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엉덩관절모음근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교각운동시 이마면에서 엉덩관절 위치가 배근육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p positions in frontal plane on abdominal muscle activities during bridging exercise)

  • 이원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24-23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이마면에서 엉덩관절 위치에 따라 배근육들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여 비교함으로 이마면에서 엉덩관절의 위치가 배근육들의 근활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20대의 건강한 남녀 26명을 대상으로 엉덩관절 중립, 모음, 그리고 벌림 자세에 따라 교각운동을 하였을 때 표면 근전도 장비를 이용하여 양쪽 배곧은근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의 근활성도를 비교하였다. 통계 방법은 반복측정 일요인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은 0.05로 하였다. 연구 결과 배바깥빗근과 배속빗근은 이마면에서 엉덩관절 위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배곧은근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양쪽 배바깥빗근과 왼쪽 배속빗근은 엉덩관절 중립자세보다 엉덩관절 모음 자세에서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오른쪽 배속빗근은 엉덩관절 벌림 자세보다 엉덩관절 모음 자세에서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엉덩관절 모음 자세가 다른 자세들에 비해 안정화 운동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안정화 운동 프로그램을 고안할 때 운동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이마면에서 엉덩관절의 위치에 대한 요소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엉덩관절모음과 플랭크운동이 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Hip Joint Adduction on Walking During the Plank Exercise)

  • 문달주;박재철;최석주
    • 한국교육논총
    • /
    • 제40권3호
    • /
    • pp.67-84
    • /
    • 2019
  • 본 연구는 건강한 20대 남자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플랭크운동과 탄력밴드에 의한 엉덩관절모음운동이 보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플랭크운동집단 10명, 양쪽 엉덩관절모음-플랭크운동군 10명, 한쪽 엉덩관절모음-플랭크운동군 10명을 30분씩, 주 3회, 총 6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분속수의 변화와 왼쪽다리의 한걸음길이, 오른쪽다리의 한걸음길이, 오른쪽 다리의 한걸음시간이 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본 연구의 결론은 양쪽 엉덩관절의 모음에 대한 저항 운동이 일반적 플랭크운동과 한쪽 엉덩관절 모음보다 몸통의 자세불안정성을 더욱 증가시켜 보행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차후의 자세불안정성을 증대하는 다양한 운동프로그램 개발이 보행능력의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해본다.

  • PDF

엉덩관절의 근력, 감각과 경직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scular strength, Sensation, and Spasticity of the Hip Joint on Balance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최유임;박은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4008-4014
    • /
    • 2011
  • 이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척도를 이용하여 엉덩관절의 근력, 감각과 경직이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32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도수근력검사를 사용하여 환측 다리의 가벼운 접촉감각과 엉덩관절굽힘근, 폄근, 모음근, 그리고 벌림근의 근력을 측정하였고, 수정 Ashworth 척도를 이용하여 넙다리근의 경직을 측정하였으며, 기능적 균형 척도를 이용하여 정적 및 동적균형능력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정적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엉덩관절벌림근력, 넙다리 경직, 가벼운 접촉감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설명력은 80.5%인 것으로 나타났다. 동적균형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엉덩관절벌림근력과 가벼운 접촉감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설명력은 77.9%인 것으로 나타났다. 엉덩관절벌림근력과 가벼운 접촉감각은 정적균형과 동적균형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균형에 대한 검사와 중재 프로그램 제공 시 엉덩관절벌림근력과 가벼운 접촉감각 요인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등척성 엉덩관절 모음 및 벌림 시 골반 벨트가 엉덩관절 근육의 근력과 복부 근육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 Pelvic Belt on Hip Muscle Forces and Abdominal Muscle Activities During Isometric Hip Adduction and Abduction)

  • 강민혁;오재섭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26
    • /
    • 2017
  • Background: To improve lumbo-pelvic stability, passive support devices (i.e., a pelvic belt) are recommended clinically. Nevertheles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passive support on lumbo-pelvic stabilit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 pelvic belt on the abdominal and hip abductor muscles. Object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elvic belt on the forces of the hip adductor and abductor muscles and activity of the abdominal muscles during isometric hip adduction and abduction. Methods: This study recruited 14 healthy men. All subjects performed isometric hip adduction and abduction with and without a pelvic belt in a neutral hip position. Load cells, wrapped with a non-elastic belt, were placed above the medial and lateral malleoli of the dominant leg to measure the muscle forces of the hip adductors and abductors, respectively. The forces of the hip adductors and abductors were measured using a load cell during isometric hip adduction and abduction, while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bilateral rectus abdominis, internal oblique, and external oblique muscles were measured. Results: The forces generated by the hip adductors and abductors were significantly greater with the pelvic belt than without (p<.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bdominal muscle activities between the two conditions were found (p>.05).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se of a pelvic belt could lead to effective strengthening exercise of hip muscles in individuals with sacroiliac joint pain.

체간근력 강화 운동이 뇌성마비 아동의 앉은 자세 균형 수행력과 근 긴장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nk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s on Balance Performance of Sitting Posture and Muscle Tone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최영철;이중호;김진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098-4106
    • /
    • 2012
  • 본 연구는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체간 근력 강화 운동이 앉은 자세 균형 수행력과 근 긴장도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대운동 분류 시스템 제 IV단계의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 16명을 무작위로 배분하여 주 3회 6주 동안 실시하였고, 실험군은 체간 근력 강화 운동을 대조군은 기본 물리치료만 실시하였다. 체간 근력 강화 운동은 복부근과 배부근 강화를 위한 2가지 운동으로 구성하였다. 대상자들의 균형 수행력 측정은 BPM(Balance Performance Monitor)를 사용하였고 근 긴장도 측정은 MMAS(Modified Modified Ashworth Scale)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앉은 자세 균형수행력 변화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요거리, 동요속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앉은 자세 균형 수행력 변화 비교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동요속도, 동요거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또한 근긴장도 측정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무릎관절 굽힘근, 엉덩관절 모음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따라서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에서 균형 수행력 향상이 나타났지만 실험군에서 조금 더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근 긴장도의 변화는 두 군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에게 체간 근력 강화 운동은 근 긴장도의 변화 없이 앉은 자세 균형 수행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엉덩관절 모음근의 수축 압력이 배가로근의 근 단면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Contraction Pressure of the Hip Adductor Muscles on Thickness of Transversus Abdomin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 박주철;이명호;김명권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3-63
    • /
    • 2022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the thickness of the abdominal muscles, including the transversus abdominis, according to the set pressure applied by a pressure biofeedback unit during contractions of the hip adductor muscles. METHODS: After randomizing 40 healthy adult males in their 20 s and 30 s,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match the pressure gauge indication of the pressure biofeedback device to continue contracting the hip adductor while maintaining it at 10 mmHg (low), 40 mmHg (medium), or 70 mmHg (high). The measurement was taken over five seconds using an ultrasound device. RESULTS: According to the contractile pressure applied to the hip adductor muscl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uscle thickness change of the transverse abdominis muscle between 10 mmHg and 70 mmHg and between 40 mmHg and 70 mmHg. The muscle thickness ratio of the external oblique/abdominal muscl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10 mmHg and 70 mmHg and between 40 mmHg and 70 mmHg. CONCLUSION: Increased contraction pressure on the hip adductor muscle increases the muscle thickness of the abdominal transverse muscle. Interbody stability exercise with contractions of the hip adductor muscle is expected to help increase in the muscle thickness of the hip adductor muscle.

엉덩관절 모음근의 수축을 동반한 플랭크 운동이 중심 근육의 두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lank Exercises with the Contraction of the Adductor Muscle of the Hip Joint on Core Muscle Thickness)

  • 고민균;송창호
    • PNF and Movement
    • /
    • 제17권2호
    • /
    • pp.293-302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lank exercises involving the contraction of the adductor muscle of the hip joint on core muscle thickness and to propose an effective plank exercise method. Methods: A total of 30 healthy young adults (17 males, 13 female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ized to the prone plank exercise with hip adductor contraction (n=10), the prone plank exercise (n=10), and the supine plank exercise (n=10) groups. Muscle thickness measurements were taken prior to starting the exercise program and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at the end of a 4-week period. The muscle thickness of the rectus abdominis (RA), multifidus (MF), external oblique (EO), internal oblique (IO), and transverse abdominis (TrA) muscles were measured using ultrasonography. Each group performed the stipulated plank exercise five times a week as follows: 5 sets of 20 seconds during the first week, 5 sets of 30 seconds in the second week, 5 sets of 40 seconds in the third week, and 5 sets of 40 seconds in the last week. Results: The three different types of plank exercises all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thickness of the RA, MF, EO, IO, and TrA (P<0.05). Furthermore, changes in the thickness of both the MF and TrA were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in the groups that did the prone plank exercise with the hip adductor contraction and the supine plank exercise than in the prone plank exercise group (P<0.05). Conclusion: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prone plank exercise with hip adductor contraction is a more effective method for overall activation of the RA, MF, EO, IO, and TrA than the prone plank exercise and the supine plank exerci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