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억제유도치료

검색결과 544건 처리시간 0.03초

뇌 손상 후 편부전마비 환자에서의 억제-유도 치료의 적용 (An Application of Constraint-Induced Therapy in Patients With Chronic Hemiparesis After Brain Injury)

  • 박지원;김종만;김연희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91-99
    • /
    • 2001
  • 뇌 손상 후 급성기에 기능의 자발적인 회복이 일어나지만 환자들은 환측의 상지를 잘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그 결과 원하는 움직임을 억제하는 상황을 발생시키는데 이것을 학습 무사용 증후군(learned nonu se syndrome)이라 한다. 이러한 학습 무사용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해 억제-유도 치료(constraint-induced therapy)가 고안되었다. 억제-유도 치료는 연속되는 몇 주간에 걸쳐 매일 많은 시간 동안 건측의 상지를 묶어두고 환측 상지를 사용하게 하여 기능을 반복 학습하게 함으로써 기능을 증진시키는 방법이다. 이미 여러 연구자들이 경두개 자기자극(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움직임 관련 피질전위(movement-related cortical potential),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기법(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등을 통하여 억제-유도 치료 후 운동피질영역에서의 재조직화를 보고함으로써 기능 증진과 관련된 회복 기전을 뒷받침하고 있다. 억제-유도 치료의 영역은 확대되어 뇌졸중, 척수손상, 고관절 치환술 후로 하지에서의 기능증진을 위하여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뇌졸중 후 실어증 환자에서 새로운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억제-유도 치료는 신경학적인 손상 후 움직임의 재활에 있어서 치료-유도를 통한 중추신경계의 회복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 PDF

체성운동영역이 제거된 편마비 흰쥐에서 억제 유도치료가 기능향상과 BDNF 발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IMT on the Functional Improvement and BDNF Expression in Hemiplegic Rats Whose Somatomotor Area was Removed)

  • 임창훈;황보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9호
    • /
    • pp.194-203
    • /
    • 2008
  • 억제유도치료는 건측 상지의 운동을 제한하고 환측 상지의 운동을 유도함으로써 손상된 상지의 기능 및 사용을 향상시키는 치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억제유도치료의 효과를 운동행동검사와 면역조직 화학법으로 검증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Sprague-Dawley계 흰쥐 수컷 실험군 40마리 대조군 40마리를 사용하였다. 실험동물은 마취 후 체성운동영역을 제거하여 억제유도치료를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실험동물은 수술 후 1일, 3일, 7일, 14일째 10마리씩 나누어 자세 반사 검사, 막대 걷기 검사, 앞다리 배치 검사, 면역조직 화학반응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실험군의 운동행동 검사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았고(p<.05), BDNF 발현은 시간이 지날수록 실험군의 발현량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추신경계의 가소성을 검증 하는데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자원식물을 이용한 아토피 치료제 개발

  • 정용준;박종필;강세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0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22-22
    • /
    • 2010
  • 식생활의 변화, 공해 등의 환경변화 등으로 인하여 아토피 환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소에서는 자원식물로부터 아토피 치료제 개발을 위하여 면역세포의 탈과립화억제를 통하여 수종의 식물 자원을 탐색한 바 있다. 애기땅빈대, 여뀌, 고들빼기 등으로부터 유효성분 분리하여 산업화 단계에 있으며, 특히 본 연구에서는 한약자원인 지모로부터 분리된 성분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지모는 현재 수많은 보고를 통하여 항암성분, 여성호르몬조절성분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nyasol을 비롯하여 4개의 유도체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성분에 대한 면역세포 탈과립화억제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들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MeOH추출물에서 systemic 및 passive anaphylaxis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들 성분에 대한 유도체 합성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면역세포 탈과립화 억제를 통한 항아토피 및 항알러지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이들의 성분과 합성 유도체들은 항아토피에 활용될 수 있으며, 지모추출물자체로도 화장품, 식품, 의약품에 적용이 가능할 정도로 우수한 효능이 확인되었으며, 앞으로 이들 유도체에 대한 의약품 개발연구가 기대된다.

  • PDF

HIV-1 RT (reverse transcriptase) 저해제에 대한 내성 발현 기전

  • 임광진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제3회 추계심포지움
    • /
    • pp.67-69
    • /
    • 1995
  • reverse transcription은 AIDS를 일으킨다고 알려진 바이러스인 HIV-1의 번식에는 필수적이나 인체 세포에는 필수적이 아니기에 이 단계를 표적으로 하는 AIDS 치료제가 우선적으로 개발되었다. 그 단계에 필요한 효소가 바이러스에 의해 만들어진 RT이며 이 효소의 작용을 저해하는 nucleoside 유도체들인 AZT, DDC, DDI 들이 현재 AIDS 환자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이들 nucleoside 유도체들은 세포안으로 들어가 triphosphate 형태로 변화된 후 dNTP와 상경적으로 경쟁하며 합성 중인 바이러스의 DNA에 들어가 DNA의 합성을 정지시켜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한다. 그러나, 이들 nucleoside 유도체들은 치료용량에서 심한 독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장기 투여시 내성을 나타내는 바이러스가 생겨나 AIDS의 치료를 불가능하게 하고 있다.

  • PDF

혈관내피세포에서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가 방사선에 의해 유도된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hibits irradiation-induced Apoptosis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 이송재;김동윤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5-174
    • /
    • 2002
  • 혈관내피세포 성장 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는 혈관내피세포 특이하게 성장요인으로 작용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전리방사선에 대한 혈관내피세포의 효과는 정상조직에 대한 반응에 있어 아주 중요한 요소일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방사선 조사에 의해 배양시킨 혈관내피세포에서 apoptosis가 유도되는지, 유도가 된다면 VEGF에 의해 apoptosis가 억제되는지 그리고 apoptosis의 억제가 어떤 경로를 경유하는지를 실험하였다. 혈관내피세포에 방사선를 조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apoptosis가 증가하였다. 같은 조건하에서 VEGF는 농도 의존적으로 apoptosis를 억제하였다. Antiapoptotic factor로서 VEGF가 어떤 신호 과정을 경유하는지를 밝히고자, 혈관내피세포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apoptosis를 유도하면서 Flt-1과 Flk-1/KDR receptor를 처리하였다. 그결과 VEGF에 유도된 apoptosis 억제효과가 차단되었다. Phosphatidylinositol 3'-kinase(PI3-kinase) 특정 억제 물질인 Wortmanin과 LY294002를 방사선 조사한 혈관내피에 VEGF와 함께 처리했을 때 VEGF에 의해 유도된 apoptosis를 억제하였다. 이같은 결과는 VEGF가 방사선 조사로 일어나는 세포 치사를 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In Vivo의 실험이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신경가소성 원리를 이용한 강제유도운동치료에 대한 고찰: 경직성 편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A Review of the Plasticity an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 Children With Spastic Hemiplegic Cerebral Palsy)

  • 조상윤
    • 재활치료과학
    • /
    • 제2권1호
    • /
    • pp.13-23
    • /
    • 2013
  • 강제유도운동치료는 최근 신경재활 분야에서 가장 주목 받고 있는 상지 재활 치료방법 중 하나로 하루 6시간씩 주 5일 2주간 강도 높은 훈련을 환측 팔에 제공하고, 건측의 사용을 억제하기 위해 깨어 있는 시간의 90%를 구속하는 치료방법이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강제유도운동치료의 임상적 한계를 바탕으로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가 많이 적용되고 있다.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는 하루 5시간씩 주 5일, 10주간 건측을 억제하고 하루 30분간 손상측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이는 일상생활 수행 평가인 소아 운동 활동 측정표(Pediatric Motor Activity Log; PMAL)와 상지 질적 평가(Quality of Upper Extremities Skills Test; QUEST), 환측의 상지 기능을 평가하는 멜버른 상지 평가(Melbourne Assessment of Unilateral Upper Limb Function; MAULF), 환측과 건측의 양손 협응을 보기 위한 Assisting Hand Assessment(AHA)를 통해 강제유도운동치료의 효과를 입증하였다. 본 고찰에서는 강제유도운동치료 적용 후, 신경학적 변화를 살펴본 연구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경직성 편마비형 뇌성마비 아동에게 강제유도운동치료 또는 수정된 강제유도운동치료를 적용한 결과, 신체부분의 움직임의 양에 따라 대뇌피질에 나타나는 신체 부위의 크기가 변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반대측 운동피질의 활성을 증가시켜주고, 동측 피질의 활성을 감소시켜 신경재조직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강제유도운동치료는 신경가소성의 원리를 이용한 상지 재활 치료 방법이라 하겠다.

호장근 부탄올 분획의 비만 예방 및 치료 효과

  • 김진숙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0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7-7
    • /
    • 2010
  • 전 세계적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비만은 만병의 근원이다. 동시에 대사성질환의 발병을 증가시키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능이 우수한 약의 개발이 매우 시급하다. 시판되는 약들은 예견할 수 없는 지방변으로 실제생활을 매우 불편하게 하는 부작용과 우울증 및 자살충동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유발시키고 있다. 특히 생명을 위협하는 약은 시판이 금지되었다. 200여종의 한약재들을 In vitro screening (pancreatic lipase inhibition, PDE inhibition, c-AMP activity), ex vivo screening (lipolytic action on fat pad), short term animal screening(혈중 TG 함량 분석)을 토대로 long term animal model에서비만 예방 및 치료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호장근 부탄올 분획을 선정하였다. 고지방 사료로 비만을 유도한 rat (Diet induced obesty (DIO) rat)에서 비만 치료 효능이, 고지방 사료로 비만을 유도한 ICR-mice에서 비만 예방 효능이 우수함을 입증하였다 (체중감소, 지방세포의 크기억제, 지방간 예방/치료(간무게, TG함량, 간 색상, 고지혈증 증상억제), 혈중 TNF-a, IL-6, leptin, adponectin 등, 간 조직에서의 pAMPK, SOCS, NF-${\kappa}B$ DNA biding activity, ACC level, FAS expression, CPT-1 activity의 정상화). 호장근 부탄올 분획의 이러한 효능은 AMPK 작용과 CPT-1 작용을 활성화하고 동시에 지방산 합성 억제와 지방산 산화를 촉진함으로 인함임을 규명하였다. 동시에 비만으로 인한 pancreatic beta cell의 파괴를 예방함으로 인슐린 내성을 예방(치료)함을 입증하였다. 이는 AMPK 활성화와 SOCS-3 단백질 억제와 NF-${\kappa}B$-DNA 결합 억제로 인함임을 증명하였다. 3T3-L1 지방 세포주에서 lipogenesis 예방(치료) 및 lipolytic effect에 관여하는 인자들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는 Multi-compounds-multi-targets에 의한 시너지 효과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Synthesis and Bioiogical Evaluation of 1,3-Oxathiolanyl Nucleosides

  • 정낙신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제3회 추계심포지움
    • /
    • pp.59-65
    • /
    • 1995
  • 후천성 면역결핍증(AIDS)이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된 질병으로 인식된 이래 AIDS의 치료를 위한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목표가 되어 왔다. 수많은 개발된 물질 중에서 lymphocytes와 macrophage에서의 면역결핍성 바이러스(HIV)에 의한 급성간염을 억제하거나 제거하는데 있어 뉴크레오사이드 유도체들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해오고 있다. 지금까지 개발된 새로운 뉴크레오사이드 유도체중에서 현재 4종류의 뉴크레오사이드 유도체가 FDA에 꼭해 공인이 되어 AIDS환자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 PD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억제제 개발 약리연구

  • 진창배;김동현;박혜영;이향숙;박종세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4년도 춘계학술대회 and 제3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 /
    • pp.182-182
    • /
    • 1994
  •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을 비가역적으로 불활성화시킴으로써 오랫동안 작용할 수 있는 고혈압치료제로서의 ACE억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pseudomechanism-based inhibition이라는 새로운 억제기전을 가질 것으로 추정되는 아래 그림과 같은 기본 분자구조를 갖는 epoxide 유도체들을 합성하여 in vitro에서 ACE활성 억제효과를, HPLC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합성되어진 epoxide 유도체들은, epoxide group대신에 sulfhydryl 또는 carboxyl group으로 치환되어져 있는 기존의 ACE 억제제들보다도 효능이 현저히 저하됨으로써, ACE의 $Zn^{2+}$ binding site와는 배위결합력이 미약하다는 것을 의미하여 준다. 또한 유도체들의 phenylring에 chloride, hydroxyl, nitro group과 같은 polar group 의 도입으로 말미암아 ACE 억제효과가 저하됨으로써 이 부위에서의 hydrophobic interaction이 ACE를 억제하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해 주며 이외에도 이미 알려진 바와같이 carbonyl carbon과 인접한 carbon atom에 methyl group의 도입이 억제효과에 중요한 역활을 하였다. 따라서 향후에는 ACE의 $Zn^{2+}$ binding site와 강력한 배위결합을 하는 carboxyl group을 도입하고 epoxide의 위치를 변경시키며 또한 hydrophobic interaction하는 부위의 구조를 변화시켜 보다 효능이 우수한 새로운 기전의 ACE억제제를 개발해 나가고자 한다.

  • PDF

치료제, 조제학 및 식물을 위한 서투인 억제제의 유용성 (A Review of Sirtuin Inhibitors in Therapeutics, Pharmaceutics, and Plant Research)

  • 이유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96-105
    • /
    • 2020
  • 서투인 억제제는 유형 III 히스톤 데아세틸라제(HDAC)인 서투인을 억제하는 화합물이며, 약제학적 및 치료학적 가치를 갖는다. 합성 서투인 억제제는 효모 S. cerevisiae 에서 세포-기반 스크린을 사용하여 발견되었고 특성화되었으며 서투인의 기능과 관련된 노화, 발암 및 당뇨병을 연구하는데 사용되었다. 의학 분야에서 합성 서투인 억제제는 보다 강력한 효능과 특이성을 얻기 위해 개발되어 왔다. 니코틴아미드 및 티오아세틸리신 함유 화합물, β-나프톨 함유화합물, 인돌 유도체. 수마린, 테노빈 및 그 유사체가 개발 되었다. 서투인 억제제는 식물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식물의 화학적 유전학에 사용되었다. 그러나, 시르티놀-내성 돌연변이 체는 알데히드 옥시다제에 대한 몰리브돕테린 보조인자의 생합성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었다. 일부 천연 플라보노이드, 카테킨 유도체 및 퀴르세틴 유도체는 서투인 억제제로서 작용하며 치료 목적을 위한 보다 강력한 억제제를 찾기 위해 연구 되고 있다. 이 리뷰에서, 서투인을 소개하면서 치료제에서 개발된 서투인 억제제를 소개한다. 서투인 억제제인 서티놀은 식물에서 화학적 유전학에 예기치 않게 사용되었습니다. 보다 강력하고 선택적인 서투인 억제제가 치료제에서 개발되어야 하고, 약학에서 개발된 다른 서투인 억제제는 식물에서 보다 진정한 서투인을 찾기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