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어자원 분포

Search Result 5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Development of Global Fishing Application to Build Big Data on Fish Resources (어자원 빅데이터 구축을 위한 글로벌 낚시 앱 개발)

  • Pi, Su-Young;Lee, Jung-A;Yang, Jae-Hyuc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3
    • /
    • pp.333-341
    • /
    • 2022
  • Despite rapidly increasing demand for fishing, there is a lack of studies and information related to fishing, and there is a limit to obtaining the data on the global distribution of fish resources. Since the existing method of investigating fish resource distribution is designed to collect the fish resource information by visiting the investigation area using a throwing net, it is almost impossible to collect nation-wide data, such as streams, rivers, and seas. In addition, the existing method of measuring the length of fish used a tape measure, but in this study, a FishingTAG's smart measure was developed. When recording a picture using a FishingTAG's smart measure, the length of the fish and the environmental data when the fish was caught are automatically collected, and there is no need to carry a tape measure, so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increased. With the development of a global fishing application using a FishingTAG's smart measure, first, it is possible to collect fish resource samples in a wide area around the world continuously on a real time basis. Seco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enormous cost for collecting fish resource data and to monitor the distribution and expansion of the alien fish species disturbing the ecosystem. Third, by visualizing global fish resource information through the Google Maps, users can obtain the information on fish resources according to their location. Since it provides the fish resource data collected on a real time basis, it is expected to of great help to various studies and the establishment of policies.

임자도 주변해역의 자치어 분포

  • 전송미;조영철;최옥인;이성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300-301
    • /
    • 2000
  • 우리나라 서해안은 조간대가 넓게 발달하여 있고 조차가 매우 크므로 물의 혼합이 잘 이루어져 먹이가 풍부하며, 탁도가 높아 포식의 위험이 적어 어류의 산란장이나 생육장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어류는 난에서 부화하여 자치어기를 거쳐 성장하면서 성어가 되고 어업에 가입이 된다. 어류의 초기 발생 시기에는 주변해역의 환경요인에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시기로 자치어 생존율은 어류 자원의 크기를 결정짓는다(May,1974). 따라서 어류 자원량 추정과 미래 자원량을 예측하기 위해서는 자치어의 출현량과 분포에 관한 연구가 중요한 정보가 된다. (중략)

  • PDF

남해안 조하대 사질 연안에서의 갑각류의 계절적 분포

  • 정장방;최연호;조수근;서해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58-259
    • /
    • 2000
  • 최근 감소 추세에 있는 연안수산자원을 인위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 유용생물의 치어를 생산하여 방류를 통해 수산자원을 증가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인공종묘를 방류하여 자연자원을 증가시키려는 경우,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지만, 그 중에서도 먹이환경은 치자어의 방류 후 생잔율을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가 될 수 있다(광전ㆍ 야구, 1986ㆍ1988). 따라서 방류를 통해 수산자원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어린 시기의 먹이 환경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치자어의 성육장이 되는 연안 쇄파대에서의 먹이생물이 되는 갑각류의 분포에 관해 조사하였다. (중략)

  • PDF

베링해 명태의 초기 생활기 분포

  • 김두남;양원석;김종빈;최석관;조현수;김진영;박경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342-343
    • /
    • 2000
  • 대부분의 어류는 난과 자치어기를 지나 성어가 되면서 어장에 가입되므로 어란과 자치어의 분포밀도는 성어자원량을 파악하는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물리적 환경 즉 수온과 해류는 어류 자치어의 분포, 성장 및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으로 표층수온은 난의 발달과정을 조절하고 해류는 유영력이 미약한 자치어의 분포와 출현량에 영향을 미친다. (중략)

  • PDF

Dead Zone Correction for Abundance Estimation of Demersal Fish by Acoustic Method (저서어자원량의 음향추정에 있어서 해저 데드존의 보정에 관한 연구)

  • 황두진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36 no.3
    • /
    • pp.202-209
    • /
    • 2000
  • In order to estimate demersal fishes using acoustic echo sounders and echo integrators, we consider several problems that are accurate bottom detection, optimum bottom offset and dead zone. The dead zone where no fish detection are summed distance resolution by the half pulse length of transmitted pulse and beam angle above the seabed. This paper has considered the dead-zone correction method to be technically correct for survey of demersal fishes. A comparison between near-bottom SV profiles acquired in Funka Bay, Hokkaido, of Japan, the East China Sea and the Yellow Sea, of Korea, with before and after the bottom correction, shows that the SV obtained with after the bottom correction is 2∼3dB higher than before the bottom correction in Funka Bay, and 17dB higher in East China Sea, too.

  • PDF

음향을 이용한 황해의 어족자원분포에 관한 연구

  • 황두진;신형호;손창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95-396
    • /
    • 2001
  • 해양에 있어서의 생물의 자원량을 추정하는 방법에는 난ㆍ치자어의 분포상태, 트롤 등 어획기구를 이용한 조사방법, 그리고 음향학적인 방법 등으로 대별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음향학적인 수법은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최근에 급속으로 발전하여, 짧은 시간에 넓은 해역을 대상으로 나아가 거의 실시간으로 해양에서의 생물 분포상태를 파악하고, 또한 전 수심층을 대상으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중략)

  • PDF

Distribution of Larval Fishes off the East Sea, Korea (동해 근해에 출현하는 어류 자치어 분포 특성)

  • Choi, Hee Chan;Jung, Hae Kun;Cho, Jeong Hyun;Youn, Seok Hyun;Oh, Hyun Ju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34 no.3
    • /
    • pp.186-200
    • /
    • 2022
  •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larval assemblages in the East Sea, Korea, larvae were collected at 13 stations every other month from February to December 2018. Fish larvae were identified through DNA barcoding along with morphological methods, and as the result, a total of 104 taxonomic groups appeared during the survey. Among these, Engraulis japonicus, which accounted for 76.2% of the total population, was the most dominant species, followed by Maurolicus japonicus, which accounted for 15.0%. In addition, Ammodytes personatus, Champsodon snyderi, Scomber japonicus and Echelus uropterus appeared more frequently than other taxa. The above six species accounted for 93.2% of the total catch. The number of taxa and the amount of larvae collected in the survey area were higher during the high water temperature periods (June to October) than during the low water temperature periods (February, April and December). Analysis of similarity (ANOSIM)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nthly larval assemblages. The results of the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show that the distributions of larval community were mainly affected by sea surface temperature during low water temperature periods, and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alinity, dry weight of zooplankton, and the concentrations of nutrients during high water temperature periods.

A study of Robust Diagnostic Model of residual current in coastal sea (연안해역에서 잔차류의 Robust진단 model에 관한 연구)

  • 신문섭;홍성근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6.05a
    • /
    • pp.683-688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easonal variation of the water circulation in the Chenbuk coastal sea region. Chenbuk coastal sea is investigated with use of a robust diagnostic numerical model. Water circulations in four seasons are calculated diagnostically from the observed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data and wind data from Kunsan mereorologcal station.

  • PDF

남해구 자원관리형 자망ㆍ통발 어구어법 기술개발에 관한 연구 -어획물의 종조성과 체장분포-

  • 이주희;권병국;이춘우;조영복;유제범;김성훈;김부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63-66
    • /
    • 2003
  • 남획에 의한 어자원 감소와 오염으로 인한 해양 환경의 변화, 그리고 주변국과의 어업협정 체결 및 수입 개방 조치 등에 의한 어업정책의 변경으로 어업인의 소득이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되면서, 어획 성능이 우수하고 조업 방식이 간편하며 소요 경비가 절감되는 어구어법으로의 전환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삼중자망은 홑자망, 통발에 비해 조업방법이 간단하고 특별한 어로설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우수한 어획성능을 가지고 있어 어업인들이 선호하고 있으나 심각한 자원 남획을 유발하는 어구이기 때문에, 삼중자망의 불법사용에 대한 규제와 단속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중략)

  • PDF

한국 근해 갈치, Trichiurus lepturus의 알과 자어, 성숙어의 분포에 의한 산란해역 비교

  • 김진영;연인자;홍병규;박영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02-303
    • /
    • 2003
  • 갈치는 한국 동해남부, 남해, 서해 및 동중국해를 비롯하여 남중국해의 아열대해역까지의 광범위한 해역에 분포하고 있다. 이 중 한국 연근해 어선에 의해 주로 이용되는 갈치자원은 황해 및 동중국해에 분포하는 군이다. 갈치는 한국 연근해에서 1990년대 중반까지는 안강망류어업에 의해 70∼80%가 어획되었으나, 최근에는 저인망류어업 및 연승어업에 의해 각 50%, 20%가 어획되고 있다. (중략)

  • PDF