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너지교육

검색결과 826건 처리시간 0.023초

학교시설 현황분석을 통한 에너지절약설계 개선방향 연구 (A Study on Design for Energy-saving Based on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in School Facilities)

  • 맹준호;김성중;이승민;고현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7권3호
    • /
    • pp.1-8
    • /
    • 2018
  •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 생태계의 변화와 에너지 및 자원고갈 등 전 지구적 대응노력이 절실한 상황에서 정부에서는 탈원전 정책 등 적극적인 정책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특히 공공건물 중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학교시설은 학생수가 감소하는 반면 학교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에너지사용량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시설의 설계현황을 분석하여 에너지절약설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풍력발전 시스템 구축을 통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through Construction of the Wind Power System)

  • 이정익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86-89
    • /
    • 2008
  • 대체에너지의 대안으로서 차량에 의한 풍력을 사용함으로서 이 연구의 목적은 다음 3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차량 풍에 의한 풍력에너지를 통해 환경 친화적인 대체 에너지 자원을 안전하게 얻는다는 것이다. 둘째, 관련 교수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는 것이다. 셋째, 대체에너지 교육을 위해 풍력발전 프로그램을 만들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6개월간 수행되었으며, 다음 3가지 결과를 얻었다. 차량 풍을 이용한 시스템이 모델링 되었다. 전기, 전자, 기계공학과들을 위한 새로운 교육 프로그램이 만들어졌고, 마지막으로 풍력발전 시스템 실제 교육을 위한 대체에너지 실험용 시연장치가 만들어졌다.

  • PDF

환경교육이 에너지 및 쓰레기 절감에 미치는 정량적 효과에 관한 연구 (The Quantitative Effe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Energy-Saving and Garbage-Reducing Behaviour)

  • 이진권
    • 환경정책연구
    • /
    • 제8권4호
    • /
    • pp.51-73
    • /
    • 2009
  • 오늘날 환경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경교육이 에너지 절감 또는 쓰레기 절감에 미치는 정량적 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환경교육이 집중적으로 행해지는 집단과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집단의 에너지 및 쓰레기 절감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환경교육의 강화는 에너지 절감 및 쓰레기 절감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환경교육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학생들 가정에서의 제 요금 및 학교에서 남기는 음식의 양이 일반적인 환경교육이 이루어지는 학생들 가정에서의 제 요금 및 학교에서 남기는 음식의 양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에너지 절감 및 쓰레기 절감을 위해 환경시범학교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교육 정책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 PDF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녹색가술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green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creative activities)

  • 오동규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3-45
    • /
    • 2011
  • 이 연구는 저탄소녹색성장의 중요성을 밝히기 위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을 위한 녹색기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 교육 프로그램은 준비-개발-개선 단계로 개발하였다. 이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준비 단계에서 녹색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사회의 요구분석과 경상북도교육청의 녹색성장교육실천메뉴얼, 에너지관리공단의 에너지인정도서, 미국의 NEED프로젝트를 바탕으로 녹색 기술에 관한 예비 주제를 선정하였다. 예비 주제는 현실성, 관련성, 활동성의 요소로 최종 주제를 정하였다. 둘째, 개발 단계에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목표를 선정하고, 활동프로그램의 내용을 정하였다. 세부 학습목표와 교육내용, 학습방법, 평가방법을 정하였다. 녹색기술교육프로그램은 에너지, 천기에너지, 태양과 풍력에너지, 그린홈, 그린카, 재활용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개선 단계에서 개발된 교육프로그램을 초등학교 교사와 기술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초등학생 12명을 대상으로 현장평가를 실시하였다. 개선 요구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재개발하였다.

학교시설 제로에너지인증제 시행에 따른 요소별 자립률 분석 (An Analysis of the Self-reliance Rate by Element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of Zero Energy Certification System in School Facilities)

  • 맹준호;김성중;이승민;고현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0권1호
    • /
    • pp.19-28
    • /
    • 2021
  • 국토교통부는 신(新)기후체제 출범에 따라 건물부분의 에너지절약 및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앞당기기 위해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제를 시행하고 있다. 2014년 ZEB 조기활성화 방안을 발표 하였으며, 2016년 1월 "녹색건축물 조성 지원법"을 개정하고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여 2020년부터 공공부문을 시작으로 2025년 까지 민간부문 까지 단계적 제로에너건축물을 확산시키기 위한 계획을 수립 시행중에 있다. 2020년부터 공공부분에 속하는 학교시설은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대상에 포함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교시설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시행에 따른 에너지요소별 자립률을 분석하고자 한다.

에너지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탐색 (An Investig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ception on Energy)

  • 임수민;윤회정;방담이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3호
    • /
    • pp.284-299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통합주제인 '에너지와 생활'에서 다루는 에너지 개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에너지와 관련된 연상개념, 에너지 형태에 대한 인식, 에너지 전환, 동식물의 에너지 사용에 대한 이해를 파악하기 위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서울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92명을 대상으로 한 검사결과를 서술통계, 클라우드,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생들은 에너지 관련 연상개념에 대해서는 전기, 에너지 형태에 대해서는 전기에너지를 가장 높은 비율로 응답하였다. 또한,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에너지 개념과 과학적인 개념이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전환의 이해는 개념 발달의 위계에 따라 에너지 형태에 대한 인식과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동식물이 에너지를 얻는 방식에 대해서는 기초적인 개념 구조가 갖추어져 있었으나 개념의 오류 및 결손이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로부터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 새롭게 도입되는 통합주제인 '에너지와 생활'의 지도를 위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융합인재교육의 관점에서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선 방안 (A study on How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Enhancement Program for Teachers in Charge of Energy and Climate Change Education Based on STEAM Perspectives)

  • 이성희;신동훈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1호
    • /
    • pp.22-34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SESE(Save Earth Save Energy) 나라' 지도자 직무연수 프로그램 및 연수 참여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하여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개선방안을 융합인재교육적 관점에서 제시하는 것이다. 연수 프로그램을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 연수 담당교사의 전문성 요소별로 분석하였고,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도를 사전 사후 설문검사를 통해 전문성이 신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수 대상자들과 면담을 통해 연수의 SWOT 분석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연수 개선방안을 논의 하였다. 첫째,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융합적 차원에서 연수 프로그램이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융합교육과 연계된 체험 활동을 하고 이에 관한 논의를 풍부히 할 수 있는 교사 교류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집중 연수를 통해 전문성이 신장될 수 있도록 60시간 이상의 지속적인 연수가 필요하다. 넷째, 원격연수를 활용하여 연수의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 전문성 요소추출을 바탕으로 연수 프로그램이 계획되고 충분한 시간 동안 연수를 준비해야 한다. 여섯째,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 교사 연수는 대부분 학교급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에너지교육에 대한 학교 조직 내 관리집단과 교수집단의 인식 수준 차이 (Perspective of Energy Education: Comparison between the Management Group and the Teaching Group)

  • 서은정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1권5호
    • /
    • pp.105-11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the management group' and the teaching group' perception of energy education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arried out a questionnaire survey at schools participating in the energy saving polic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ix managers and 171 teachers in middle schools. Fir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both the management group and teachers have a considerable interest in teaching energy saving practice. How ever the management group showed more preference toward teacher-leading courses, such as lecture, compared to the teachers Second, both the management group and teachers tended to take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ird, the manager group mostly got energy educational resource from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textbook and teacher's companion. However the teachers mostly did from the mass media. Fourth, compared to the teachers, the managers preferred to allot more budgets to school facilities than to activities related to educating students related to energy. Fifth, the management group pointed out curriculum-making and more budget as the necessity to enhance energy education but the teaching groups did students' interest. Sixth, both the management group and teachers emphasis on the need of energy education.

Now ESCO 2 - 2012 해외 ESCO M&V 교육 그 현장을 가다

  • 엄기현;김용희
    • ESCO지
    • /
    • 통권75호
    • /
    • pp.50-53
    • /
    • 2012
  • 최근 ESCO성과보증방식의 정책적인 확산에 따라 에너지절감량 측정 및 검증(M&V)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에너지절감량을 구체적으로 산출하고 측정, 검증하는 과정인 M&V는 정확한 ESCO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필수적인 과정이다. 협회는 2012년 2월 20일부터 25일까지 5박 6일간 대만 ESCO협회(TESA)와의 업무협력을 통해 대만의 M&V 전문교육기관에서 21명의 참석자와 함께 '2012 해외 ESCO M&V 교육' 과정을 마치고 돌아왔다. 현장 사진과 (주)에코시안 엄기현 팀장과 김용희 대리의 참관기를 통해 뜨거웠던 교육 현장을 소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