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에너지가격

검색결과 1,122건 처리시간 0.033초

신.재생에너지이용 발전전력 기준가격 산정에서의 쟁점 (Critical Issues in Assessing Feed-In Tariffs of Electricity from New and Renewable Energies)

  • 김은일;김건훈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7-90
    • /
    • 2008
  • Levelized generation cost(LGC) has been widely used in assessing feed-in tariffs(FiT) for electricity generating from new and renewable energies. Current FiTs for renewable electricity in Korea have been fixed and applied with realistic economic data by the efforts of KERI(Korea Electro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ince October 2006. Some critical issues on the estimation of LGC are, however, found in KERI's report. Major issues are the estimation of capital cost, the consideration of corporate tax, and the application of economic life cycle in the formulae for LGC. These critical issues are examined and interpreted in a correct way in this paper.

  • PDF

새로운 이론을 통해 본 향후 유가전망

  • 도이찌쯔도무
    • 석유와에너지
    • /
    • 1호통권95호
    • /
    • pp.88-91
    • /
    • 1989
  • 90년대 중반에 원유가격이 폭등할 것이라는 95년 위기설에 대체하는 새로운 통설이 등장했다. 90년대를 통해 원유가격은 배럴당 15~20달러 범위안에서 변화할 것이라는 견해가 바로 그것이다. 시장기구를 중시하는 이 견해가 맞는다면 금세기중 제3차 석유위기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통설은 자기부정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것도 사실이다. 일본 에너지경제연구소 도이찌쯔도무 연구실장의 논문을 통해 새로운 이론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편집자 주>

  • PDF

시민단체에서 바라본 에너지 상대가격 체계 조기개편의 필요성

  • 박용신
    • LP가스
    • /
    • 통권92호
    • /
    • pp.39-46
    • /
    • 2004
  • 지난 7월 21일 우운식 의원 주최로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대기오염저감을 위한 에너지상대가격체계 조개개편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선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강만옥 연구의원, 환경정의 박용신 국장, 인하대 기계공학부 이대엽 교수의 발제 내용을 본지에 게재한다.

  • PDF

한국 석탄자원의 희소성 측정

  • 이명헌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4권1호
    • /
    • pp.91-102
    • /
    • 1994
  • 우리나라에서 다른 광물자원보다 매장량이 비교적 풍부하고 에너지원으로서 총에너지소비량에서 중요한 몫을 차지해 온 석탄의 희소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장가격을 사용할 경우 그 결과는 실질고갈상태를 왜곡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정부가 석탄가격을 관리하며 생산원가보다 낮은 부분에 대해서는 보조금이나 장려금을 지급해 왔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쌍대성이론(duality theory)을 토대로 한 할버슨-스미스(Halvorsen-Smith, 1984) 모형을 이용하여 매장되어 있는 광물자원의 암묵가격(shadow price)을 실증적으로 추정함으로써 우리나라 석탄자원의 희소성을 측정하였다. 최종생산물의 가격으로 측정된 희소성지표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석탄자원은 매우 완만하게 고갈되어 가고 있는 반면에 광석의 암묵가격으로 본 회소성지표에 의하면 그보다 더 빠른 속도로 고갈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원유가격(原油價格) 하락(下落)의 거시경제적(巨視經濟的) 효과(效果)에 관한 연구(硏究)

  • 손양훈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8권2호
    • /
    • pp.207-225
    • /
    • 1999
  • 최근의 경제위기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국제원유가가 급속하게 하락하고 있다. 거시경제적으로 볼 때 원유가의 하락은 생산측면에서 요소가격의 하락, 수요측면에서는 상대가격의 변동이라는 상호작용을 유도하게 된다. 본 연구는 연산일반균형모형(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 CGE)을 구축하고 외생변수의 영향에 대한 모의실험을 하여 거시경제적인 측면에서 정량적인 효과를 측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신고전학파적인 이론에 기초한 CGE모형을 설정하고 국제원유가가 32.8% 하락한 외생적인 충격에 대하여 모의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원유가 하락은 GDP성장률을 약 l.59% 상승시키고 물가가 l.2% 하락하는 거시경제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계산된다. 또한 에너지 수입이 전체 무역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국제수지의 측면에서도 약 47억 달러 개선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다. 상대가격의 변동은 산업별로 다른 효과를 가지는데 에너지를 집약적으로 투입하는 산업을 중심으로 산업별 생산량과 가격에서 상이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