감축효과 분석)

  • Kim, Joo-Cheong;Shim, So-Jung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4 no.4
    • /
    • pp.349-358
    • /
    • 2013
  • In this study, the newest technology available to reduce GHG emissions, which can be applicable in energy industries of the future that has large reduction obligations by energy target management and large intensity of GHG emissions, has been investigated by searching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each technology. The newest technology to reduce GHG emissions in the field of power generation and energy can be mainly classified into the improvement of efficiency, CCS, and gas combined-cycle technology. In order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GHG emission factor obtained from the investigation process, it has been compared to the technology-specific GHG emission factor derived from the estimated amount of emissions. Then the GHG abatement measures, using the derived estimation of factor, by using the newest technology to reduce GHG emissions have been predicted. As a result, the GHG reduction rate by technology of CCS development has been expected to be the largest more than 30%, and the abatement rate by technology of coal gasified fuel cell and pressurized fluidized-bed thermal power generation has been showed more than 20%. If the effective introduction of the newest technology and the study of its characteristics is continued, and properly applied for future GHG emissions, it can be prospected that the national GHG reduction targets can be achieved in cost-efficient way.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Hybrid-Plasma Torch for Dyeing Wastewater Treatment (염색폐수 처리를 위한 하이브리드 플라즈마 특성연구)

  • Jung, Jang-Gun;Youn, Seok-Hyun;Park, Jae-Youn;Kim, Sang-D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22 no.8
    • /
    • pp.75-81
    • /
    • 2008
  • Water treatment study employing plasma is thoroughly examined in the following paper. The research using water plasma torch showed superior results in terms of economical and energy efficiency due to the substantial reduction of electric power. A comparison of streamer and arc discharge phenomena taken place in water was put under close scrutiny. Dyeing wastewater exposed to the plasma treatment was sampled and analyzed for relative dissolved ozone concentration, hydrogen peroxide, as well as the color removal efficiency. It was found that streamer discharges is more effective than arc discharge in growth of $H_2O_2$ and $O_3$ by plasma chemical constituents, though plasma torch had small oxidation reagents selectivity. Thus, streamer discharges, due to the efficient plasma-chemical reactions environment, proved to be more efficient compare to the thermal arc plasma loading.

A Study on Applicability to Dual-Fuel Engine of Low Caloric Gas (저발열량 가스의 혼소엔진 적용에 관한 연구)

  • Park, Cheol-Woong;Lee, Sun-Youp;Kim, Chang-Gi;Won, Sang-Yeon;Lee, Jang-He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14 no.1
    • /
    • pp.15-20
    • /
    • 2010
  • The interest on the utilization of landfill gases and biogases for energy production has been increasing due to environment concerns and global warming caused by burning fossil fuels, renewable nature of these gases. Using those synthesis gases to generate energy with engine encourages more efficient collection reducing emissions into the atmosphere and generates revenues for the operators. However the lower calorific value of synthesis gases than that of LPG or CNG affects the combustion stability and power output. Thus it becomes necessary to address disadvantages involved by studying synthesis gases in technological perspective. This paper discussed synthesis gas as a fuel for 60kW dual-fuel engine to produce power in an effective way. The methane diluted with $N_2$ was used as a fuel and developed ECU and injector driver facilitated the investigations with diesel fu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