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엉덩관절 강화 운동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6초

엉덩관절 강화 운동이 운동선수의 근력, 동적자세조절 및 하체 손상 준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p joint strengthening on muscle strength, Y-balance and low extremity injury criterion in athletics)

  • 박우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345-1353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6주간의 엉덩관절 강화 훈련이 근력, 동적 자세 조절 및 하체 손상 준거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운동선수 20명을 운동군과 통제군으로 분류하여, 운동군은 주 3회, 60분, 6주간 엉덩관절 강화훈련을 하였다. 이 연구의 측정 변인은 유연성, 근력, 동적 자세 조절 및 하체 부상 준거로 하였다. 연구 결과 유연성에서 운동의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배근력에서는 유의하였다. 동적 자세조절 결과, 좌·우 후방 가쪽 및 안쪽에서 운동의 효과가 유의하였다. 또한 종합점수에서도 운동의 효과가 유의하였고, 좌·우 다리 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엉덩관절 강화 운동은 근력과 동적 자세 조절 능력의 증가와 하체 손상의 우려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리 골반의 수의적 조절을 병행한 다리 들기가 배근육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eg Raising with Voluntory Lumbo-pelvic Contraction on Abdominal Muscle Activation)

  • 박민철;이상열;장준혁;홍민호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47-151
    • /
    • 201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허리 골반의 수의적 조절을 동반한 다리 들기 운동이 배 근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엉덩 관절의 벌림 각도에 따라 다리 들기 시 배근육의 활성도를 확인하였다. 연구방법: 20대 정상성인을 대상으로 엉덩 관절 벌림각도($0^{\circ}$, $30^{\circ}$)에서 압력 센서 사용 그룹과 사용하지 않는 그룹으로 나우어 다리 들기를 실시하는 동안 복부 근육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엉덩 관절 벌림 $0^{\circ}$$30^{\circ}$ 모두에서 오른쪽 다리를 들어 올리는 동안 반대측 내복사근과 동측 외복사근에서 수의적 조절을 한 그룹과 하지 않은 그룹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허리 골반의 수의적 조절을 통한 다리 들기 시 몸통 안정성의 증가를 통하여 안정적인 배 근육 강화 훈련을 수행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요통 환자에게도 안정적인 임상적용이 기대된다.

체간근력 강화 운동이 뇌성마비 아동의 앉은 자세 균형 수행력과 근 긴장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nk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on Balance Performance of Sitting Posture and Muscle Tone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최영철;이중호;김진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098-4106
    • /
    • 2012
  • 본 연구는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체간 근력 강화 운동이 앉은 자세 균형 수행력과 근 긴장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대운동 분류 시스템 제 IV단계의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 16명을 무작위로 배분하여 주 3회 6주 동안 실시하였고, 실험군은 체간 근력 강화 운동을 대조군은 기본 물리치료만 실시하였다. 체간 근력 강화 운동은 복부근과 배부근 강화를 위한 2가지 운동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들의 균형 수행력 측정은 BPM(Balance Performance Monitor)를 사용하였고 근 긴장도 측정은 MMAS(Modified Modified Ashworth Scale)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앉은 자세 균형수행력 변화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요거리, 동요속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앉은 자세 균형 수행력 변화 비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동요속도, 동요거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또한 근긴장도 측정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무릎관절 굽힘근, 엉덩관절 모음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따라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균형 수행력 향상이 나타났지만 실험군에서 조금 더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근 긴장도의 변화는 두 군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에게 체간 근력 강화 운동은 근 긴장도의 변화 없이 앉은 자세 균형 수행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볼기근 근력강화 운동과 병행한 발목관절 펌핑 운동이 엉덩관절 전치환술 환자의 허벅지 둘레, 보행능력, 통증 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ng Ankle-Joint-Pumping Exercise to Gluteal-Muscle-Strengthening Exercise on Thigh Swelling, Gait ability and Pain level in Patients With Total Hip Arthroplasty )

  • 이현국;김선엽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7-28
    • /
    • 2024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luteal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GMSE) with ankle joint pumping exercises (AJPE) on thigh swelling, gait ability, and pain level in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hip arthroplasty. METHODS: A total of 38 patients who had undergone total hip replacement surgery >1 week prior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group that performed only GMSE (CG; n = 19) and a group that performed GMSE and AJPE (EG; n = 19). The CG group performed GMSE for 30 min, and the EG group performed GMSE for 30 min followed by AJPE for 15 min. Exercises were performed fiv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20 times over 4 weeks in both groups. Thigh swelling (thigh size), 10 m walking test (10MWT) and timed up and go test (TUG) results, pain level (visual analogue scale, VAS) scores, Short Form 36 health survey (SF-36), and hip outcome scale (HOS) score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After 4 weeks of interven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thigh size, 10MWT, TUG, VAS, SF-36, HO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both groups (p < . 05). However, only thigh size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group and measurement time (p < . 05). CONCLUSION: GMSE combined with AJPE might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gait ability and pain level in patients with total hip arthroplasty, and GMSE may b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igh swelling and gait ability than GMSE without AJPE.

다운증후군 아동의 트레드밀 보행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 (A Kinematic analysis on the treadmill gait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 오성근;이재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834-384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선천적으로 관절 느슨함과 낮은 근 장력을 갖고 있는 다운증후군아동 보행의 운동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자료수집의 편리성과 재현성이 높고, 유용한 보행훈련도구로서 그 사용이 증가되는 추세인 트레드밀에서 보행을 실시하였다. 다른 중복장애가 없는 다운증후군 남자아동 10명을 대상으로 적외선카메라로 3차원 보행 자료를 수집하여 시공간적 변인과 운동학적 변인을 산출하여 이들의 보행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운증후군아동들은 선천적인 근골격계 특성으로 인한 보행불안정성을 극복하기 위해 엉덩, 무릎, 발목관절 모두를 구부리고 걷는 구부정 걸음(crouch gait)형태를 보였으며, 모든 다리관절의 신전을 작게 하여 결과적으로 추진력이 자제하였다. 이는 더 크게 신체를 추진할수록 발뒤꿈치 착지 시에 체중수용의 부담이 증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 결과는 다운증후군의 관절불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해 효과적인 근 골격계 강화훈련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며, 다운증후군뿐만 아니라 선천적 또는 후천적 근골격계 장애를 개선하거나 극복할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 개발에도 참고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십자인대 재건술 후 엉덩관절 벌림근 강화운동이 근력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rengthening Exercise of Hip Abductors on Muscle Strength and Ambulation in Patient with ACL Reconstruction)

  • 박병준;김중휘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6권5호
    • /
    • pp.296-301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rengthening exercises of hip abductors on muscle strength and ambulation for patients with ACL reconstruction. Methods: The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intervention group (general exercise plus strengthening of hip abductors) or the control group (general exercise without the strengthening of hip abductors). Both groups participated in a six-week exercise protocol after the surgery for ACL reconstruction. The knee strength test (quadriceps, hamstring, hip abductor) and gait analysis were performed in pretest and post-test. Results: Muscle strength was measured using the Biodex system III model (Biodex Medical System, Inc, NY, US). The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knee strength (quadriceps, hamstring) between the two groups (p>0.05),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ip abductors (p<0.05). The gait analysis was measured with Gaitrite system (CIR System Inc, US). Results of comparison between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tep length of both groups. (p<0.05),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ffected leg of the intervention group(p<0.05). Conclusion: Exercise of hip abductors for patients with ACL reconstruction provides significant benefits with respect to improvement of muscle strength in hip abductors, increasing the stride. This result indicates that a training program designed for ACL reconstruction patients should include strengthening of the hip abductor. We think that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of hip muscles and knee joint for patients with ACL reconstruction.

PNF을 이용한 엉덩관절 강화운동이 피부 결손을 동반한 개방성 정강뼈 골절 환자의 균형과 앉았다 일어서기, 보행에 미치는 영향 - 단일사례연구 - (The Effect of a Hip Joint Strengthening Exercise using PNF on Balance, Sit-to-Stand Movement, and Gait in a Tibia Fracture Patient with Skin Defects - A Single Case Study -)

  • 정두교;정이정
    • PNF and Movement
    • /
    • 제16권3호
    • /
    • pp.317-332
    • /
    • 2018
  • Purpose: Patients with tibial fractures can have functional problems with balance and gait, as well as lower extremity muscle weakness. This case report aimed to describe the effect of hip joint strengthening exercises using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on balance and gait and lower limb function in a patient with tibia fracture. Methods: One patient diagnosed with tibial fracture was treated for seven weeks with the basic procedure, pattern, and technique of PNF for a hip joint strengthening exercise. Results: The results of pre- and post-intervention treatment showed improvements in physical function and structure in the clinical tests, including the manual strength test; the modified Ashworth scale; sensory evaluation; balance, sit-to-stand, and gait performance; and evaluation of lower limb functio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use of theory-based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stimulation for hip joint strengthening exercises positively affects patients' functional improvement in tibial fracture patients, and this may be used as a therapeutic exercise method for those with orthopedic problems in the lower extremities. On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at it was performed on only one tibia fracture patient, which makes it difficult to extend the treatment effects to all patients with this condition.

발목 감각-운동과 엉덩 관절 근력 강화 통합 훈련 프로그램이 기능적 발목 불안정성 대상자의 정적균형과 동적 균형 및 근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kle Sensorimotor Training Program Combined with Hip Strengthening Exercise on Muscle Strength, Static Balance, and Dynamic Balance in Individual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 황종석;박순지;유경태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83-93
    • /
    • 2022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omparative effects of an ankle sensorimotor training program combined with hip strengthening exercise (ASTPCHSE) and ankle sensorimotor training program (ASTP) alone on muscle strength, static balance, and dynamic balance in individual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METHODS: Sixteen research participant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randomly into the ankle sensory motor training program group and the ankle sensory motor training program combined with the hip strengthening exercise group. Each group performed a series of exercise programs two times per week for four weeks. The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CAIT) was used to measure the participants'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A Balance trainer 4 was applied to assess the static and dynamic balance, and a Primus RS multimodal dynamometer was used to evaluate the muscle strength.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c balance, dynamic balance, and muscle strength were found between the ASTP and ASTPCHSE groups (p > .05). On the other hand, the dynamic balance and muscle strength improved in the ASTP and ASTPCHSE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p < .05). The static balance was not enhanced in both groups after the intervention (p > .05). CONCLUSION: Ankle exercise and an ankle sensorimotor training program combined with hip strengthening exercise are effective in improving muscle strength and dynamic balance in individuals with ankle instability.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ankle exercise and ankle and hip combined exerc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