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언어반응

Search Result 324,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evelopment of Web Contents and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Korean-Languag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초등 국어학습을 위한 웹 컨텐츠 및 학습통합관리 시스템 개발)

  • 김은영;정성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676-678
    • /
    • 2001
  • 언어는 모든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므로 국어 교과목은 교육의 기본 목표인 언어사용의 신장을 위해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언어발달을 위한 국어 교육활동은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네 가지 영역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쌍방향 멀티미디어를 이용하면 이러한 영역의 학습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웹사이트의 개발 사례를 살펴보면 교과서 중심인 일방적인 제사만이 구현되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흥미와 자발적인 참여를 유발하고 행동한 것에 대해 즉각적인 반응(Feedback)을 주는 애니메이션과 음성, 효과음, 높이, 학습, 게임으로 결합된 오락적인 쌍방향 멀티미디어 웹 컨텐츠를 개발하여 언어를 배우는 어린이들의 학습능력의 향상과 창의적인 언어 활동의 증대에 기여하고자 한다. 특히, 이 시스템의 큰 특징은 학생에 대한 학습 결과를 도출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 및 각종 정보를 추출하여 학습진단 결과, 재학습, 학습독력의 형태로 학생 개개인에게 메일로 보내는 학습 통합관리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이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Written Language and Colloquial Language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of Multi-Modal Interface Environment (다중 인터페이스 환경에서의 문자언어와 음성언어의 차이에 관한 비교 연구)

  • Choi, In-Hwan;Lee, Kun-Pyo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9 no.2 s.64
    • /
    • pp.91-98
    • /
    • 2006
  • The product convergence and complex application environment raise the need of multi-modal interface which enables us to interact products through various human senses. The sense of vision has been used predominantly more than any other senses for the traditional and general information gathering situation, but in the future which will be developed based on the digital network technology, the practical use of the various senses will be desired for more convenient and rational usage of the information appliances. The sense of auditory which possibility of practical use is becoming higher than ever with the sense of vision, the possible usage will be developed broader and in the various ways in the future. Based on this situ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ten language and the colloquial language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s reaction for each language were examined through this study. To achieve this purpose, the literature research about the diverse components of the language system was peformed. Then, some peculiar characters of the sense of vision and auditory were reviewed and the appropriate experimentation was planned and carried out. The result of the accomplished experimentation was examined by the objective analysis metho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ction time for written language is shorter than colloquial language, second, there is a partial difference between the male's and female's reaction for those two stimuli, third, there is no selection bias between the sense of sight and the sense of hearing. I think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broad and diverse ways of study for various senses is needed based on this study.

  • PDF

Why Do Most Science Educators Encourage to Teach School Science through Lab-Based Instruction?: A Neurological Explanation (과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실험활동 중심 수업의 효율성에 대한 신경학적 설명)

  • Kwon, Yong-Ju;Lawson, Anton 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19 no.1
    • /
    • pp.29-40
    • /
    • 1999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hypothesis that, because it uses tri-dimensional sensory pathway which have been showed a higher rate of neural activities than uni- or bi-dimensional's, lab-activity-based instruction is more effective teaching strategy in learning science than verbal-based instruction. In the present study, manipulative teaching strategy that uses visual, somatosensory and auditory information pathway was regarded as a mode of tri-dimensional sensory inputs. In addition, verbal teaching strategy that uses mainly auditory and a little visual information pathway was used as a mode of bi-dimensional sensory inputs. Fifty-six students who failed to successfully solve two proportional reasoning tasks (i.e., pouring water tasks) were sampled for this research from a junior high school.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manipulative or a verbal teaching group, and given manipulative or verbal tutoring on the use of proportional reasoning strategies and a test of proportional reasoning during instru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manipulative group's performance on the test of proportional reasoning during instruc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than verbal group's (t=2.45, p<0.02). The present study also discussed som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 PDF

Generation and Recognition Language Model for Spoken Language Parser (구어파서를 위한 생성 인식 언어모델)

  • Jeong, Hong;Hwang, Kwang-I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167-172
    • /
    • 1999
  • 구어는 프로그래밍 언어와는 달리 주어진 문장 내에서의 해당 어휘의 뜻(semantic information)을 알고 다른 어휘들과의 연관성 (grammatical information)을 알아야만 적절한 형태소분석이 가능하다. 또한 구어는 방대한 양의 어휘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하는 사람마다의 다양한 응용과 공식화되기 어려운 수많은 예외들로 운용되기 때문에 단순히 찾아보기표와 오토마타만으로는 형태소분석에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어휘집과 그 어휘들로 만들어진 다양한 문장들로부터 구어운용의 근본기제를 스스로 학습해나가는 강화학습중심의 언어모델을 제안하고 실제로 한국어 형태소분석에 적용하여 그 성능과 특성을 파악해보았다. 구어파서의 입력은 음절단위의 발음이며 인간이 문장을 듣거나 보는 것과 동일하게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입력된다. 파서의 출력 또한 시간에 따라 변화되면서 나타나며 입력된 연속음절을 형태소단위로 분리(segmentation)하고 분류(labeling)한 결과를 나타낸다. 생성인식 언어모델이 기존의 언어모델과 다른 점은 구어 파싱에 있어서 필수적인 미등륵어에 대한 유연성과 앞단의 음성인식기 오류에 적절한 반응(fault tolerance)을 나타내는 것이다.

  • PDF

Two Languages in One Brain Shown by fMRI: Orthography Specific Effects in L2 (fMRI에 나타난 모국어와 외국어로서의 한국문자와 중국문자의 차이)

  • 이동훈;이홍재;문찬홍;유재욱;남기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216-221
    • /
    • 2002
  • 본 연구는 문자 규칙 심층성이 다른 문자체계인 한국어와 중국어의 차이가 이중언어화자의 모국어 처리와 외국어 처리에서 각각 어떤 대뇌 활성화의 차이를 가져오는지 fMRI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중국어 (Ll)-한국어(L2) 이중언어화자 및 한국어(Ll)-중국어(L2) 이중언어화자를 제 2언어 습득시기에 따라 초기 및 후기 이중언어화자로 구분하여 모국어 차이와 습득시기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 1에서는 어휘 판단 과제(lexical decision task)를 실시하였고, 실험 2에서는 의미 판단 과제(semantic decision task)를 각각 실시하였다. 어휘판단과제를 사용한 실험 1의 결과는 음운처리와 관련된 좌반구 SMG(supramarginal gyrus), 하두정소엽(inferior parietal lobule, BA 39, 40)에서 중국어-한국어 초기 및 후기이중언어화자의 경우, 한국어 조건에서 보다 많은 활성화를 보였으나, 한국어-중국어 화자의 경우 활성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철자처리에 관련된 방추상회(fusiform gyrus, BA 37, 19) 영역에서는 중국어-한국어 화자뿐만 아니라, 한국어-중국어 인중언어화자의 경우도 중국어 조건에서 보다 많은 활성화를 보였다. 실험 2에서 사용한 의미판단과제의 경우, 중국어-한국어 이중언어화자의 경우 어휘판단과제를 사용한 실험 1의 결과에서 보고된 한국어 특정적인 반응, 즉 SMG영역에서의 활성화의 증가가 실험 2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어-중국어 이중언어화자의 경우, 실험 1에서 나타난 것과 같이 철자처리 혹은 의미처리와도 관련된다고 보고되는 방추상회(fusiform gyrus)등의 영역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이는 어휘 판단과제와 의미판단과제가 유도하는 뇌 활성화 양상이 다름을 시사한다. 종합해 볼 때, 이중언어화자의 뇌 영상 연구에서 어휘수준에서는 거의 공통적인 활성화를 보인다는 개략적 수준의 연구 결과를 넘어, 음운처리 및 철자처리와 같은 어휘접근 수준에서는 이중언어화자들의 뇌 활성화가 다르게 일어남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이중언어 화자의 뇌 기전을 밝히기 위해서도 보다 개략적 수준을 넘어 언어처리의 세부적인 수준에 따른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RTOS Scheduling Verfication for Embedded system by SyncCharts (SychCharts를 이용한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RTOS Scheduling 검증)

  • 이수영;안영아;김진현;류갑상;최진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04a
    • /
    • pp.181-183
    • /
    • 2004
  • Mission-Critical한 실시간 반응형 내장 시스템들의 설계과정에 있어 high-level abstraction과 formal(software 기반) modeling은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부분이다. 실시간 반응형 내장 system의 OS는 정형 명세 기법을 이용하여 시스템의 주요 component들을 설계하고 OS의 Formal model들을 모든 가능한 input들 아래 OS의 behavior를 엄격하게 검증함으로써 error가 없는 완벽한 OS를 개발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uC/OS-11의 OS Scheduling 부분을 반응형 시스템 언어인 Esterel의 SyncCharts로 명세, 명세한 시스템의 요구조건을 정형기법을 이용친서 검증해보고자 한다.

  • PDF

Lexical Access in the Bilinguals and the Category-specific Semantic System (이중언어의 어휘접근과 범주 특수적 의미체계)

  • Lee, Seung-Bok;Jung, Hyo-Sun;Jo, Seong-Woo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1 no.4
    • /
    • pp.505-53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lexical access and representation of semantic system in the bilinguals. The participants(late Korean-English bilinguals) performed the word-picture matching task. The task was to decide whether the pictures presented after the words(basic-level categories) represent the Korean(L1) or English(L2) words' meaning or not. The stimuli were consisted of common object belonged to four different categories(animal, part of body, clothes, tool). To control the translation strategies, the SOA(stimulus onset asynchrony) were manipulated as 650ms(Exp. 1) and 200ms(Exp. 2). In both experiment, the RTs were faster in L1 condition. The decision time of the part of body categories were shorter than the animal in L1 condition. In L2 condition, clothes were responded faster than the tools. The differences of the lexical access time implied that the bilingual semantic system seemed to be structured by more sub-level categories than the super-level, living or non-living things, and the ways to access the bilingual lexicon might b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languages.

  • PDF

The syllable's role in the segmentation of Korean (한국어의 음성 분절 과정에서 음절의 효과)

  • Yi, Kwang-Oh;Lee, Hyeon-Jin;Pak, Hyen-Sou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4.11a
    • /
    • pp.64-69
    • /
    • 1994
  • 한국어 음성지각의 분절단위로서 음절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하여, 음절탐지 과제를 사용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1에서는 ${\ulcorner}$산악${\lrcorner}$ - ${\ulcorner}$산간${\lrcorner}$과 같은 단어쌍을 대비시켰다. 전자의 음절구조는 CV-CVC이며, 후자의 음절구조는 CVC-CVC이다. CV표적음절 /사/를 찾아내는데 걸리는 시간은 ${\ulcorner}$산악${\lrcorner}$ 에서보다 ${\ulcorner}$산간${\lrcorner}$에서 길었다. 그러나 CVC표적음절 /산/을 찾아내는데 걸리는 시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실험2에서는 비단어쌍으로 ${\ulcorner}$산욱${\lrcorner}$ - ${\ulcorner}$산각${\lrcorner}$ 과 같은 것을 대비시켰다. 표적음절이 /사/인 경우는 ${\ulcorner}$산욱${\lrcorner}$에서 반응시간이 짧았고, 표적음절이 /산/인 경우에는 ${\ulcorner}$산각${\lrcorner}$ 에서 반응시간이 짧았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른 언어에서 얻어진 결과와 몇 가지 차이가 있었다.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 한국어의 음절의 특징과 음성지각에서의 음절의 역할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Clinical Significance of Auditory Brainstem Response(ABR) in Speech/Language Disorders (언어발달장애에 있어서 청성뇌간반응의 임상적 의의)

  • Oh, Ki Won;Park, Woo Saeng;Kwon, Soon Hak;Kim, Jin Kyung;Lee, Jun Hwa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v.45 no.10
    • /
    • pp.1199-1203
    • /
    • 2002
  • Purpose : The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uditory brainstem response(ABR) as a screening tool in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Methods : Between January 1, 1999 and December 31, 2001, 139 patients with chief complaints of speech and language delay were recruited from the pediatric neurology clinic,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aegu, Korea. They had ABR on entry and the clinical data were then analyzed. Results : Fifteen out of 139 cases(10.8%) showed abnormal findings; seven ha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four had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and four were noted to have other conditions. Among them, seven cases were noted to have conductive hearing loss and eight had sensoryneuronal hearing loss. We also evaluated the normal values in children at the ages of 18 months to seven years. The mean latency of wave I and V were $1.40{\pm}0.13$ and $5.57{\pm}0.26$ respectively. Interpeak latency of I-V was $4.18{\pm}0.24$. Conclusion : Based on these findings, ABR has proved to be a highly sensitive and specific index of hearing impairment. It should be used as a screening tool in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Implementation of a test and analysis program for dyslexia (난독증 테스트 및 분석 프로그램 구현)

  • Cho, Sung-Ho;Jee, Sung-Woo;Jung, Hae-Won;Nam, Ki-Ch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6.05a
    • /
    • pp.474-477
    • /
    • 2006
  • 언어와 인지분야에 관한 연구는 뇌 관련연구 중에 핵심 분야 중의 하나로 뇌의 신경학적 손상으로 언어기능을 상실하는 실어증 및 언어장애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한 분야이다. 글자를 보고도 읽지 못하는 난독증 환자의 경우 제시되는 그림이나 단어를 얼마나 빠른 시간 안에 반응하는가를 알아내는 것은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한국 언어의 특성상 해외의 검사 및 치료도구를 수정 없이 사용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난독증 환자를 정확하게 진 단 및 분류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한다. 이러한 시스템 설계에 있어 고려사항을 파악하고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시스템의 접근사항을 서술한다. 또한, 구현하는 시스템의 발전 방향에 대하여 논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