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어지럼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2초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를 위한 심인성 어지럼 (Psychogenic Dizziness for Psychiatrists in Korea)

  • 이경규
    • 정신신체의학
    • /
    • 제24권1호
    • /
    • pp.9-19
    • /
    • 2016
  • 어지럼을 호소하는 환자들 중 많은 환자에서 신경 이과적 검사에서는 이상이 없고 정신의학적으로 문제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에 심인성 어지럼증이란 진단을 붙이는데, 이는 대개 정신의학적 문제로 인하여 어지럼이 발생한다. 어지럼증 환자의 2-4명 중 1명일 정도로 많은 편이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심인성 어지럼에 대한 진료, 연구 등이 부족한 편이다. 이에 저자는 한국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이 심인성 어지럼에 대하여 많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동참을 하도록 하기위하여 이 논문을 발표하였다. 이 논문은 정신질환 특히 불안과 어지럼의 생물학적, 심리적 연관성을 포함한 심인성 어지럼의 원인 및 진단, 심인성 어지럼과 관련된 정신질환 및 각 정신질환에서의 어지럼의 특성, 그리고 심인성 어지럼의 치료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를 대상으로 하였기에 신경 이과와의 협진에 필수적인 중추성 및 말초성 어지럼에 대해서도 간략히 고찰하였다. 치료에서는 특정치료, 증상치료, 전정재활치료 뿐만이 아니라 심인성 어지럼의 치료에 필수적인 약물치료 및 인지행동치료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어지럼 환자에게 신경 이과적 검사 및 진료 시 기질적 문제가 없거나, 기질적 문제가 있을지라도 다른 정신과적 증상이 상당히 동반된 심인성 어지럼 환자라면 정신의학적 치료를 적용하여 치료성공률을 높이고 나은 귀결을 보일 것이다. 어지럼의 치료에는 다학제적 접근을 통한 환자-중심의 치료적 접근이 환자들의 고통 경감과 삶의 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 정신건강의학과 의사들의 심인성 어지럼증에 대한 관심 증가 및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고 제시한다.

어지럼 발작 병력환자에서 성상신경절블록 후 다시 발생한 어지럼 발작 -증례 보고- (Meniere's Attack after Stellate Ganglion Block -A case report-)

  • 강신영;김동연;정락경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8권2호
    • /
    • pp.232-234
    • /
    • 2005
  • Stellate ganglion block (SGB)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treatment modalities for a broad range of disorders, including otolaryngologic indications such as Meniere's disease and sudden hearing loss. We present a case of a vertiginous attack following SGB for the management of Meniere's disease. A 31-year-old female, suffering from Meniere's disease, underwent repeated right side SGBs with 6 ml of 1% mepivacaine after negative aspiration tests for blood. The eleventh block was performed in the usual manner. Several seconds after injection, she showed agitation, anxiety, nystagmus, and left-sided tinnitus. Two minutes later, her tinnitus and nystagmus were resolved. Fifteen minutes after injection, she experienced acute onset of severe vertigo, nausea, and vomiting. However, her symptoms were gradually alleviated within two hours.

HMD를 활용한 가상현실 전정재활 콘텐츠 개발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vestibular rehabilitation contents using HMD)

  • 이성진;성낙준;홍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78-681
    • /
    • 2019
  • 어지럼증은 모든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겪는 가장 흔한 질병 중 하나이다. 이러한 어지럼증은 주로 전정 기관의 약화 및 충격으로 인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되며 전정 재활을 통해 회복 될 수 있다. 전정 재활은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지만 모든 사람을 위해 수행 할 수 있는 보편적 인 방법으로 훈련의 목적은 눈, 머리 및 균형 운동을 통해 전정 기관을 반복적으로 운동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재활은 지루하고 흥미가 없으므로 환자가 계속 훈련을 하고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Unity3D 및 FOVE HMD를 사용하여 재미있고 평가 가능한 가상 현실 전정 재활의 내용을 구현했다.

어지럼 환자의 전정재활 운동요법 이행과 관련요인: 건강신념변수를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Adherence to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in Patients with Dizziness)

  • 이현정;최스미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34-443
    • /
    • 2014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vel of adherence to vestibular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VREP) and evaluated how health belief model (HBM) variables are related with adherence to VREP in patients with dizzines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50 individual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between December, 2012 and May, 2013. Adherence to VREP, severity of dizziness, health belief variables (health belief scale) and self-efficacy (self-efficacy scale) were measured.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poor adherence to VREP. The mean adherence score to VREP was $2.11{\pm}1.05$ (1-5). In multivariate analysis, severity of dizziness (p<.001), taking sedative medication (p<.001), high self-efficacy (p<.001), high perceived seriousness (p=.019) & benefit (p=.036) were independent predicting factors explaining 57.7% of adherence to VREP. Conclusion: Adherence to VREP was poor among these patients. To improve the patient's adherence to VREP, strategies to increase perceived seriousness, benefit, or self-efficacy and to decrease barriers are urgently needed.

어지럼 환자의 삶의 질 관련요인 (Quality of Life and the Related Factors in Patients with Dizziness)

  • 이현정;최스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51-758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Life (QOL) and related factors in the patients with dizzines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rch and June 2008 for 200 individual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Uncertainty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anxiety, depression (Hospital anxiety & depression scale) and Vestibular disabil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Vestibular disability-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scale) as well as QOL (Dizziness Handicap Inventory) were measured. Results: The mean QOL score was 37.5 (${\pm}23.0$). Monthly income, etiology of, frequency of, and total duration of dizziness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QOL in these patients. Having had a fall, anxiety, depression, uncertainty and vestibular disability in daily living were also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QOL.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xiety, vestibular disability-ADL, falls, total duration of symptoms, uncertainty, and etiology of dizziness explained 41% of variance of QOL. Conclusion: The level of QOL in our patients was moderate as compared to those in previous studies. Anxiety and vestibular disability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predicting low QOL. Use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designed to relieve these factors should also result in improving the QOL in the patients with dizziness.

한국 성인의 어지럼 경험과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Dizziness in Korean Adults)

  • 서영미;이은숙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53-63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dizziness in adults and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dizziness.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used secondary data from the Eigh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Participants included 10,265 older adults aged≥40 year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chi-squared test,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7.0 program. Results: The prevalence of dizziness was 26.2%, with 20.9% reporting episodic dizziness and 5.3% reporting chronic dizziness. Compared to that noted in the control group participants without dizziness, the risk of episodic or chronic dizziness was higher in women and in participants with older age, low education level, low income level, high perceived stress level, depression, tinnitus, and occupational noise exposure. Moreover, the risk of chronic dizziness was higher among those with a body mass index of <25 kg/m2, stroke, cardiovascular disease, or severe hearing loss. Conclusion: The study underscores the need to comprehensively identify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izziness and to develop interventions to prevent and manage the occurrence and chronicity of dizziness in the general population.

뒤반고리관 양성발작성 두위현기증 어지럼증 환자 이석정복술 치료에 영향을 주는 인자 분석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Canalith Repositioning Maneuver Treatment of in Posterior Canal Benign Paroxysmal Positional Vertigo of a Dizziness Patient)

  • 김철승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67-274
    • /
    • 2018
  • 순천성가롤로병원 어지럼증 센터에 내원한 어지럼증 환자 중 뒤반고리관 양성발작성 두위현기증은 머리나 몸을 움직일 때 갑자기 빙빙도는 느낌 또는 회전성 어지럼증을 호소하는 가장 흔한 질환이다. 대부분 환자들은 1회 치료로 증상이 호전된다. 하지만, 세 번 이상 여러번 치료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이석정복술에 의한 뒤반고리관 양성발작성 두위현기증환자의 어지럼증 증상 회복에 영향을 주는 인자을 분석하였다. 어지럼증환자 중 어지럼증 센터에 내원한 뒤반고리관 양성발작성두위현기증 환자를 분류하였다. 2008년 3월부터 2010년 11월까지 165명의 뒤반고리관 양성발작성두위현기증 환자 치료율을 조사하였다. 1회 치료성공율이 57.6%, 2회 치료성공율이 17.6%, 3회 치료성공율이 3.6%, 3회 이상 치료성공율이 21.2%였다. 뒤반고리관 양성발작성두위현기증 치료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외상 후, 내과적 질환, 뇌경색, 작은혈관 질환, 척추뇌바닥동맥기능부전증, 뇌혈관질환, 뇌질환, 안뜰신경염이다. 위와 같은 치료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고려한다면 구토, 오심, 실신 등을 쉽게 치료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어지럼증 증상의 회복을 위한 이석정복술과 연관질환을 병행 치료하면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함을 주고, 고통을 주는 어지럼증에서 호전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어지럼증을 유발하는 많은 인자들을 조사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전정기능저하 어지럼 환자를 위한 자기효능증진 전정재활운동 교육의 효과 (Effectiveness of Self-efficacy Promoting Vestibular Rehabilit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Vestibular Hypofunction)

  • 이현정;최스미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710-719
    • /
    • 2016
  • Purpose: In this study an examination was done of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ng vestibular rehabilitation (S-VR) on dizziness, exercise self-efficacy, adherence to vestibular rehabilitation (VR), subjective and objective vestibular function, vestibular compensation and the recurrence of dizziness in patients with vestibular hypofunction. Methods: This was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Data were collected 3 times at baseline, 4 and 8 weeks after beginning the intervention. Outcome measures were level of dizziness, exercise self-efficacy, and level of adherence to VR. Subjective and objective vestibular function, vestibular compensation and the recurrence of dizziness were also obtained. Data were analyzed using Windows SPSS 21.0 program. Results: After 4 weeks of S-V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for dizziness, subjective and objective vestibular functions. However, exercise self-efficacy and adherence to VR were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fter 8 weeks of S-VR, dizziness (p =.018) exercise self-efficacy (p <.001), adherence to VR (p <.001), total-dizziness handicap inventory (DHI) (p =.012), vision analysis ratio (p =.046) in the experimental group differ significantly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number of patients with recurring dizziness were higher in the control group than in the experimental group (p <.001).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continuous 8 weeks of S-VR is effective in reducing dizziness, and improving exercise self-efficacy, subjective vestibular function and adherence to VR. Objective vestibular function and vestibular compensation were also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t the end of 8 weeks of S-VR.

EEG 기반의 어지럼증 최소화 방안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EEG-based minimization plan of motion sickness)

  • 서현철;신정훈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8
    • /
    • 2019
  • 멀미(Motion Sickness)란 전정기관에서 감지된 움직임과 시각적으로 감지된 움직임이 서로 충돌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어지럼증 증상이다. 어지럼증이 발생할 경우 사용자는 메스꺼움 및 구토감, 방향 감각 이상과 피로 등의 증세를 호소한다. 이러한 어지럼증 원인이 다양하여 증상에 대한 감별과 치료가 어려운 질환이다. 특히 어지럼증의 유형 중 시각 정보로 인해 유발되는 어지럼증(Visually Induced Motion Sickness)은 발전하는 VR산업에서 해결해야 할 고질적인 숙제로 남아있다. 이러한 VIMS에 대한 분석은 사용자의 활력 징후 측정 및 특징 분석과 EEG 특성 분석을 통하여 가능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EEG 신호를 기반으로 시각 정보로 인해 유발되는 어지럼증(VIMS)의 최소화 방안에 대해 고찰하며, 그와 관련된 연구 동향들을 분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